南山有鳥(남산유조) 高靑邱(고청구)
南山有鳥北山羅(남산유조북산라) 兩地.一失驚風波(兩地.일실경풍파)
哀鳴獨宿心靡他(애명독숙심미타) 竟抱幽恨歸山阿(경포유한귀산아)
不及山上松(불급산상송) 纆綿同女蘿(묵면동녀라)
君歸来(군귀래) 聽妾歌(청첩가)
相思感君情意多(상사감군정의다) 贈君明珠涙滂沱(증군명주루방타)
死生茫茫終柰何(사생망망종내하)
|
<해>
남산에 새가 날고, 북산에 그물이 쳐졌네.
두 곳에 머물다 하나를 잃고, 바람과 물결에 놀라네.
슬프게 울며 홀로 잠드니 마음이 다른 데로 향하지 않네.
마침내 한을 품고 산 기슭으로 돌아가네.
산 위의 소나무처럼 닿지 못해,
덩굴에 얽혀 함께하지 못하네.
그대여 돌아오세요,
내 노래를 들어주세요.
그리움에 그대 마음은 깊어만 가고,
그대에게 눈물로 명주를 선물하네.
삶과 죽음이 아득하니, 끝내 어찌할 도리 없네.
감상
이 시는 남산과 북산 사이를 오가는 새의 이미지를 통해 이별한 연인을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첫 구절에서 남산과 북산은 공간적 거리를 의미하며, 새는 이별한 연인의 소식을 전하고 싶지만 중간에 놓인 장애물(그물)에 갇혀 날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그리고 있습니다. 바람과 물결에 놀라듯이, 이별의 충격을 받은 연인의 고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슬프게 울며 홀로 잠드는 모습은 그리움과 고독을 반영하며, 한을 품고 산으로 돌아가는 것은 결국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한 아픔을 의미합니다. 산 위의 소나무처럼 얽히지 못한 덩굴은 연인의 연결되지 못한 운명을 상징합니다.
연인이 돌아오기를 바라며 노래하는 여인의 마음은 깊은 그리움과 슬픔에 잠겨 있습니다. 그녀는 눈물로 명주를 선물하듯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지만, 삶과 죽음의 경계가 아득해지고, 결국 이 사랑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절망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 시는 사랑과 이별, 그리움의 감정을 섬세하게 담아내며, 이뤄질 수 없는 사랑의 비애를 깊이 느끼게 해 줍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