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百潭寺(백담사)의 물 구비.

청남

 

百潭寺(백담사)의 물 구비.

 

소재지: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설악산(雪嶽山)에 있는 절.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인 백담사는 한 때 전두환 대통령 내외가 기거하게 됨으로서 더욱 세상에 알려지고 유명해 졌다.

 

이 사찰은 원래 낭천(狼川: 지금의 화천)땅에 비금사(比琴寺)라는 이름으로 있었는데, 그 근처에서 개나 돼지 등을 잡는 살생을 하는 곳으로 주변 환경이 너무 어지러워, 조용히 정신수행을 하는 데나 불도(佛道)를 닦는데 어긋난 일들이 자꾸 일어나게 되자, 이 절을 북면 한계리로 옮겨서 寒溪寺(한계사)라고 칭하였다. 그 뒤에 지금의 자리로 다시 옮겨 백담사라 하게 되었다.

 

1) 물굽이를 세어 보고 지은 절.

 

百潭寺(백담사)의 모체인 비금사(比琴寺)寒溪寺(한계사)로 옮길 때 절의 많은 기물을 옮기느라 더러 실수가 있었다.

옮기는 도중에 그만 청동화로와 절구를 떨어 뜨렸는

 

, 春川郡(춘천군)절구골은 그 때 절을 옮기다 절구를 떨어뜨린 곳이며, 한계리 부근 청동곡(靑銅谷)은 청동화로를 떨어뜨린 곳이라 한다.

한계리로 절을 옮긴 뒤에는 주변에 살상을 하는 곳은 없어 수도(修道)하기에 좋기는 했지만 늘 조심을 하는데도 다섯 차례나 크고 작은 화재를 입어 주지스님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그런데 하루는 주지스님 꿈에 긴 지팡이를 짚은 백발노인이 나타나서

청봉에서 절까지 물굽이() 수를 세어보고, 100번 째 구비 치는 곳에 절을 지으면 앞으로 화재가 없을 것이고 절이 번성 할 것이다.라고 일러주었다.

 

이튿날 날이 새자마자 주지 스님은 청봉에서 아래로 하나하나 물굽이를 세어서 100개가 되는 곳에 터를 잡고, 그 곳에 절을 지었는데, 거기에 절을 짓고 나서는 과연 화재가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그 곳이 바로 지금 백담사가 있는 자리이며, 물이 100번 감돌았다는 뜻으로 절 이름도 百潭寺(백담사)라 하게 되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576
402 느리미고사리3.JPG 贈劉景文(증류경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44
401 느리미고사리2.JPG 壽星院寒碧軒(수성원한벽헌)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02
400 노루귀 (6).JPG 故周茂叔先生濂溪(고주무숙선생렴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548
399 노루귀 (5).JPG 送子由使契丹(송자유사계단)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500
398 노루귀 (4).JPG 書王定國所藏煙江疊嶂圖(서왕정국소장연강첩장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457
397 냉이9.JPG 書李世南所畫秋景(서리세남소화추경) ​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642
396 냉이7.JPG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523
395 냉이4.JPG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517
394 나리4 (2).jpg 水龍吟(수룡음) 次韻章質夫楊花詞(차운장질부양화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536
393 나리3.JPG 惠崇春江晩景(혜숭춘강만경)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419
392 나리3 (2).jpg 惠崇春江晩景(혜숭춘강만경)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448
391 나리1 (2).jpg 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446
390 나리 (11).JPG 溪陰堂(계음당)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7 405
389 나리 (10).jpg 書林逋詩後(서림포시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7 444
388 나리 (9).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7 466
387 꽃잔디(20).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3 508
386 꽃잔디(19).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3 463
385 꽃잔디(18).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3 408
384 꽃잔디 (15).JPG 孫莘老寄墨(손신노기묵) 四首(사수)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0 464
383 꽃잔디 (14).JPG 孫莘老寄墨(손신노기묵) 四首(사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0 45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