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백양이 설법을 들은 白羊寺(백양사)

청남

 

백양이 설법을 들은 白羊寺(백양사)

 

소재지: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白巖山(백암 )에 있는 절

 

내장산 국립공원 안에 포함되어 있는 이 절은 내장산이 아닌 울창한 백암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백양사를 찾는 사람은 우선 절 경내에 들어서기 전에

아름드리 비자나무 숲에 놀랄 것이다. 나무에 대해 조금이라도 상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비자나무가 얼마나 더디 크는 나무인지 알 턴데, 그런 눈으로 본다면 백양사의 비자나무 숲의 수령은 몇 백 년인지 그저 감탄할 따름일 것이다.

 

경내에 들어서자 대웅전 바로 뒤에 깎아지른 듯 큰 봉우리가 절을 안고 있듯이 굽어보고 있어, 산과 절이 한데 어울려 비길대 없이 거룩한 佛世界(불세계)를 이루고 있다.

특별히 백양사는 관광객이 많이 모이지 않는 비수기에 찾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절 입구에 세워있는 돌 비석에 쓰인 이뭐꼬?하는 말의 뜻을 음미하면서, 나는 어디서 왔으며, 지금 어디에 있으며, 장차 나는 어디로 가는 것일까? 그리고 나는 누구일까? 하는 생강을 조용한 명상 속에 생각해보며, 백양사를 돌아보려면 백양사를 찾은 보람이 더욱 있을 것이다.

 

백양사의 아름다움은 우리들뿐만 아니고 고려 말의 대학자 목은 이색선생도 그곳을 찾아 아름다운 경체에 취해 남긴 글이 지금도 전하고 있다.

 

1) 백양(白羊)이 설법을 들은 곳.

 

白羊寺(백양사)는 원래 백암사 혹은 정토사라고 불리던 절이었다.

그런데 조선 숙종 때 환양선사(喚羊禪師)가 이 절에서 큰 설법을 하게 되었는데, 선사의 설법을 들으러 많은 사람들이 모여 들었다.

 

선사는 심오한 아미타경(阿彌陀經)의 내용을 유려하면서도 쉽게 풀이해서 누구라도 이해 할 수 있도록 설법을 하니 듣는 사람들의 마음에 환희심이 생기고 거룩한 부처님의 참 가르침이 가슴 깊은 데까지를 두드렸다.

설법은 밤 낮 7일이 계속되었는데, 7일 동안 산에서 백양(白羊) 한 마리가 내려와 선사의 설법을 열심히 듣고 있었다.

 

어떤 사람이 경내에 들어 온 백양을 쫓아 버리려하자, 선사께서 모든 민물이나 초목까지도 다 부처님의 말씀은 들을 권리가 있으니 그냥 두라고 말하여, 백양(白羊)은 자유롭게 선사의 설법을

 

끝까지 다 들을 수가 있었다.

 

설법이 끝나자 양은 눈물을 흘리며, 선사에게 절을 하고는 산으로 올라가 버렸는데, 그날 밤 대사의 꿈에 설법을 듣던 그 양이 나타나, 자신은 원래 하늘나라에 살던 신()이었으며, 하늘나라에서 죄를 지어, 그 죄()로 양이 되어 땅위에 추방되었는데 선사(禪師)의 설법을 듣고 죄를 용서받아 다시 천국으로 환생하여 가게 되었다, 고 절을 하였다.

 

이튿날 아침 대사가 문을 열고 보니 영천암 아래에 흰 양이 한 마리 죽어 있었다.

그 이후 절 이름을 白羊寺(백양사)라고 고쳐 불렀다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701
414 대극5.JPG 軾在潁州 與趙德麟同治西湖 未成 改揚州 三月十六日湖成 德麟有詩 見懷 次其韻(식재영주 여조덕린동치서호 미성 개양주 삼월십륙 일호성 덕린유시견회 차기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438
413 당귀1.JPG 淮上早發(회상조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485
412 담쟁이덩굴7.JPG 送運判朱朝奉入蜀(송운판주조봉입촉)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460
411 담쟁이덩굴6.JPG 聚星堂雪(취성당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446
410 단풍 (14).JPG 泛潁(범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617
409 단풍 (13).JPG 放魚(방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566
408 단풍 (12).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3-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424
407 다육 24.3  (60).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2-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722
406 다육 24.3  (59).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1-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607
405 다육 24.3  (58).JPG 再和楊公濟梅花十絶(재화양공제매화십절)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470
404 다육 24.3  (57).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8-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418
403 느티나무 (1).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90
402 느리미고사리3.JPG 贈劉景文(증류경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62
401 느리미고사리2.JPG 壽星院寒碧軒(수성원한벽헌)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27
400 노루귀 (6).JPG 故周茂叔先生濂溪(고주무숙선생렴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614
399 노루귀 (5).JPG 送子由使契丹(송자유사계단)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530
398 노루귀 (4).JPG 書王定國所藏煙江疊嶂圖(서왕정국소장연강첩장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471
397 냉이9.JPG 書李世南所畫秋景(서리세남소화추경) ​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695
396 냉이7.JPG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542
395 냉이4.JPG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54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