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안동의 사찰 地藏寺(지장사)

관리자이메일
안동의 사찰 地藏寺(지장사)

경북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273
        ☎(054)859-1807

1. 위치

안동에서 대구 방면으로 가는 국도를 따라 가다가 암산 유원지 앞으로 가는 옆길을 따라 안산 굴을 지나 약 500m 가량 가면 왼편 언덕에 큰 사찰의 건물이 보인다.

이 사찰은 접근성이 좋아서 경행 각지에서 많은 시도 들이 모여들고 있다.


        <댕웅전. 돌 기단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웅전 건물은 기둥이나 석가래를 큰 것으로 써서 천년은 지탱할 만금 견고한
                  건물이다. 단청을 아름답게 하였고 벽에는 벽화도 글려져 있다.>




        <대웅전 현판>

3
대웅전의 주련

                              

刹塵心念可數知(찰진심념가수지)
大海中水可飮盡(대해중수가음진)
虛空可量風可繫(허공가량풍가계)
無能盡說佛功德(무능진설불공덕)
<해>
        이 세상 모든 티끌 다 헤아려 알 수 있고
        큰 바다의 물까지 모두 마실 수 있으며
        허공을 알고 바람을 묶는 재주가 있어도
        부처님의 공덕은 다 말로 못하리라.


2. 유래와 전설.
지금도 불사 중인 이 절은 원래 안동시 평화동에 있었는데 사찰 터가  좁아 녹전면으로 이사 갔다가 다시 이곳으로 옮겨와서 지금도 불사를 하는 중이다.

그리고 이 절은 비구니스님들의 기도 도량으로 남에게 알리는 것을 별로 좋아 하지 않아서 절을 알리는 홍보에는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 듯 하다.

그래서 도로 가에나 입구에 지장사를 알리는 안내판도 없고, 사찰 안에 들어 와도 지장사라는 현판도 붙어 있지 않다. 원래 이곳은 포도밭이었는데 그 밭을 정리하여 사찰을 지었는데, 아직 경내에 큰 나무가 없어서 사찰이 그윽한 운치가 없는 것이 유감이다.
세월이 흐르면 나무도 자라고 사찰의 풍위도 더 높아지리라 생각한다.

서향인 언덕 위에 있는 이 절에는 지금 대웅전과 산신각, 그리고 스님들이 기거하는 승방과 해우소가 있으면 가건물이 공양간이 있다.




        <아웅전 안에 안치된 석가모니 부처님과 현시보살>





        <대웅전의 신중탱화>




        <대웅전에 칠성탱화>



        <대웅전 안에 벽화>



산신각





                <산신각 현판>


산신각 주련
          


靈山昔日如來囑(영산석일여래촉)
威振江山度衆生(위진강산도중생)
<해>
        옛날 영산에서 부처님의 위촉으로
        이 강산의 중생 제도위해 위엄 떨치셨네.



        <산신탱화>



             <산신각 내부에 벽화. 신선들이 바둑을 두고 있는 한가한 모습.>





        <아기들과 노는 나반존자.>





        <공사중인 공양간>




        <대웅전 서편에 있는 공터. 앞으로 다른 건물이 들어 설 예정인지도 모른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29
410 단풍 (14).JPG 泛潁(범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603
409 단풍 (13).JPG 放魚(방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556
408 단풍 (12).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3-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416
407 다육 24.3  (60).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2-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703
406 다육 24.3  (59).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1-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600
405 다육 24.3  (58).JPG 再和楊公濟梅花十絶(재화양공제매화십절)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460
404 다육 24.3  (57).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8-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409
403 느티나무 (1).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82
402 느리미고사리3.JPG 贈劉景文(증류경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56
401 느리미고사리2.JPG 壽星院寒碧軒(수성원한벽헌)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416
400 노루귀 (6).JPG 故周茂叔先生濂溪(고주무숙선생렴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582
399 노루귀 (5).JPG 送子由使契丹(송자유사계단)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523
398 노루귀 (4).JPG 書王定國所藏煙江疊嶂圖(서왕정국소장연강첩장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464
397 냉이9.JPG 書李世南所畫秋景(서리세남소화추경) ​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675
396 냉이7.JPG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533
395 냉이4.JPG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2 538
394 나리4 (2).jpg 水龍吟(수룡음) 次韻章質夫楊花詞(차운장질부양화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544
393 나리3.JPG 惠崇春江晩景(혜숭춘강만경)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433
392 나리3 (2).jpg 惠崇春江晩景(혜숭춘강만경)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458
391 나리1 (2).jpg 楊康功有石狀如醉道士爲賦此詩(양강공유석상여취도사위부차시) ​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9 45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