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邨(산촌) 五絶(오절) 4 蘇東坡(소동파)
杖藜裹飯去忽忽(장려과반거홀홀) 過眼靑錢轉手空(과안청전전수공)
贏得兒童語音好(영득아동어음호) 一年强半在城中(일년강반재성중)
|
명아주 지팡이 집고 도시락 싸서 바삐 가도
靑苗錢(청묘전)은 눈 깜빡 할 사이 없어지고 빈손.
이익으로 얻은 것은 아이들의 말투가 좋아진 것
일 년 태반을 성안에서 지내니까.
【註】
藜(려) 맹아주.
忽忽(홀홀) 급히 서두는 모양.
靑錢(청전) 靑銅(청동) 錢(전). 매년 벼가 아직 푸를 때 백성에게 돈을 빌려주고, 가을 추수 할 때 이식을 붙여서 반환시켰다. 王安石(왕안석)이 만든 靑苗法(청묘법)이다.
贏得(영득) 이득을 본다.
强半(강반) 중국 수학에서는 3 /4을 강반, 1/4를 弱半(약반)이라 하였다.
【解說】
靑苗錢(청묘전)은 허울 뿐 진실로 곤란한 농민에게는 돌아가지 않는다. 청묘전을 빌리려가도 눈 깜박할 사이 없어지고, 농사를 지어야 할 농가의 아이들은 집안에 먹을 것이 없어 城內(성내)를 방황하니, 덤으로 얻은 것이라고는 아이들의 말투가 제법 세련된 것 뿐이다.
.JPG)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