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韓幹馬十四匹(한간마십사필) 蘇東坡(소동파)

청남

 

 

韓幹馬十四匹(한간마십사필) 蘇東坡(소동파)

 

二馬竝驅攢八蹄(이마병구찬팔제二馬宛頸騣尾齊(이마완경종미제)

一馬任前雙擧後(일마임전쌍거후一馬却避長鳴嘶(일마각피장명시)

老髥奚官騎且顧(노염해관기차고前身作馬通馬語(전신작마통마어)

後有八匹飮且行(후유팔필음차항微流赴吻若有聲(미류부문야유성)

前者旣濟出林鶴(전자기제출림학後者欲涉鶴俛啄(후자욕섭학면탁)

最後一匹馬中龍(최후일필마중룡不嘶不動尾搖風(부시부동미요풍)

韓生畫馬眞是馬(한생화마진시마蘇子作詩如見畫(소자작시여견화)

世無伯樂亦無韓(세무백낙역무한此詩此畫誰當看(차시차화수당간)

 

 

韓幹(한간)의 말 열네 필.

 

나란히 달리는 두 필 여덟 개의 발은 모이고

머리 숙인 두 필은 갈개와 꼬리 가지런하며

한 필은 앞발에 몸을 싫고 뒷발을 들고

옆에 한 필은 몸을 움츠리고 길게 울고 있네.

 

나이 많은 말 탄 胡人(호인)이 뒤돌아보고 있는데

전생에 말인가 말의 말을 알아듣는 듯

뒤에 있는 여덟 필은 걷다가 물먹다가 하는데

얕은 물가에선 물먹는 소리 철벅 들리는 듯하네.

 

앞에 말은 이미 숲을 나와 학같이 섰는데

뒤에 것은 물을 건너며 먹이 쪼는 학같이 긴 목 느리고

제일 뒤에 한 필은 말 중에 용마

울지도 움직이지도 않고 서서 바람에 꼬리만 나부끼네.

 

韓生(한생)이 그린 말은 진실로 산 말이며

蘇氏(소씨)가 지은 시는 마치 그름을 보는 것 같은데

세상에 伯樂(백낙)이 없었다면 韓幹(한간)도 없었으리.

이 시와 이 그림 볼 줄 아는 이 관연 있을까.

 

韓幹(한간) 唐代(당대)의 화가. 陜西省(협서성) 藍田縣(남전현) 사람. 王維(왕유)에게 인정을 받고 그의 추천으로 太府寺丞(태부시승)이 되었다, 말 그림을 잘 그리고 매년 서역에서 바치는 준마를 玄宗(현종)의 뜻을 받아 그 그림을 그렸다. 曹覇(조패)의 제자이다. 두보는 가끔 曹覇(조패)의 말을 칭찬하고 韓幹(한간)의 그림을 부족하다 했다. 조패는 기골이 높은 말을 그리고, 한간은 둥글고 약간 살이 찐 말을 그렸다. 당시 玄宗(현종)筋骨(근골) 行步(행보) 안정된 말을 좋아하여, 그때 까지 다리고 약동하는 것, 털색도 일정한 것이 점차 바뀌어 졌다. 韓幹(한간)은 유행 따라 그렸으며 寫實(사실) 적인 그림이 아니었다. 그러나 후대 사람인 李公麟(이공린)趙孟頫(조맹부)의 교본이 되었다.

() 모으다.

任前,擧後(임전,거후) 사람을 차는 버릇이 있는 말을 식별하는 말. 뒤를 들고, 앞으로 체중이 쏠린듯하다.라고 韓非子(한비자)에 있다.

奚官(해관) () 나라 때 말을 기르는 곳을 관장하는 관리.

通馬語(통마어) 論衡(논형) 實知篇(실지편)廣漢(광한)楊翁仲(양옹중)鳥獸(조수)의 말을 알아들었다. 그의 마차를 끄는 말 가운데 절름발이가 있었다. 들에 방목하고 있는 말과 서로 울부짖고 있을 때, ()은 목장의 말을 눈이 안보이고 서로 욕설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마부가 조사를 해보니 과연 거기 말은 눈이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 잎 술.

() 엎드리다.

 

解說

熙寧(희녕) 10(1077) 徐州(서주)에 있을 때 지음. 그해 33일 청명절에 蘇軾(소식)城外(성외)에 있었으나, 王詵(왕선)韓幹馬十二匹, 共六軸을 보내와 題跋(제발)을 해 달라고 해서 韓幹馬圖書라는 시를 지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62
512 벽오동 (8).jpg 向長(향장)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30 210
511 벽오동 (6).jpg 人誰異草木(인수이초목)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30 196
510 벗꽃4 (2).JPG 寓感(우감)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63
509 벗꽃3.JPG 出郭見丘墓(출곽견구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47
508 벗꽃3 (3).JPG 懷古(회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01
507 벗꽃.24.4.7 (4).JPG 弔伍子胥辭(조오자서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51
506 벗꽃.24.4.7 (3).JPG 梧桐園(오동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78
505 벗꽃.24.4.7 (1).JPG 新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52
504 버들강아지24.3.30 (2).JPG 主客行(주객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323
503 버들강아지13.JPG 里巫行(리무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248
502 버들강아지11.JPG 采茶詞(채다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257
501 백일홍풀 (1) 사본.jpg 養蠶詞(양잠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91
500 백일홍5.JPG 廢宅行(폐택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63
499 백일홍5 사본.jpg 春江行(춘강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52
498 배나무2.jpg 成虎詞(성호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72
497 배나무-1[1].jpg 湖州歌陣太守(호주가진태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69
496 배나무.2024.4.19 (5).JPG 朝鮮兒歌(조선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44
495 배 (12).JPG 東門行(동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327
494 배 (10).JPG 築城詞(축성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251
493 배 (9).JPG 涼州詞(량주사) 2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25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