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蘇東坡(소동파) 海棠篇(해당편) 1080~1084

청남

 

 

蘇東坡(소동파)

 

海棠篇(해당편) 1080~1084

 

元豊(원풍) 2(1079) 1229, 100일간의 구금 생활이 풀려 蘇軾(소식)御史臺(어사대) 감옥에서 나왔다. 곧 설을 식고, 가족은 동생 蘇轍(소철)에 맡기고 아들 ()만을 대리고 黃州(황주) 配所(배소)로 떠났다.

21, 黃州(황주)에 도착하였다. 황주는 武昌(무창)의 동남동 60키로, 양자강 왼편에 있다. 對岸(대안)武昌(무창)의 서편 산이 이어져 있고, 樊溪(번계)가 흘러 들어가는 樊口(번구)鯿魚(편어)가 잡히는 곳으로 유명하며, 黃州(황주) 측 강가에 있는 赤壁(적벽)과 함게 배를 타고 뱃놀이하는 행동반경 속에 있다.

樊口(번구)에 술집을 경영하는 ()씨 집에 가서 10여일이나 풍랑으로 돌아올지 못하는 일들은 황주 지사에게는 괴운 일이었다. 蘇軾(소식)은 아직도 죄인이기 때문이다.

黃州(황주) 생활은 蘇軾(소식)에게는 너무나 힘이 들었다. 형의 가족까지 부양하던 蘇轍(소철)은 한 때 형이상으로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그리하여 형의 가족을 대리고 黃州(황주)에 가서 얼마 뒤 혼자 筠州(균주)로 돌아갔다. 가족이 다 모여 살게 된 것은 매우 기쁜 일이나, 무에 가까운 녹봉으로 생계가 되지 않았다. 장남 ()22, 차남 ()11, 남남 ()9세이다.

 

黃州(황주)에 와서 2년 째, 생활은 날로 어렵고, 먹는 시량도 없었다. 이것을 본 馬夢得(마몽득)이라는 사람이 공지를 빌려 蘇軾(소식) 일가가 경작해서 양식을 얻도록 배려 해주었다. 繼室(계실)()씨는 양잠을 하였다.

어언 소도 한 마리 생겼다. 그 노동의 괴로움과 즐거움, 수확에 거는 기대 등을 東坡八首(동파팔수)에 적었다. 蘇軾(소식)은 이 경작지를 東坡(동파)라고 이름 하였다. 黃州(황주) 북쪽에 岐亭(기정)이라는 곳에 隱者(은자) 같은 생활을 하는 사람이 있어 가끔 왕래하였으며, 책을 빌려주는 胡定之(호정지)라는 사람도 있었다.

黃州(황주)에 온지 3년 만에 東坡(동파)에 인접한 황무지를 사서 書齋(서재)를 짓고 스스로 붓을들어 東坡雪堂(동파설당)이라는 扁額(편액)을 걸었다. 대설 중에 당이 완성되었으므로 사방 벽에 雪景(설경)을 그렸다. 그리고 이때부터 東坡居士(동파거사)라고 호를 정했다.

이런 어려운 생활 속에서도 東坡(동파)는 풍류를 멀리하지 않고 많은 명작을 남겼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2
510 벗꽃4 (2).JPG 寓感(우감)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58
509 벗꽃3.JPG 出郭見丘墓(출곽견구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44
508 벗꽃3 (3).JPG 懷古(회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00
507 벗꽃.24.4.7 (4).JPG 弔伍子胥辭(조오자서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50
506 벗꽃.24.4.7 (3).JPG 梧桐園(오동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76
505 벗꽃.24.4.7 (1).JPG 新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49
504 버들강아지24.3.30 (2).JPG 主客行(주객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319
503 버들강아지13.JPG 里巫行(리무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246
502 버들강아지11.JPG 采茶詞(채다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256
501 백일홍풀 (1) 사본.jpg 養蠶詞(양잠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89
500 백일홍5.JPG 廢宅行(폐택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59
499 백일홍5 사본.jpg 春江行(춘강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50
498 배나무2.jpg 成虎詞(성호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71
497 배나무-1[1].jpg 湖州歌陣太守(호주가진태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68
496 배나무.2024.4.19 (5).JPG 朝鮮兒歌(조선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42
495 배 (12).JPG 東門行(동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323
494 배 (10).JPG 築城詞(축성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250
493 배 (9).JPG 涼州詞(량주사) 2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248
492 박태기나무 (25).JPG 涼州詞(량주사) 1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68
491 박태기나무 (24).JPG 阿那瓖(아나양)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6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