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石佛寺柱聯(석불사주련)

청남

 

石佛寺柱聯(석불사주련)

 

동내안에서 우리와 함께 계시는 석불사 부처님
소재지 : 안동시 안기동 144-2
(054) 852- 7496



석불사는 일반 가정집을 그대로 절로 사용하는 아주 소박하고 순수한 사찰이다.
울창한 산림 속에, 고대광실 높은 전각을 짓고 부처님을 모신 절이 우리들이 생각하는 일반적인 사찰이라면, 석불사는 전여 그런 것과는 거리가 먼 절이다.

바로 우리의 생활의 현장에서, 그 집의 형식도 우리들이 사는 허름한 집과 조금도 다르지 않는 집에 부처님을 모시고 늘 불공을 올리며 성심성의 기도를 하고 도를 닦는 스님이 있다.

 

 

 

 

 

              

 

 

一葉紅蓮在海東  일엽홍련재해동
碧波深處現神通  벽파심처현신통
昨夜補陀觀自在  작야보타관자재
今朝降赴道場中  금조강부도량중


<해>
        한 떨기 붉은 연꽃이 바다 동쪽에 피어나니
        푸른 파도 깊은 곳에 신통을 보이도다.
        간 밤에 보타락가산에 계시던 관자재보살이
        오늘 아침 이 도량에 강림하셨네.


< 참고>
이 주련글은 관음전의 예경문의 일부이다. (석문의범 출전)
원전은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天地冥陽水陸齋儀梵音刪補集, 1709 智還)의 영산작법절차(靈山作法節次) 중관음청(觀音請)
가영(歌詠)으로 실려 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2
510 벗꽃4 (2).JPG 寓感(우감)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58
509 벗꽃3.JPG 出郭見丘墓(출곽견구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44
508 벗꽃3 (3).JPG 懷古(회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6 200
507 벗꽃.24.4.7 (4).JPG 弔伍子胥辭(조오자서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50
506 벗꽃.24.4.7 (3).JPG 梧桐園(오동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76
505 벗꽃.24.4.7 (1).JPG 新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22 249
504 버들강아지24.3.30 (2).JPG 主客行(주객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319
503 버들강아지13.JPG 里巫行(리무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246
502 버들강아지11.JPG 采茶詞(채다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9 256
501 백일홍풀 (1) 사본.jpg 養蠶詞(양잠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89
500 백일홍5.JPG 廢宅行(폐택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59
499 백일홍5 사본.jpg 春江行(춘강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5 250
498 배나무2.jpg 成虎詞(성호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71
497 배나무-1[1].jpg 湖州歌陣太守(호주가진태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68
496 배나무.2024.4.19 (5).JPG 朝鮮兒歌(조선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11 242
495 배 (12).JPG 東門行(동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323
494 배 (10).JPG 築城詞(축성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250
493 배 (9).JPG 涼州詞(량주사) 2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5 248
492 박태기나무 (25).JPG 涼州詞(량주사) 1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68
491 박태기나무 (24).JPG 阿那瓖(아나양)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6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