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贈東林總長老(증동림총장노) 蘇東坡(소동파)

청남

 

 

贈東林總長老(증동림총장노) 蘇東坡(소동파)

 

溪聲便是廣長舌(계성편시광장설山色豈非淸淨身(산색개비청정신)

夜來八萬四千偈(야내팔만사천게他日如何擧示人(타일여하거시인)

 

 

동림의 총장로에게 드림

 

시냇물 소리는 부처님의 설법이요

산 빛은 깨끗한 부처님의 法身(법신)일세.

밤 새 쏟아내는 팔만사천 부처님의 게송

다음날 남에게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네.

 

總長老(총장노) 불교의 덕이 높은 노스님.

廣長舌(광장설) 오래 오래 말을 많이 하는 것.

淸淨身(청정신) 일체의 악에 물들지 않고 번뇌에서 해탈한 깨긋한 몸.

八萬四千(팔만사천) 法華經(법화경) 華嚴經(화엄경) 등에 많이 보이는 숫자로, 매우 많다는 표현.

() 偈頌(게송)

擧似(거사) 다른 사람에게 제시하고 보이는 것.

解說

위의 내용을 통하여 우린 한 인간(소동파)의 깨우침에 이르는 변화를 보았으며, 소동파의 생각의 변화를 살펴보았는바, 자존은 높이되 자만을 버려야합니다.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上善若水(상선약수) 처럼 물같이 부드럽게 흘러서 낮은 곳으로 내려가야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5
492 박태기나무 (25).JPG 涼州詞(량주사) 1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72
491 박태기나무 (24).JPG 阿那瓖(아나양)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64
490 박태기나무 (23).JPG 解妾珮(해첩패)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76
489 박대기2024.4.20 (4).JPG 神女宛轉歌(신녀완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311
488 박대기2024.4.20 (3).JPG 永嘉行(영가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75
487 박대기2024.4.20 (2).JPG 野田行(야전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81
486 밀1.JPG 神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36
485 민들레2024.4.29 (3).JPG 悲歌(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26
484 민들레2024.4.29 (2).JPG 鳳臺曲(봉대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292
483 민들래 (3).JPG 征婦怨(정부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30
482 민들래 (2).JPG 雙桐生空井(쌍동생공정)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295
481 민들래 (1).JPG 楊白花(양백화)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16
480 무화과4.JPG 君馬黃(군마황)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76
479 무화과4 사본.jpg 長相思(장상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294
478 무화과3.JPG 空城雀(공성작)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10
477 무궁화.2024.7 (39).JPG 隴頭水(롱두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07
476 무궁화.2024.7 (37).JPG 巫山髙(무산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18
475 무궁화.2024.7 (36).JPG 薊門行(계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260
474 무궁화.2024.7 (12).JPG 蒿里歌(호리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321
473 무궁화.2024.7 (11).JPG 雉子班(치자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27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