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孫莘老寄墨(손신노기묵) 四首(사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孫莘老寄墨(손신노기묵) 四首(사수) -3- 蘇東坡(소동파)

 

我貧如饑鼠(아빈여기서長夜空齩齧(장야공교설)

瓦池硏竈煤(와지연조매葦管書柿葉(위관서시섭)

近者唐夫子(근자당부자遠致烏玉玦(원치오옥결)

先生又繼之(선생우계지圭璧爛箱篋(규벽난상협)

晴窗洗硯坐(청창세연좌蛇蚓稍蟠結(사인초반결)

便有好事人(편유호사인敲門求醉帖(고문구취첩)

 

孫莘老(손신노) 먹을 보내오다.

 

가난한 내 생활은 굶주린 쥐 같이

긴 밤 일 없이 깔아 대는

글을 쓰려도 기와 같은 벼루에 솥 밑 검정 같은 먹

갈대 자루 붓에 감잎에 쓰고 있네.

 

그런데 근래 唐夫子(당부자)

멀리서 좋은 烏玉玦(오옥결) 먹을 보내주고

이어서 선생은 또

圭玉(규옥)碧玉(벽옥) 같은 먹을 상자 속에 넣어 주었다.

 

맑은 날 창가에서 벼루를 씻고 앉으니

구불구불 배이나 지렁이 같은 글씨가 따리를 틀고 있는데

그런데 好事家(호사가)가 있어

문을 두드리고 술김에 쓴 글씨를 얻고자 하네.

 

孫莘老(손신노) 孫覺(손각). 高郵(고우) 사람. 王安石(왕안석)과 친했으나 의견이 달라 중앙정부 에서 떠났으나 哲宗(철종) , 御使中丞(어사중승)이 되어 龍圖閣學士(용도각학 )가 되었다. 熙寧(희녕) 4, 吳興(오흥) 태수가 되어 墨妙亭(묵묘정)을 지었 .

寄墨(기묵) 먹 보내주는 것을 받았다.

齩齧(교설) 이빨로 물어뜯다.

瓦池(와지) 기와로 벼루를 대신 헤서 쓰는 것과 같이 불량한 벼루

() ()과 같음.

竈煤(조매) 솥에 검정. 그것을 모아서 만든 듯한 질이 나쁜 먹.

葦管(위관) 갈대 대궁으로 만든 듯한 질이 나쁜 붓

書柿葉(서시섭) ()鄭虔(정건)은 종이를 살 형편이 되지 않아 慈恩寺(자은사)에서 감 잎을 모아 많이 저장해두고 매일 여기에 연습을 했는데 몇 년이 되자 모든 잎에 글자를 다 썼다고 한다.

唐夫子(당부자) 唐坰(당경). 자는 林夫(임부). 夫子(부자)는 남자의 존칭. 熙寧(희녕) 년간에 安石(왕안석)의 천거로 諫官(간관)이 되었으나, 王安石(왕안석)을 비방하자 潮州 (조주) 別駕(별가)로 좌천되고 吉州(길주) 酒稅(주세)로 갔다가 거기서 죽었다.

烏玉玦(오옥결) 먹의 이름.

圭璧(규벽) 내모난 옥과 둥근 모양의 옥

箱篋(상협) 큰 상자와 작은 상자

蛇蚓(사인) 뱀과 지렁이. 그와 같이 구불구불한 글씨

醉帖(취첩) 술김에 쓴 글씨.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29
490 박태기나무 (23).JPG 解妾珮(해첩패)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72
489 박대기2024.4.20 (4).JPG 神女宛轉歌(신녀완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304
488 박대기2024.4.20 (3).JPG 永嘉行(영가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72
487 박대기2024.4.20 (2).JPG 野田行(야전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76
486 밀1.JPG 神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31
485 민들레2024.4.29 (3).JPG 悲歌(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22
484 민들레2024.4.29 (2).JPG 鳳臺曲(봉대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288
483 민들래 (3).JPG 征婦怨(정부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27
482 민들래 (2).JPG 雙桐生空井(쌍동생공정)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293
481 민들래 (1).JPG 楊白花(양백화)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13
480 무화과4.JPG 君馬黃(군마황)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65
479 무화과4 사본.jpg 長相思(장상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294
478 무화과3.JPG 空城雀(공성작)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04
477 무궁화.2024.7 (39).JPG 隴頭水(롱두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00
476 무궁화.2024.7 (37).JPG 巫山髙(무산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11
475 무궁화.2024.7 (36).JPG 薊門行(계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258
474 무궁화.2024.7 (12).JPG 蒿里歌(호리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318
473 무궁화.2024.7 (11).JPG 雉子班(치자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277
472 무궁화.2024.7 (10).JPG 王明君(왕명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337
471 목련17 (20).JPG 將進酒(장진주)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30 34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