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書晁補之所藏與可畫竹(서조보지소장여가화죽)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晁子拙生事(조자졸생사擧家聞食粥(거가문식죽)

朝來又絶倒(조내우절도諛墓得霜竹(유묘득상죽)

可憐先生盤(가련선생반朝日照苜蓿(조일조목숙)

吾詩固云爾(오시고운이可使食無肉(가사식무육)

 

晁子(조자)는 생계를 잘 할 재주가 없어

온 집안이 죽만 먹고 사는데

오늘 아침 또 나를 웃기에 한 것은

묘비를 써서 霜竹(상죽) 그림을 얻었다고 한다.

 

가련하게도 선생의 소반에는

아침 해에 비칠 때 말의 먹이 같은 것

나는 시로서 그대에게 말하는데

식사에 고기 없어도 집에 대가 없으면 안된다고.

 

拙生事(졸생사) 顔眞卿(안진경)의 시 속에, 사는 일에 쫒겨 온 집안이 모두 죽을 먹는다.라는 구절이 있다.

絶倒(절도) 웃을 일이나 슬픈 일이나 감정이 극에 달하여 외부에 나타나는 것.

諛墓(유묘) 돈을 멀기 위해서는 마음에 없는 소리라도 해서 죽은 자를 칭찬하는 묘비의 글을 스는 것.

苜蓿(목숙) 말의 먹이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29
490 박태기나무 (23).JPG 解妾珮(해첩패)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72
489 박대기2024.4.20 (4).JPG 神女宛轉歌(신녀완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304
488 박대기2024.4.20 (3).JPG 永嘉行(영가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72
487 박대기2024.4.20 (2).JPG 野田行(야전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76
486 밀1.JPG 神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31
485 민들레2024.4.29 (3).JPG 悲歌(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22
484 민들레2024.4.29 (2).JPG 鳳臺曲(봉대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288
483 민들래 (3).JPG 征婦怨(정부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27
482 민들래 (2).JPG 雙桐生空井(쌍동생공정)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293
481 민들래 (1).JPG 楊白花(양백화)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13
480 무화과4.JPG 君馬黃(군마황)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65
479 무화과4 사본.jpg 長相思(장상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294
478 무화과3.JPG 空城雀(공성작)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04
477 무궁화.2024.7 (39).JPG 隴頭水(롱두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00
476 무궁화.2024.7 (37).JPG 巫山髙(무산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11
475 무궁화.2024.7 (36).JPG 薊門行(계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258
474 무궁화.2024.7 (12).JPG 蒿里歌(호리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318
473 무궁화.2024.7 (11).JPG 雉子班(치자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277
472 무궁화.2024.7 (10).JPG 王明君(왕명군)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337
471 목련17 (20).JPG 將進酒(장진주)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1-30 34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