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5- 蘇東坡(소동파)

청남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5- 蘇東坡(소동파)

 

去鄕三十年(거향삼십년風雨荒舊宅(풍우황구댁)

惟存一束書(유존일속서寄食無定跡(기식무정적)

每用愧淵明(매용괴연명尙取禾三百(상취화삼백)

頎然六男子(기연륙남자粗可傳淸白(조가전청백)

於吾豈不多(어오개부다何事復歎息(하사부탄식)

 

고향 떠나 어언 삼십년

풍우에 옛집은 황패 되었으리

오직 한 다발 서책을 갖고

기식하며 정한 장소도 없네.

 

항상 도연명께 부끄러운 것은

그르면서도 얼마간의 녹봉을 받는 것

 

의젓하게 자란 육 형제에게

청렴결백한 이름 전하리라.

내게 육형제 작다고 하겠나.

또 탄식하는 것은 어찌된 일인가.

 

一束書(일속서) 한 권의 시. 여기서는 韓愈(한유)의 아들에게 주는 시.

寄食(기식) 남에게 의지해서 밥을 먹음. 관리로 생활하는 것.

禾三百(화삼백) 祿俸(녹봉)을 말 함.

頎然(기연) 키가 크고 잘 생긴 모양.

六男子(륙남자) 東坡(동파)의 여섯 아들.

淸白(청백) 청렴결백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357
457 모과2.JPG 藤州江上夜起對月贈邵道士(등주강상야기대월증소도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4 246
456 모과1.JPG 六月二十日夜渡海(륙월이십일야도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4 275
455 명자 (11).JPG 澄邁驛通潮閣(징매역통조각)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0 313
454 명자 (10).JPG 汲江煎茶(급강전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0 263
453 명자 (9).JPG 庚辰歲人日作 時聞黃河已復北流 老臣舊數論此 今斯言乃驗 (경신세인일작 시문황하이부배류 노신구삭논차 금사언내험) ​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0 311
452 머루4.JPG 縱筆(종필)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6 313
451 머루3.JPG 縱筆(종필) 三首(삼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6 283
450 머루2.JPG 縱筆(종필) 三首(삼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6 281
449 매화17 (37).JPG 倦夜(권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2 368
448 매화17 (34).JPG 遷居之夕聞鄰舍兒誦書欣然而作(천거지석문린사아송서흔연이작) ​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2 297
447 매화17 (32).JPG 上元夜過赴儋守召獨坐有感(상원야과부담수소독좌유감) ​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2 270
446 매화6.JPG 糴米(적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9 313
445 매화6 (2).JPG 和陶止酒(화도지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9 289
444 매화5.JPG 吾謫海南 子由雷州 被命卽行 了不相知 至梧 乃聞尙在藤也 旦夕當追及 作此詩示之 (오적해남 자유뇌주 피명즉항 료부상지 지오 내문상재등야 단석당추급 작차시시지) 蘇東坡(소 청남 24-10-29 291
443 매실 (4).JPG 西江月(서강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6 371
442 매실 (3).JPG 丙子重九(병자중구)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6 282
441 매실 (2).JPG 縱筆(종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6 287
440 만병초2 사본.jpg 食荔支(식려지) 二首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2 324
439 만병초1.jpg 蝶戀花(접련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2 292
438 마타리1 사본.jpg 新年(신년) 五首(오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2 27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