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天竺寺(천축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天竺寺(천축사) 蘇東坡(소동파)

 

香山居士留遺跡(향산거사류유적天竺禪師有故家(천축선사유고가)

空詠連珠吟疊璧(공영련주음첩벽已亡飛鳥失驚蛇(이망비조실경사)

林深野桂寒無子(림심야계한무자雨浥山薑病有花(우읍산강병유화)

四十七年眞一夢(사십칠년진일몽天涯流落淚橫斜(천애류낙누횡사)

 

天竺寺(천축사)

 

천축사엔 향산거사가 남은 유적이 있고

천축선사의 고가도 있네.

연주체 아름다운 시를 읊어보는데

이미 새 날고 뱀 놀랄만한 필적은 사라져 없네.

 

숲이 깊어 야생 계수나무는 그늘로 열매 맺지 않고

비에 젖은 생각은 죽어가며 겨우 꽃이 피었는데

사십칠 년은 진실로 한바탕 꿈과 같고

하늘 끝으로 유랑하는 몸 눈물 한 없이 흐르네.

 

天竺寺(천축사) 虔州(건주) 성 밖 40貢水(공수) 동쪽에 있는 절.

香山居士(향산거사) 白居易(백거이)河南(하남) ()으로 있을 때 香山寺(향산사) 승려와 친하게 지냈는데 그 때 향산거사라고 불렀다.

連珠(련주) 聯珠體(연주체)의 시를 말 한다. 白居易(백거이)의 시와 같이 고의로 같은 글자를 많이 쓰는 것.

疊璧(첩벽) 白居易(백거이)의 시에서 疊用(첩용)되는 구절.

飛鳥失驚蛇(비조실경사) 여기서는 白居易(백거이)의 뛰어난 墨跡(묵적)을 말 함.

山薑(산강) 생강

 

解說

予年十二 先君自虔州歸 爲予言 近城山中天竺寺 有樂天親書詩云

一山門作兩山門 兩寺原從一寺分 東澗水流西澗水 南山雲起北山雲 前臺花發後臺見 上界鐘聲下界聞 遙想吾師行道處 天香桂子落紛紛

筆勢奇逸 墨跡如新 今四十七年矣 予來訪之 則詩已亡 有石刻存耳 感涕不已 而作是詩

 

紹聖(소성) 원년(1094), 惠州(혜주)로 가는 도중 虔州(건주)에서 지은 시이다. 47년 전 여행에서 돌아온 아버지로부터 건주 천축사에 백락천의 자필 시가 있다는 말을 들은 東坡(동파), 지금 惠州(혜주)로 가는 도중, 천축사에 들러 보니 詩稿(시고)는 이미 없어졌고, 그 시가 돌에 조각되어 있었다. 필적이 기이하고 묵적은 바로 지금 쓴 것과 같았는데, 지금 47년 뒤 방문해 보니 감회가 깊어 눈물이 나 이시를 지어서 남기로 했다. 백락천의 시는 다음과 같았다.

 

一山門作兩山門(일산문작량산문)

兩寺原從一寺分(량사원종일사분)

東澗水流西澗水(동간수류서간수)

南山雲起北山雲(남산운기배산운)

前臺花發後臺見(전대화발후대견)

上界鐘聲下界聞(상계종성하계문)

遙想吾師行道處(요상오사항도처)

天香桂子落紛紛(천향계자낙분분)

 

한 산의 문은 두 산의 문이 되고

두 절은 원래 한 절에서 갈라졌네.

동쪽 계곡의 물을 흘러 서쪽 계곡 물이 되고

남산에 구름 일어 북산의 구름 되네.

 

앞에 누대에 꽃피니 뒤 누대서 볼 수 있고

상계의 종소리 하계에서도 들리는데

아득히 생각하기를 우리 스승 가신 곳

하늘의 향기와 계수나무 열매 떨어져 분분한 곳이리.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357
457 모과2.JPG 藤州江上夜起對月贈邵道士(등주강상야기대월증소도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4 246
456 모과1.JPG 六月二十日夜渡海(륙월이십일야도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4 275
455 명자 (11).JPG 澄邁驛通潮閣(징매역통조각)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0 313
454 명자 (10).JPG 汲江煎茶(급강전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0 263
453 명자 (9).JPG 庚辰歲人日作 時聞黃河已復北流 老臣舊數論此 今斯言乃驗 (경신세인일작 시문황하이부배류 노신구삭논차 금사언내험) ​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10 311
452 머루4.JPG 縱筆(종필) 三首(삼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6 313
451 머루3.JPG 縱筆(종필) 三首(삼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6 283
450 머루2.JPG 縱筆(종필) 三首(삼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6 281
449 매화17 (37).JPG 倦夜(권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2 368
448 매화17 (34).JPG 遷居之夕聞鄰舍兒誦書欣然而作(천거지석문린사아송서흔연이작) ​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2 297
447 매화17 (32).JPG 上元夜過赴儋守召獨坐有感(상원야과부담수소독좌유감) ​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1-02 270
446 매화6.JPG 糴米(적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9 313
445 매화6 (2).JPG 和陶止酒(화도지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9 289
444 매화5.JPG 吾謫海南 子由雷州 被命卽行 了不相知 至梧 乃聞尙在藤也 旦夕當追及 作此詩示之 (오적해남 자유뇌주 피명즉항 료부상지 지오 내문상재등야 단석당추급 작차시시지) 蘇東坡(소 청남 24-10-29 291
443 매실 (4).JPG 西江月(서강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6 371
442 매실 (3).JPG 丙子重九(병자중구)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6 282
441 매실 (2).JPG 縱筆(종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6 287
440 만병초2 사본.jpg 食荔支(식려지) 二首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2 324
439 만병초1.jpg 蝶戀花(접련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2 292
438 마타리1 사본.jpg 新年(신년) 五首(오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22 27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