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안동의 사찰 석천사

청남이메일

안동의 사찰 석천사

 

 


1. 위치: 안동시 서후면 이개2길 43- 1
         054- 858- 8636
         010- 2477- 6674
         보현화 법사.

안동시에서 예천 방면으로 가는 4차선 국도를 달리다가 안동과학 대학교에서 내려 한가산 온천 앞을 지나 약 800m 가령 가서 북쪽으로 접어드는 길을 따라 학가산 쪽으로 가면 자품리로 가는 길로 접어든다.者品里(자품리)는 구한말 이 마을에 鶴林公(학림공)이란 분이 16세의 젊은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여 정6품의 벼슬을 제수 받았는데, 그 뒤 학림공의 덕망과 인품이 이웃 마을에까지 알려져 치송이 자자하였다.그때부터 이 마을의 이름을 才品(재품) 마을이라 하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이 마을에 인재가 많이 태어나는 것을 두려워한 일본사람들이 才(재)자를 者(자)자로 바꾸어 동내 이름을 者品(자품)으로 부르게 했는데 그때부터 재품리가 자품리가 되었다.

자품리로 가는 길은 지금은 포장이 잘되어 노면은 좋으나 중간 중간 갈림길이 많아 자칫 잘못하면 길을 잘못 들 수도 있다.
가장 반응이 좋은 길을 따라 약 4km가량 가면 길가에 사람 키만 한 커다란 <석천사> 표시석이 서있다.





커다란 석천사 표시석.




표시석이 있는 곳에서 왼편으로 꺾어 잘 표장된 길을 따라 약 1,000m 정도만 가면 왼편 산 아래에 지금 한창 불사중인 커다란 신축중인 「대웅전」 건물이 보인다.

좌청룡우백호가 뚜렷하고 앞이 탁 트인 나직한 산 아래 자리 잡은 이 절은 비구니들의 수행 도량으로서 적합할 것 같다. 부드럽고 날카롭지 않는 산세에, 험하지 않고 유순한 기운이 감돌아 누구에게나 친숙감을 주는 좋은 터이고 또한 교통이 편리하여 접근성이 좋아 마음만 먹으면 언제라고 편히 접근 할 수 있는 생활불교의 도량 같다.







절 입구에 있는 석천사 표싯돌.

그리고 비교적 넓은 주차공간은 차를 안심하고 주차 할 수 있어 주차난에 시달리던 도시 사람들에 또 하나의 편안함은 안겨준다.






석천사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어 안전하게 주차하고 편안하게 기도를 할 수 있다.




석천사는 지은 지 오래 된 절이라서, 그 당시 어려운 여건 때문에 법당이 낡았고 또 협소하여 부처님을 편안하게 모실 수 없어서, 약 7년전 이곳에 오게 된 보현화 보살께서는 너 안락한 공간에 부처님을 모시고자 원을 세워 지금 어마어마한 큰 불사가 한창 진행 중이며 멀지 않아 안동에 또 하나의 새로운 불교 명소가 생길 듯하다.





신축중인 대웅전.
측면 2칸, 정면 3칸의 이 목조 건물은 둥근 기둥에 적당한 배흘림으로 잘 다듬어진 기둥이 균형 있게 잘 서있어 전체의 균형미가 공간 속에 넘쳐흐른다.

                

극락전이 완선된 다음 내가 쓴 글씨로 주련이 만들어져 장엄하였다.

(이 글씨는 나의 필적. 마지막 장은 사진에 나오지 않아 게시 못함.)



절 입구 왼편에 낡은 대운전이 있는데 지금도 여기서 스님은 기도를 올리고 수행을 하며 문지방이 달토록 출입한 흔적이 잘 모인다.
대웅전 안에는 삼존불을 정면에 모시고 왼편에 관세음보살을 별도로 모셨고, 신중탱화와, 용신 탱화가 서편에 모셔져 있다.






석천사의 오래된 대웅전







대웅전 안에 모신 삼존불상.





삼존불상 왼편에 모신 관세음보살상.






대웅전에 모신 신중탱화




대웅전 서편에 있는 용신탱화




산신각은 대웅전 뒤편 가파른 언덕위에 있는데, 앞으로 점차 새로 개축해서 절의 터전을 잘 지켜주시고 옹해 주시는 산신님을 편안하게 모셔야 할 것 같다.







대웅전 뒤에 있는 산신각






산신각 안에 안치된 산신탱화와 산신님.






용선사 동편 산 계곡 그늘진 곳에 정갈하게 지은 세심정은 고달픈 기도의 틈틈이 여기서 휴식을 취하고 또한 절을 찾아오는 손님들과 여름에는 차도 한 잔 할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 같다.




용선사 대웅전에 걸려 있는 주련.

             


佛身普遍十方中(불신보변시방중)
三世如來一切同(삼세여래일체동)
廣大願雲恒不盡(광대원운항부진)
汪洋覺海妙難窮(왕양각해묘난궁)
<해>
                부처님은 시방세계에 두루 계시니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님 한결 같으시네
                넓고 크신 원력 구름같이 다함 없고
                한없이 넓은 깨달음의 바다 아득하여 끝이 없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826
387 꽃잔디(20).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3 262
386 꽃잔디(19).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3 210
385 꽃잔디(18).JPG 漁父(어부) 四首(사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3 195
384 꽃잔디 (15).JPG 孫莘老寄墨(손신노기묵) 四首(사수)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0 224
383 꽃잔디 (14).JPG 孫莘老寄墨(손신노기묵) 四首(사수)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20 237
382 꽃잔디 (13).JPG 蘇東坡(소동파) 翰林篇(한림편) 1085~1094 청남 24-08-20 218
381 꽃양귀비2024.5.17 (16).JPG 以玉帶施元長老 元以衲裙相報 次韻二首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7 263
380 꽃양귀비2024.5.17 (15).JPG 次荊公韻(차형공운) 四絶(사절)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7 245
379 꽃양귀비2024.5.17 (14).JPG 去歲九月二十七日在黃州生子 遯小名幹兒 頎然穎異 至今年七月二十八日病亡於金陵 作二詩哭之 (세구월이십칠일재황주생자 둔소명간아 기연영리 지금년칠월이십팔일병망어금능 작이시곡지 청남 24-08-17 233
378 꽃기린.24. (1).JPG 廬山二勝(여산이승) 開先漱玉亭(개선수옥정)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4 301
377 꽃과 나비.jpg 贈東林總長老(증동림총장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4 244
376 꼭두서니5.jpg 過江夜行武昌山聞黃州鼓角(과강야항무창산문황주고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4 212
375 꼭두서니4.jpg 海棠(해당)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4 238
374 귤1.jpg 和秦太虛梅花(화진태허매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0 266
373 궁궁이1.jpg 初秋寄子由(초추기자유)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0 244
372 군자란24.3..JPG 南堂(남당) 五首(오수)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10 239
371 국화 (21).jpg 臨江仙(임강선)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06 253
370 국화 (19).jpg 念奴嬌(염노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06 276
369 국화 (17).jpg 洞仙歌(동선가)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06 284
368 골담초 (4).JPG 魚蠻子(어만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8-04 26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