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단양의 사찰 (구인사)

청남

 

 

단양의 사찰 (구인사)

 

 

대한불교천태종의 총본산인 구인사는 전국에 말사 108개를 거느리고 있으며, 현대식 콘크리트 건물로 된 이색적인 대가람(大伽藍)으로 19668월 창건되었다.

 

그러나 이미 1945년부터 상월원각(上月圓覺)이 이곳에 터전을 마련하고, 천태종의 재흥을 다졌다.

 

구인사를 찾는 사람은 누구라도 이렇게 험하고 좁은 골작에 이토록 거대한 가람이 어떻게 이루어 젓는가 하고 감탄을 금치 못할 것이다.

 

 

소백산의 비로봉·연화봉·국망봉·신선봉 등 구봉팔문(九峰八門) 중 제4봉인 수리봉 밑에, 풍수설에서 말하는 이른바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의 한가운데 연꽃 모양의 지형에 자리 잡은 이 절은 짧은 기간 동안 크게 발전하여 전국 굴지의 사찰이 되었다.

 

 

한국의 전통사찰은 모두 목조 건물이데 구인사 본사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말사도 콘크리토로 짖은 건물이 많다.

그래서 콘크리트 검물에 운치를 더하기 위해 구인사나 그 말사 사찰 건물에는 대부분 화려한 단청이 되어 있고 다양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그런데 급성장을 하느라 콘크리트 건물에 의지하던 천태종도 이제는 자리를 잡고 안정을 찾게 되자 새로 짖는 법당은 콘크리트 거물대신 목조로 전통양식을 따라 짓게 된듯하다.

 

안동에 있는 천태종 말사인 海東寺(해동사)에 새로 짖는 법당도 목조로 짓는 것을 보면, 미루어 다른 지방에도 그러 하리라 생각된다.

 

 

그리고 본사인 구인사에는 1만 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5층 대법당을 비롯한 당우(堂宇)들도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데. 이 절은 창건주가 세운 천태종 중흥 3대지표인 애국불교·대중불교·생활불교의 참뜻을 현실 속에서 실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종래의 염불 중심의 의례종교를 탈피하고 부처의 자비심이 곧 애국애족이며, 이를 위하여 모든 불제자가 스스로 주경야선(晝耕夜禪)하는 실행자가 됨으로써 호국사찰로서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따라서 낮에는 승려들도 작업복을 입고 일하며, 식량은 자급자족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천태종에는 많은 전답이 있는데, 천태종 승려가 되려면 먼저 농장에 가서 수년동안 묵묵히 일을 하면서 수행하다가 승려의 자질이 있다고 인정되는 사람만 계를 준다하여, 열심히 일을 하는 스자를 만난 적이 있다.

 

 

경내의 주요 건물로는 높이 33m, 넓이 900평의 5층 대법당, 135평의 목조대강당인 광명당(光明堂), 30칸의 수도실인 판도암, 18칸의 특별강원인 설선당(說禪堂), 침식용의 향적당(香寂堂), 400평의 3층 건물인 총무원청사, 60평의 사천왕문과 거기에 안치된 국내 최대의 청동사천왕상 등이 있다.

 

수리봉 계곡에 있는 불사(佛舍)와 편의시설까지 합하면 약 50여 동의 건물이 있으며,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이 56000명이나 된다고 한다.

 

 

찬건주인 해월선사의 묘는 구인사 뒷산 상상봉에 잇는데, 일반적으로 儒家(유가)에서는 산의 7, 8부 능선에묘를 쓰는 것이 보통이지만 佛家(불가)에서는 이런 관행이 좀 다른 것 같다.

 

구인사에는 내가 아는 몇몇 스님들이 있어 그분들과 차 한 잔 앞에 놓고 많은 이야기를 나누고 돌아오는 길은 늘 마음이 흡족하고 편안하였다.

 

.

 

 

.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643
492 박태기나무 (25).JPG 涼州詞(량주사) 1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72
491 박태기나무 (24).JPG 阿那瓖(아나양)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64
490 박태기나무 (23).JPG 解妾珮(해첩패) 高靑邱(고청구) 청남 25-01-01 276
489 박대기2024.4.20 (4).JPG 神女宛轉歌(신녀완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311
488 박대기2024.4.20 (3).JPG 永嘉行(영가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75
487 박대기2024.4.20 (2).JPG 野田行(야전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6 281
486 밀1.JPG 神絃曲(신현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36
485 민들레2024.4.29 (3).JPG 悲歌(비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326
484 민들레2024.4.29 (2).JPG 鳳臺曲(봉대곡)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20 292
483 민들래 (3).JPG 征婦怨(정부원)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29
482 민들래 (2).JPG 雙桐生空井(쌍동생공정)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295
481 민들래 (1).JPG 楊白花(양백화)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7 316
480 무화과4.JPG 君馬黃(군마황)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76
479 무화과4 사본.jpg 長相思(장상사)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294
478 무화과3.JPG 空城雀(공성작)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4 310
477 무궁화.2024.7 (39).JPG 隴頭水(롱두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07
476 무궁화.2024.7 (37).JPG 巫山髙(무산고)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318
475 무궁화.2024.7 (36).JPG 薊門行(계문행)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11 260
474 무궁화.2024.7 (12).JPG 蒿里歌(호리가)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321
473 무궁화.2024.7 (11).JPG 雉子班(치자반) 高靑邱(고청구) 청남 24-12-07 27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