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영주의 사찰 浮石寺(부석사).

청남이메일

영주의 사찰 浮石寺(부석사).





부석사의 정문이 安養樓(안양루).
이 누각에서 바라보는 落日(낙일)은 그럴 수 수없이 아름다우며 가슴에 많은 것을 남겨준다. 나는 부석사를 찾을 때 마다 여기 올라 머리 발 아래 펼쳐지는 경관을 가슴에 담는다.



  
위치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봉황산(鳳凰山) 중턱

우리나라 5대 명찰 중의 하나인 부석사는  의상대사가  676년(신라 문무왕16)에 왕명에 따라 창건한 사찰이다.
의상대사는 고구려의 먼지나 백제의 바람이 미치지 못하며, 말과 소가 근접할 수 없는 곳을 찾아 5년여를 헤맨 끝에 이 봉황산 중턱에 화엄경의 근본도량을 세웠다고  한다.

이러한 대사의 정성을 모르는 범인의 눈에도 부석사와 그 주변경관은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다른 각도에 바라본 安養樓(안양루). 녹음 속에 육중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의상대사가 676년(신라 문무왕16)에 왕명을 받아 지은 부석사는 고려 초 화재로 소실되었고, 그 유명한 무량수전은 고려 중기 목조건물이다.
부석사는 입구의 천왕문에서 안양문에 이르기까지 108개의 돌계단을 밟아 오르는데 이는 108번뇌(煩惱)를 제도한다는 뜻의 표현이다.

부석사에는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인 국보 제18호인 무량수전을 비롯하여, 석등, 조사당, 소조여래좌상, 조사당벽화 등 5점의 국보가 있고, 영주 북지리 석조여래좌상, 3층석탑, 당간지주, 고려각판  등 4점의 보물이 있다.
이외에도 2점의 지방유형문화재가 있다.





석탑과 그 뒤에 보이는 안양루가 너무나 잘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건축가들에게 한국 전통 건축의 특성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사찰을 말하라면 부석사를 첫 손가락에  꼽는다고 한다.  신라시대 의상대사가 창건한 이후 고려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도 법등이 끊이지 않은 오랜  역사성, 이 절만이 갖는 독특한 공간 구조와 장엄한 석축단은  당당하면서도 우아함을 보이고, 세련된 건물들은 부석사가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 으뜸을 차지하게 하는 요소들이다.




安養樓(안양루)에서 바라본 부석사의 가을 풍경. 멀리 발아래 작은 산들이 모두 부석사를 향해 머리를 숙이고 있다.


부석사의 우수한 건축미는 서양의 건축과 문화에 물들어가는 우리들에게 가슴이 확 트일 만큼 시원한 청량제가 될 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앞으로 전통을 계승해 나갈 방향까지도 제시한다. 이런 맥락에서 부석사는 진정한 한국 건축의 고전(古典)이라 하여도 지나치지 않는다.

부석사를 대표하는 것은 대웅전 격인 무량수전과 은행나무길 그리고 안양루에서 바라보는 전경 등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곳곳에 큰 은행나무길이 많이 있지만, 부석사 은행나무길 처럼 운치 있는  길은 찾기 힘들 것이다. 왜냐하면, 길의 폭이 은행나무와 잘 어울리는 넓이이고, 적당히 경사진 흙길 그리고 뒤에 무량수전이 기다리고 있다는 기대감 등이 어우러져, 가을이면 이 길이 마치 극락의 진입로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것이다.

부석사를 건설한 사람은 이 건물을 역사할 때 고귀한 사람이나 미천한 사람이나 이 부석사의 대웅전인 무량수전에까지 오르려면 한 길만을 따라 가야 하게 만들었다.  오로지 이 길밖에 없게 일부러 그렇게 만들었다. 그것도  건물 주위가 아닌 밑으로 가게 만들었다는 것은 아마도 만인은 평등하다는 진리를 깨우치고자 하는 것이 아닌지 한번쯤 생각해 볼 필요성을 느낀다.
                -<아름다운 영주>에서 인용-




부석사의 主佛(주불)인 아미타불을 모신 極樂殿(극락전).
이 건물은 남향이고 부처님은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고 앉아 있다.





옆에서 바라본 부석사 극락전. 그 웅장함을 가히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삼국유사>에 이 절의 창건설화가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로 불교를 배우기 위하여 신라를 떠난 의상은 상선(商船)을 타고 등주(登州) 해안에 도착하였는데, 그곳에서 어느 신도의 집에 며칠을 머무르게 되었다. 그 집의 딸 선묘(善妙)는 의상을 사모하여 결혼을 청하였으나, 의상은 오히려 선묘를 감화시켜 보리심(菩提心)을 발하게 하였다.
선묘는 그때
<영원히 스님의 제자가 되어 스님의 공부와 교화와 불사(佛事)를 성취하는 데 도움이 되어드리겠다.>는 원을 세웠다.
의상은 종남산(終南山)에 있는 지엄(智儼)을 찾아가서 화엄학을 공부하였다. 그 뒤 귀국하는 길에 의상은 다시 선묘의 집을 찾아 그 동안 베풀어준 편의에 감사를 표하고 뱃길이 바빠 곧바로 배에 올랐다.
선묘는 의상에게 전하고자 준비해 두었던 법복(法服)과 집기(什器) 등을 넣은 상자를 전하기도 전에 의상이 떠나버렸으므로, 급히 상자를 가지고 선창으로 달려갔으나 배는 이미 떠나가고 있었다.
선묘는 의상에게 공양하려는 지극한 정성으로 저만큼 떠나가는 배를 향해 기물상자를 던져 의상에게 전하고는, 다시 서원(誓願)을 세워 몸을 바다에 던져 의상이 탄 배를 보호하는 용이 되었다.
용으로 변한 선묘는 의상이 신라에 도착한 뒤에도 줄곧 옹호하고 다녔다. 의상이 화엄의 대교(大敎)를 펼 수 있는 땅을 찾아 봉황산에 이르렀으나 도둑의 무리 500명이 그 땅에 살고 있었다. 용은 커다란 바위로 변하여 공중에 떠서 도둑의 무리를 위협함으로써 그들을 모두 몰아내고 절을 창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상은 용이 바위로 변하여서 절을 지을 수 있도록 하였다고 해서 절 이름을 부석사로 하였다고 한다. 지금도 부석사의 무량수전(無量壽殿) 뒤에는 부석(浮石)이라는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가 선묘용이 변화했던 바위라고 전한다.





외인 출입이 금지된 부석사 스님들의 선방. 스님들은 이 안에서 속세와 인연을 끊고 용매정진 하시는 것이다.



단풍 속에 잠겨 있는 늦가을에 부석사.
안동에서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있기 때문에 나는 부석사를 자주 찾는데 가을의 부석사가 가장 거룩해 보였다.



부석사의 주불을 모신 본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봉안한 전각. 가장 한국적인 미를 잘 나타낸 국보 제18호인 우리의 소중한 유산이다.






소백산 줄기에 자리 잡은 부석사는 일교차가 커서 단풍이 특히 아름답다.
단풍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사찰은 그럴 수 없이 거륵하고 아름답다.



寺刹(사찰)은 부처님의 境內(경내)이니 무한이 넓고 크다. 멀리 보이는 이 모든 산들이 모두 부석사의 뜰이고 境內(경내)이다.


독특한 모습과 화려한 배광이 더욱 돋보인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높이 2.78m, 광배 높이 3.8m. 국보 제45호.
무량수전 안에서 동남쪽을 향하여 결가부좌의 자세로 앉아 있는 이 상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놓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수인(手印)을 취하고 있다.
나발(螺髮)의 머리에 육계(肉鉅)가 큼직하다. 얼굴은 풍만하며, 길게 올라간 눈초리, 날카로운 콧날, 두터운 입술 등의 상호(相好)에서는 근엄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건장한 신체의 결가부좌한 자세는 안정감과 엄숙함을 더해 주고 있다.



부석사의 주불전(主佛殿)인 무량수전의 바로 앞에 세운 2층 누각(樓閣) 건물로서, 2단으로 쌓은 높고 거대한 석축 위에 세워져 있는데, 앞쪽 2줄의 기둥은 아랫 기단 위 자연석 주춧돌에 놓여 있고, 뒷줄의 짧은 기둥은 윗 기단에 놓이게 하였다.
누 밑을 통과하여 무량수전으로 들어서게 한 일종의 누문(樓門)이다. 누 위의 기둥 배열은 아래층과 똑같이 정면 3칸, 측면 2칸이며,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깔았고, 기둥은 층단주(層斷柱) 형식으로 되어 있다. 위 아래층 모두 기둥 사이에 벽체를 가설하지 않고 개방하였다.
이 누각에 올라서서 멀리 눈앞에 굽어보이는 산들을 바라보면 누구라도 막혔던 가슴이 확 트이는 듯 속이 시원 하다.






선승이 도를 닦는 이 공간만은 아무 관광객도 들어 갈 수 없다.
그리고 여기서 그 유명하신 근일 스님이 정진하고 계시는 것이다.



사찰의 경치는 역시 가을이 일품이다. 누구라도 사찰을 찾으려면 가을이 가장 좋은 시기라고 생각한다. 상쾌하고 서늘한 산사의 공기는 우리의 영혼 마져 맑게 해 준다.




고운 단풍을 배경으로 부석사 三聖閣(삼성각)이 문을 열고 중생을 기다리고 있다.




아무리 봐도 거룩한 부석사 主佛(주불)인 아미타불.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507
337 접시꽃7.JPG 和孔密州五絶(화공밀주오절) 3 司馬君實獨樂園(사마군실독낙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4 261
336 접시꽃6.JPG 和孔密州五絶(화공밀주오절) 3 東欄梨花(동난리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4 206
335 접시꽃5.JPG 除夜大雪留濰州元日早晴遂行中途雪復作 ​(제야대설류유주원일조청수항중도설복작)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7-04 200
334 작약2024.5.24 (36).JPG 水調歌頭(수조가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8 373
333 작약2024.5.24 (35).JPG 寒蘆港(한노항)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8 264
332 작약2024.5.24 (34).JPG 天漢臺(천한대)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8 226
331 작약2024.5.24 (24).JPG 和文與可洋川園池三十首(화문여가양천원지삼십수)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5 271
330 작약2024.5.24 (23).JPG 江城子(강성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5 253
329 작약2024.5.24 (22).JPG 小兒(소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5 225
328 작약2024.5.20 (10).JPG 惜花(석화)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1 278
327 작약2024.5.20 (9).JPG 江城子(강성자)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1 230
326 작약2024.5.20 (8).JPG 雪後書北臺壁(설후서배대벽)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21 259
325 작약2024.5.13 (6).jpg 雪後書北臺壁(설후서배대벽)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8 300
324 작약2024.5.13 (5).jpg 秋月篇(추월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8 223
323 작약2024.5.13 (4).jpg 遊靈隱高峯塔(유령은고봉탑)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8 217
322 이팝나무2024.5.24 (8).JPG 僧惠勤初罷僧職(승혜근초파승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5 280
321 이팝나무2024.5.24 (7).JPG 無錫道中賦水車(무석도중부수거)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5 254
320 이팝나무2024.5.24 (6).JPG 監洞霄宮兪康直郎中所居(감동소궁유강직낭중소거) 四詠(사영) ​退圃(퇴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5 253
319 아카시아2024.5.17 (63).JPG 書雙竹湛師房(서쌍죽담사방)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3 235
318 아카시아2024.5.17 (62).JPG 宿海會寺(해회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3 22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