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안동의 사찰 天柱寺(천주사)

청남이메일
안동의 사찰 天柱寺(천주사)

1. 위치: 안동시 서후면 자품리 912번지.
            010- 8556- 2353

안동시에서 예천 방면으로 가� 4차선 국도를 달리다가 안동과학 대학교에서 내려 한가산 온천 앞을 지나 약 800m 가령 가서 북쪽으로 접어드는 길을 따라 학가산 쪽으로 가면 자품리로 가는 길로 접어든다.

者品里(자품리)는 구한말 이 마을에 鶴林公(학림공)이란 분이 16세의 젊은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여 정6품의 벼슬을 제수 받았는데, 그 뒤 학림공의 덕망과 인품이 이웃 마을에까지 알려져 치송이 자자하였다.
그때부터 이 마을의 이름을 才品(재품) 마을이라 하였으나, 일제 강점기에 이 마을에 인재가 많이 태어나는 것을 두려워한 일본사람들이 才(재)자를 者(자)자로 바꾸어 동내 이름을 者品(자품)으로 부르게 했는데 그때부터 재품리가 자품리가 되었다.



      <천주사 입구의 표시석>

자품리로 가는 길은 지금은 포장이 잘되어 노면은 좋으나 중간 중간 갈림길이 많아 자칫 잘못하면 길을 잘못 들 수도 있다.

그러나 갈림길에는 광흥사로 가는 포말이 있으니 그 포말을 따라 가다가 광흥사로 가라 드는 갈림길에서 직진해서 산길을 조심해서 올라가면 천주 마을에 닿을 수가 있다.
그리고 천주마을 가장 위 쪽 즉 鶴駕山(학가산) 8부 능선에 천주사가 있다.


        <이 도로표식판이 보이면 화살표 방향 대로 직진을 하면 산길로 접어 드는데 노폭은 좁고 가파른 언덕이 있지만 시내뻐스도
          정기적으로 운행 하는 길이니 승용차로 찾아 가기 별 무리가 없다.>        


천주사 바로 아래 까지 시내버스가 정기적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자가용 승용차로 천주사에 가는 것은 별로 무리가 없다.



         <천주사 뒤에서 하늘을 바들고 천주사를 안고 있는 눈 쌓인 학가산의 정상 부근.>

2. 유래와 전설

안동에 신심이 아주 돈독한 최씨 성을 갖은 부인이 있었다.
그는 늘 수행을 개을리 하지 않으며, 부처님 법을 항상 가슴에 안고 살면서, 평생의 소망이 부처님을 더욱 가까이 모시고 사는 것이 소망이었다.
모든 인과의 법칙을 깨닫고 부처님 품속에서 사는 것이 소망이었다.

그래서 그녀는 이 지방에서 가장 신령스럽다는 靈山(영산)인 鶴駕山(학가산)에 다니면 열심히 기도를 하였다.

학가산은 학이 앉았다 날아가는 형상 같다고 하여 학가산(鶴駕山)이라 하였는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영주에서는 정상이 평평하게 보여 선비봉, 안동에서는 울퉁불퉁하게 보여 문둥이봉, 예천에서는 그 모습이 수려한 인물과 같다고 하여 인물봉으로 불린다.

높이는 882m로 안동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학가산 정상에 오르면 동쪽으로 멀리 일월산(日月山), 서남쪽으로 팔공산(八空山), 북쪽으로는 소백산맥이 아련히 보이고, 영남의 북부 지방이 한눈에 들어온다. 정상 부근은 동서로 길쭉하고, 높이가 비슷비슷해 보이는 봉우리 4~5개가 500m에 걸쳐 솟아 있다. 서쪽 끝자락은 안동과 예천의 경계이다.



         <안개 속에 잠겨 있는 학가산의 아래 봉우리들. 촬영 하던 날, 가랑비가 오는 흐린 날씨라, 학가산의 주봉은 모습을 보여 주지 않고
           그 아래 작은 봉우리들만 아련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산마루 부근에는 울창한 소나무 숲과 참나무 숲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봄이면 산중턱이 매화로 온통 붉게 물들어 장관을 이루며, 은은한 향기를 뿜는 하얀 함박꽃나무 군락이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학가산은 골짜기가 깊지 않고 사면이 가팔라 큰 짐승들이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가끔 멧돼지나 노루, 꿩, 토끼들만 나타날 뿐이다.

정상 부근에는 우람한 바위가 높이 솟아 산의 위용과 기풍과 신령함을 한층 더한다.

그래서 최씨 부인은 이 신령스러운 아래 거북 바위 앞에서 소원이 성취되기를 바라며 정성을 다하여 1,000일의 기도를 올렸다.


          <최 여인의 기도는 간절 했다. 기도하는 중 법이 아닌 것을 보지도 않았고, 법이 아닌 것은 듣지도 않았고, 법이 아닌 것은 함부로
            말도 하지 않았다. 그 때 그 수행의 과정을 상징하기 위하여 이 작은 삼존의 부처님을 이 연못에 묘셔서, 소원을 기도하는 많은
           사람들의 수도의 본보기가 되게 하려고 전시하였다.>

기도가 끝나려던 어느 날 밤, 꿈에 거룩하게 생긴 흰 수염에 흰 옷을 입은 노인이 나탔다.
최 여인은 꿈에서도 그 분이 여사분이 아니고 학가산의 산신령이 아닌가 생각하며 머리를 조아리며 그저 절만 하였다.
그랬더니 그 노인은 자비롭게 미소 지우면서 소맷자락에서 경명주사로 쓴 글인 듯 종이 한장을 꺼내 최여인에게 넌지시 건너 주었다.

그러나 말은 한 마디도 하시지 않았다.
최 여인은 황급히 받아서 펼쳐보니 「時到正行(시도정행)」이라는 네 글자가 적혀 있었다.

두 손으로 그 글을 받고 고개를 들어 보니 노인은 간대 없고 문득 깨고 보니 꿈이었다. 그리고 그 꿈이 그렇게도 생생할 수가 없는데 「時到正行(시도정행)」이란 말의 뜻을 잘 알 수 가 없이 깊이 고민하다가  주역과 한문에 도통한 유명한 학자를 찾아가,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다 하고 그 글의 뜻을 물어 보았다.

그랬더니 한참을 생각하던 그 분의 말씀이 「당신의 지극한 기도가 이루어져 “지금 소원이 이루어 질 시기가 되었으니 바른 행동으로 일을 시작하라.”하는 뜻입니다 라고 풀이를 해 주었다.
즉 때가 되었다는 것이었다.

날듯이 기쁜 마음으로 돌아 온 최 여인은, 그러나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하기만 하였다.



         <최여인이 간절히 기도하던 거북바위 주변 . 기도를 올릴 당시에는 공터였으며 절이 없었다.  소원이 이루어 진 다음 지금의 천주사는
           바로 이 거북바위 앞에 지었다. 거북 바위는 신령하여 최여인의 소원을 들어 절을 짖게 해 주었다.>


한편 그 무렵 한 수행 스님이 학가산을 찾아 왔다.
스님의 법명은 智浩(지호)이며 일찍이 통도사에서 출가하여, 약산 백녹사에서 공부를 하다가 더 깊은 경지를 체득하고자 소백산 토굴에서 10여년간 정진을 한 도승이었다.



           <도로에서 천주사 경내로 접어드는 길>

스님은 영험이 많다는 학가산 능인굴에서 더 깊이 공부를 하러 찾아오게 되었던 것이다.




           <능인대새가 수도하였던 천등굴. 천주사 뒤에 지금도 있다.>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알기 때문이다.

즉 천주마을 뒤에 우뚝 솟은 학가산에는 신라시대 유명한 능인도사가 10 여 년간 수도한 능인굴이 있는데 능인도사는 그 굴에서 도를 깨쳤다고 한다. 굴 옆에는 아무리 심한 가뭄에도 줄지 않는 맑은 석간수가 요즘도 흘러나오고 있고, 또한 수행하는 능인도사를 수호하고 도우려 늘 龍(용)과 이무기가 항상 능인굴 주변을 감돌면 지켰다고 한다.

또 능인 도사는 능인굴에서 20여리나 멀리 떨어져 있는 부석사에서 공양을 날아다 먹었다는 일화가 지금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공양을 빼앗긴 것을 안 부석사 3,000명의 스님들이 돌을 들고 능인대사를 해치려 달려 왔는데, 대사가 미리 알고 도력으로 이를 저지하니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돌아 갔다는데, 그때 기왕 여기까지 돌을 갖고 왔으니 탑이나 하나 싸놓고 가자고 해서 돌탑을 하나 쌋다고 한다.

이 전설을 뒷받침하듯 그때 돌로 싼 석탑이 아직도 학가산 북쪽 계곡에 서 있으며 한쪽 변이 16m, 높이가 15m나 되는 거대한 자연석탑이 되어 지금까지 남아있다.



          <지금도 남아 있는 능인대와 연관된 전설의 석탑. >



그래서 智浩(지호) 대사도 능인굴에서 수행을 하러 굴에 가 보았더니, 능인 대사가 떠난 다음 그 굴에은 이미 정기가 다 빠져나가버렸고, 굴을 지키던 龍(용)마저 다른 곳으로 가버리고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래서 龍(용)이 간 자취를 찾아 사방 산을 찾아다니던 중 천주마을 뒤 거북바위 앞에 龍(용)이 서리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바로 여기가 내가 수행해야 할 장소이구나! 하고 생각을 하였다.


      <누구에게나 기뿜을 안겨주는 대웅전 앞에 미소부처님.>


그리고 거북바위 앞에 가보았는데 거기서 학가산 산신령에게 열심히 기도를 하는 최여인을 만나게 되었고, 또한 최여인의 가절한 소망을 듣게 되었다.

오래 도록 생각한 끝에 스님은, 여기에 불사를 하는 것이 스님의 소명이라는 것을 깨닫고 최여인과 힘을 합해서 거북바위와 능인굴에서 온 龍(용)이 자리 잡은 곳에 불사를 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불사를 시작하니, 스님의 법력이 사방에 미쳐서, 그 때부터 생각지도 않았던 많은 사람들이 서로 와서 도와주고, 생각지도 않던 좋은 일이 자꾸 생기며, 여러 사람들이 많은 시주도 해 주어서 항상 기도하던 학가산 8부 능선 거북바위 앞 아늑한 곳에 대웅전을 지을 준비를 하였다.

대웅전을 지을  터를 잡을 때, 어디에다 대웅전을 모실까 생각하며 山勢(산세)를 바라본던 지호 스님께서 학가산 응인굴에서 龍(룡)이 내려와 서리는 형국인 거북바위 앞에 대웅전을 짓기로 하였다.



         <천주사의 거북 바위.
           거북은 원래 신령한 영물로서 인간에게 건강과 수명을 연장해주는 십장생 중에 한 영물로 알려져있다.
           특히 천주사의 거북 바위는 치성을 들이면 병을 낫게하고, 자식이 없는 사람에게는 자식을 안겨 준다고해서 예로부터 기도하는
           사람이 끊기지 않았던 유명하고 신령한 바위이다.>


그리하여 길고 힘든 불사 끝에 꿈에도 그리던 법당을 짓고 부처님을 모셔 대웅전 낙성식 법회를 2011년(불기 2555년) 10월 2일에 열수 있게되었다.

작지만 아담한 법당에는 사방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와 성대하게 대웅전 낙성식 법회를 하게 되었는데, 절 이름도 바로 그 마을이 천주 마을이여서 자연스럽게 天柱寺(천주사)로 하였다.

하늘을 기둥삼고, 하늘의 뜻을 받드는 절이라는 뜻이다.

즉  천주사는 龍(용)과 거북이가 자리잡고, 하늘을 기둥삼고 부처님의 듯을 받드는 신령한 절이라는 뜻이다.
그래서 그런지 천주사에서 기도를 하면 영험이 많아 소원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천주사 대웅전. 지금은 허름한 겉모습의 집이지만 집이 허술하다고 부처님이 오지 않는다는 법은 없다. 그리고 많은 불자들의
          원이 모여 언젠가는 이 장소에 알맞는 우람한 법당으로 바뀔것으로 믿어 마지 안는다.>



         <대웅전의 현판 글씨.>



                                        

대웅전에 주련 글

天上天下無如佛(천상천하무여불)
  十方世界亦無比(십방세계역무비)
  世間所有我盡見(세간소유아진견)
  一切無有如佛者(일체무유여불자)
<해>
     하늘 위에나 땅 아래나 부처님 같은 분 없네.
     시방(모든) 세계에서도 또한 비할 바가 없도다.
     세상에 있는 것을 내가 다 둘러보아도
     모두가 부처님 같은 분 아무데도 없도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대웅전 낙성식을 그날 밤, 또 꿈에 그 노인이 나타나 이번에는 「草花滿勝業(초화만승업)」이라는 글을 주었다.

부처님의 법이 온갖 아름다운 꽃이 피듯 장차 이 천주사에서 피어나리라는 암시의 글이었다.




         <대웅전 안에 안치된 부처님. 상호가 거륵하고 영험이 있기 유명하다. 황금 자색빛이 영롱하다.>



그래서 그런지 이 도량에서 기도를 하면, 그 기도의 영험이 신통하여 한 가지 소망은 꼭 이루어지는 기적이 계속 일어나고 있다.

그 기적을 전부 다 열거 할 수는 없지만, 한두 가지 예를 들어 본다.


1) 서울에 사는 70대 초반의 김 노인은 담석 암의 진단을 받고, 그 암을  고치기 위해 유명한 병원은 다 찾아다니며 진료를 받았고, 좋다는 약은 다 써 봐도 별로 차도가 없고 효험이 없어 이재는 죽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는데 죽기 전에 명산 고찰을 구경이나 하자는 마음으로 우연히 안동에 들렸다가 이 고장의 명산인 학가산을 둘러 보고, 천주사를 찾아와 기도를 올리게 되었다.

그러데 신기하게도 기도한지 3일 만에 기분이 아주 좋아지고 고통도 덜하게 되었으며, 그때부터 병세가 호전되어 지금은 정상 생화를 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김 노인은 이 모두가 천주사 부처님의 덕이라고 생각하고 지금도 매달 한 번씩 찾아와서 계속 기도와 치성을 드리고 있다.



          <대웅전 안에 있는 천주사 종.>





           <대웅전 내부와 천주사 법고.>



2) 또한 대구에 사는 30대 중반의 부부는 결혼생활 8년이 되었어도 아기가 없어 무척 기다리게 되고 걱정이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인공 수정도 시도 해보고, 또한 여러 가지 약도 여러가지 써보았으나 기다리던 아기는 와 주지를 않았다.

그래서 고민을 하던 중 천주사 부처님의 영험함을 우연히 전해 듣고 천주사를 찾아와 치성을 들었다.
그랬더니 기도를 한지 1년도 못되어 태기가 있어 10개월 뒤에 건강한 아들을 낳았는데, 두 부부의 기쁨은 말로 다 표현 할 수가 없으며, 아기는 천주사 부처님과 학가산 신령의 힘으로 얻은 아기라고 생각하며 매우 기뻐하면서 지금도 열심히 아기를 안고 천주사를 찾아 와 기도를 드리고 있다.

학가산 등산길 옆에 있는 천주사는 물이 맑고 좋기로도 유명하다. 오염되지 않는 청정 암반구사 사시사철 마르지 않고 셈솟아 그 물을 한 모금 마시면 몸과 마음이 사쾌하게 느껴진다.




        <천주사 대웅전에 안치 된 천불상. 이 많은 부처님 가운데 나와 깊은 인연이있는 부처님도 꼭 있을 것이다.>




그리고 천주사 뜰에는 커다란 거북 바위가 있는데, 학가산의 용이 위에서 내려와 모든 재앙을 물리 치고 가정의 행복과 소원을 이루어 주고, 천주사의 거북바위가 건강과 長壽(장수)를 점지해 주는데,  이와같이 천주사는 용과 거북의 기를 모두 지니고 있어서 천주사에서 기도하면 龍龜(용구)의 신령한 기를 다 받을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또한 천주사는 학가산 등산 길 바로 옆에 있어 접근하기도 쉽다.
학가산의 신령한 정기도 받고, 천주사 거북바위의 영험도 받을 겸 찾아 갈만한 곳이다.



             <천주사의 자비로운 지장보살>

그리하여 천주사에 가면, 부처님의 加護(가호)를 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가정의 길이 복을 주는 학가산의 龍(용)과, 천주사 뜰에 살아 숨 쉬는 듯 한 거북 바위의 영험이 천주사를 찾는 사람들을 기다리고 있다.




       <천주사의 거북 바위.
          이 바위는 인위적으로 갖어와서 자리 잡은 것이 아니고 천지 개벽 때 부터 자연으로 이 자리에 자리 잡고 있다.
          우리 인간에게 건강과 장수를 준다는 이 바위는, 한가산 정상의 용과 어울려 천주사에 신령함과 영험을 더해 주고 있다.
          이 거북바위에 치성을 들여 건강을 되찾고 아기를 얻었다는 사람이 많이 있다고 한다.>





         <천주사 바로 앞에 포장된 도로. 학가산 등산길이기도 한 이 도로는 잘 포장이 되어 있어 승용차가 편이 통행 할 수 있으며
           옆에 보이는 두 석탑은 스님의 간절한 정성으로 쌓여진 석탑이다.>





         <천주사 경내에는 학가산에서 내랴온 많은 바위들이 있다.  그 바위 하나 하나가 자연에서 생겨난 것이고 학가산이 천주사에 준
          것이기에 바위 마다 복이 담긴 듯하다. 그 옆에 초라한 건물이 아마도 산신각인듯 한데, 비를 만나 그냥  돌아오고 말아서 잘
           알 수가 없다. 아마도 멀지 않아 잘 단청한 아름다운 전각으로 바낄 것으로 생각한다.  



          <산신각의 신령스러운 산신상.>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343
315 아카시아2024.5.17 (41).JPG 山邨(산촌) 五絶(오절)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0 194
314 아카시아2024.5.17 (40).JPG 山邨(산촌) 五絶(오절)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10 195
313 서피니어2024.6.5 (1).JPG 山邨(산촌) 五絶(오절)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7 203
312 망촛대2024.6.3 (19).JPG 新城道中(신성도중)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7 214
311 망촛대2024.6.3 (18).JPG 新城道中(신성도중)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7 187
310 망촛대2024.6.3 (3).JPG 飮湖上初晴後雨(음호상초청후우) 二首(이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4 220
309 망촛대2024.6.3 (2).JPG 飮湖上初晴後雨(음호상초청후우)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4 211
308 망촛대2024.6.3 (1).JPG 法惠寺橫翠閣(법혜사횡취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4 204
307 아카시아2024.5.17 (14).JPG 秀州報本禪院鄕僧文長老方丈(수주보본선원향승문장노방장)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2 196
306 아카시아2024.5.17 (13).JPG 贈孫莘老七絶(증손신노칠절)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2 207
305 아카시아2024.5.17 (12).JPG 吳中田婦歎(오중전부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6-02 215
304 불두화2024.5.20 (3).JPG 冬至日獨遊吉祥寺(동지일독유길상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30 230
303 불두화2024.5.20 (2).JPG 孫莘老求墨妙亭詩(손신노구묵묘정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30 207
302 불두화2024.5.20 (1).JPG 試院煎茶(시원전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30 211
301 이팝나무.2024.5.8 (2).JPG 望海樓晩景(망해누만경) 五絶(오절)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27 209
300 이팝나무.2024.5.8 (1).JPG 夜泛西湖(야범서호) 五絶(오절)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27 247
299 옥스아리데이지2024.5.9 (4).JPG 夜泛西湖(야범서호) 五絶(오절)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27 201
298 브겐베리아2024.5.23 (1).JPG 夜泛西湖(야범서호) 五絶(오절)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24 235
297 붓꽃2024.5.20.JPG 夜泛西湖(야범서호) 五絶(오절)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24 173
296 붓꽃2024.5.20 (5).JPG 夜泛西湖(야범서호) 五絶(오절)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5-24 21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