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안동의 사찰 普賢寺(보현사)

청남이메일
안동의 사찰 보현사


1. 위치.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10번지
전화:(054) 859- 2323

보현사는 안동에서 대구로 통하는 옛 구안(邱安) 도로의 귀담 가에 있는 암산굴이라고 부르는 석굴을 지나 20m쯤을 가다 보면 도로가에 사찰표지판이 보이는데 여기서 좌회전하여 산길로 300m 쯤 곧장 들어가면 보현사가 있다.




        <바위에 뚫린 이 굴을 암산이라 하는데 이 굴 맞은편에 고산서원이 있고 암산 유원지가 있다.>


암산은 산줄기 밑에 바위가 절벽을 이루고 경치가 아름답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강 건너에 마을이 보는데 그 마을 마을 뒤 산 중턱에는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선생과 소산(小山) 이광정(李光靖) 선생을 봉향(奉享)하는 고산서원이 있고, 마을 앞에는 맑은 냇물이 흘러 沼(소)를 이룬 귀담(龜潭)이 있는데 이곳은 보트장과 스케이트장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이곳에는 천연기념물 252호로 지정된 구리측백나무와 조선시대 때 안동 지방의 토산품이었던 자연석(紫硯石)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천연기념물인 측백나무는 보통 높이가 lOm 정도로 성장하는데 이곳의 측백나무는 암벽 사이에서 성장하느라 기형에 가까우며 높이도 20~70cm에 불과하다.

나무의 수령은 미상이나 형태와 성장과정으로 미루어 볼 때 수백 년이 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975년도에 이곳에 자생하는 400여 그루의 측백나무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고 일대의1500여 평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보현사는 그 산 개곡을 따라 올라가면 있다.




          <안산 굴 가까이에 보현사 표시석이 서 있다. 여기서 산길을 따라 약 300m 올라가면 보현사에 다다른다. 차량으로도 갈 수 있다.>

2. 유래와 전설
이 사찰은 한국불교 태고종에 등록된 사찰로 서안 민병홍 거사의 어머니인 권도심화 보살의 발원으로 서안거사에 의해 1979년 안절골의 300여 평의 부지 위에 세워졌다.




        <보현사로 가는 길은 시멘트로 잘 포장되어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서안거사가 중형의 요양과 수행을 위해 1979년에 요사 30평을 건립하였고 1년 후에 대웅전을 건립하였으며 1994년에는 삼성각을 조성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접근성이 좋고 훌륭한 스님들을 모셔 많은 신도들이 이 절을 찾아 기도도 하고 수행도 하고 있다.




        <보현사 입구에 있는 두 기의 부도. 한 기는 보현사에서 열반한 스님의 부도 이고 다른 한 기는 창건주의 모친 부도라고 한다.>


3. 건축물의 구성과 배치
보현사는 암산 안절골의 완만한 경사면 위에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측에는 삼성각이, 전방에는 요사가 자리 잡고 있다.



        <보현사 대웅전 현판>




        <보현사 대웅전. 작지만 아담하고 아름다운 법당이 우리의 마음을 끈다.>


대웅전
대웅전은 총 25평의 크기로 동(銅)기와불사를 하여 말끔히 단장을 하였다.
건물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높이 1m 50cm 정도의 기단을 쌓고 기단의 전면에 돌계단을 만들었다.

법당 내부 구조는 연화문의 주춧돌 위에 원주를 세운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집으로 어칸이 협칸에 비해 반 칸 정도 넓다.
건물의 협칸에는 빗살분합문을 달았고 어칸에는 좌우에 벗살 여닫이 문을 달고 중앙을 빗살분합문으로 처리하였다.

법당 전면의 4개의 기둥에는 주련을 달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靑山疊疊彌陀窟(청산첩첩미타굴)
滄海茫茫寂滅宮(창해망망적멸궁)
物物拈來無罣碍(물물념래무가애)
幾看松亭鶴頭紅(기간송정학두홍)
<해>
        첩첩한 청산은 아미타불이 계신 곳이요,
        아득한 푸른 바다는 적멸궁이로다.
        물물이 서로 아무 장애 없으니
        몇 번이나 소나무 정자 위의 학의 머리가 붉은 것을 볼 수가 있겠는가.
            -불설아미타경속에 나오는 염불구절-



        <대웅전 안에 안치된 석가모니 부처님과 협시보살님들. 유리 불단 안에 안치되어 있어 사진 촬영이 유리의 반사광으로 잘되지
                  않았다.>


대웅전은 단청으로 화려하게 채색하였고 좌우 외벽과 뒷면에는 선(禪)
의 수행단계를 소와 동자에 비유하여 그림으로 나타낸 심우도(尋牛圖)가 그려져 있다.

전각 내부에는 높이 130cm의 불단 위에 존상의 보존을 위해 유리관을 만들고 석가모니불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좌상과 대세지보살좌상를 봉안하였다.




        <보현사 대웅전 안에 탱화인 영상회상도.>





        <대웅전 불단 오른 쪽에 있는 신중탱화.>



탱화는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를 비롯하여 신중단의 신중탱화가 있다.

중앙벽면의 상단과 측면에는 비천상, 산신. 독성 등의 벽화를 그렸다.
그리고 천불을 모신 작은 불상들이 벽면을 모두 차지하고 있다.




        <보현사 대웅전 안에 있는 영가단.>




        <삼성각으로 오르는 높지 않는 계단.>



삼성각
삼성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집으로 크기는 22평이다.
높이 130cm의 축대 위에 30cm의 기단을 만들고 주춧돌을 놓아 원주를 세우고 건물 내외부에 단청을 둘렀으며 전면의 각 칸에는 분합벗살문을 달았다.




        <삼성각 현판>




        <삼성각. 보현사에 가장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단청이 잘된 아름다운 전통식 건물이다.>




삼성각의 내부에는 불단을 조성하고 칠성탱화와 좌우에 산신과 독성탱화를 봉안하였다.





        <삼성각 내부에 봉안된 산신탱화.>




        <삼성각 내부에 봉안된 독성탱화.>




        <삼성각 내부에 안치된 칠성탱화.>



산신각 오른편에 약사여래 석상을 모셔서 중생의 병고를 구제하려는 보현사의 의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삼성각 오른편 산기슭에 있는 석도 약사여래 상.>




        <보현사의 요사. 이 안에 큰방이 하나, 작은 방이 두 개가 있는데 스님의 처소도 여기 있다.>


요사
요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크기는 총 30평이며 'ㄱ' 자형 건물이다.

요사에는 스님이 기거하는 방과 대중이 공양하는 큰 방이 있는데 고양주 보살과 기도하는 보살들의 침실로도 이용되고 있다.





        <입에서 맑을 물을 토하는 거북 수조. 지금은 날 씨가 추워 물이 나오지 않았다.>



        <보현사로 오르는 길가에 봄을 알리는 버들이 버들강아지를 솜털 속에 쌓서 보내왔다.>




         <삼성각으로 오르는 길목에 봄이 오면 어김없이 돋아나는 난초. 이 난초 잎은 꽃이 필 무럽이면 사라지는데 꽃과 잎은 서로 만난 수
           없는 슬픈 운명의 풀이다. 이 난초를 보면 나는 많은 것을 느끼며 돌아 왔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6357
417 도꼬로마1.JPG 七年九月 自廣陵召還 復館於浴室東堂 八年六月 乞會稽 將去 汶公乞詩 乃復用前韻 三首 (칠년구월 자광능소환 부관어욕실동당 팔년륙월 걸회계 장거 문공걸시 내부용전운 삼수) - 청남 24-09-27 289
416 대나무 식물 (1).JPG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337
415 대나무 사본7.jpg 和陶飮酒二十首(화도음주이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381
414 대극5.JPG 軾在潁州 與趙德麟同治西湖 未成 改揚州 三月十六日湖成 德麟有詩 見懷 次其韻(식재영주 여조덕린동치서호 미성 개양주 삼월십륙 일호성 덕린유시견회 차기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3 339
413 당귀1.JPG 淮上早發(회상조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384
412 담쟁이덩굴7.JPG 送運判朱朝奉入蜀(송운판주조봉입촉)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344
411 담쟁이덩굴6.JPG 聚星堂雪(취성당설)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20 339
410 단풍 (14).JPG 泛潁(범영)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520
409 단풍 (13).JPG 放魚(방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479
408 단풍 (12).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3-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6 332
407 다육 24.3  (60).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2-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598
406 다육 24.3  (59).JPG 天竺惠淨師以醜石贈行 作 三絶句 -1- (천축혜정사이추석증항 작 삼절구)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493
405 다육 24.3  (58).JPG 再和楊公濟梅花十絶(재화양공제매화십절) -5-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364
404 다육 24.3  (57).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8-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13 320
403 느티나무 (1).JPG 次韻楊公濟奉議梅花(차운양공제봉의매화) 十首(십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395
402 느리미고사리3.JPG 贈劉景文(증류경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373
401 느리미고사리2.JPG 壽星院寒碧軒(수성원한벽헌)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8 330
400 노루귀 (6).JPG 故周茂叔先生濂溪(고주무숙선생렴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462
399 노루귀 (5).JPG 送子由使契丹(송자유사계단)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392
398 노루귀 (4).JPG 書王定國所藏煙江疊嶂圖(서왕정국소장연강첩장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09-05 38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