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기본교리 불교미술 고승의 자취 불교일반
>> 불교문화 > 불교일반


[일반 ] 百步洪(백보홍)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百步洪(백보홍) 二首(이수) -1- 蘇東坡(소동파)

 

長洪斗落生跳波(장홍두낙생도파輕舟南下如投梭(경주남하여투사)

水師絶叫鳧雁起(수사절규부안기亂石一綫爭磋磨(난석일선쟁차마)

有如兎走鷹隼落(유여토주응준낙駿馬下注千丈坡(준마하주천장파)

斷絃離柱箭脫手(단현리주전탈수飛電過隙珠翻荷(비전과극주번하)

四山眩轉風掠耳(사산현전풍략이但見流沫生千渦(단견류말생천와)

嶮中得樂雖一快(험중득낙수일쾌何意水伯夸秋河(하의수백과추하)

我生乘化日夜逝(아생승화일야서坐覺一念逾新羅(좌각일념유신나)

紛紛爭奪醉夢裏(분분쟁탈취몽리豈信荊棘埋銅駝(개신형극매동타)

覺來俯仰失千劫(각내부앙실천겁回視此水殊委蛇(회시차수수위사)

君看岸邊蒼石上(군간안변창석상古來篙眼如蜂窠(고내고안여봉과)

但應此心無所住(단응차심무소주造物雖駛如吾何(조물수사여오하)

回船上馬各歸去(회선상마각귀거多言譊譊師所呵(다언뇨뇨사소가)

 

百步洪(백보홍)

 

백보홍 급한 물살 파도는 뛰고

작은 배로 남하하면 마치 강에 북을 던진 듯

사공 고함 소리에 오리와 기러기는 날고

한 줄기 수로 빼고 돌 어지럽게 널려있네.

 

매를 피해 달아는 토끼 같이 빠른 물살

천길 언덕을 내려 뛰는 준마같이 빠르고

줄 끊어져 튕긴 ()인 듯, 손을 떠난 화살인 듯

문틈을 지나는 번개인 듯, 연꽃에 번득이는 이슬인 듯

 

사방의 산들 현기 나게 지나가고 바람소리 귀를 스치는데

다만 보이는 것은 물거품과 천길 소용돌이

험한 곳을 지나가는 속에 또 하나의 즐거움 있으니

水神(수신)은 가을 강의 아름다움 자랑 하고 있는가.

 

나의 삶 만물의 유동과 함께 밤낮으로 흘러가

내 생각 신라 넘어 까지 간 것 깨닫고

세속에 분분하여 뺏고 빼앗기는 꿈같은 속에

어찌 알리 궁정 앞에 낙타 동상도 잡초 속에 묻힐 것을.

 

깨달아 우러러보니 천만겁의 긴 시간 지나갔고

돌이켜 이 강을 보니 유유히 흐르고 있는데

그대 보게 강 언덕 푸른 이끼 낀 돌 위를

예로부터 지금까지 상앗대 자국 벌집 같이 많네.

 

다만 이 마음 모든 것에 집착을 끊으면

조물주인들 나를 어찌할 수 있을까

배에서 내려 말을 타고 각자 돌아오는데

말 많이 떠드는 것은 스승이 꾸지람 하는 것.

 

百步洪(백보홍) 徐州(서주) 동남 20리 지점에 있고, 泗水(사수)가 여기서 돌에 부치는 격류를 이 루어 몇 리를 가서 고요해 진다.

王定國(왕정국) 시를 잘 짓고 蘇軾(소식)에게 배우고, 蘇軾(소식)御史臺(어사대) 옥에 투옥되 자 거기 연좌되어 賓州(빈주) 鹽酒稅(염주세)로 좌천되어 거기 사는 3년간 두 아 들을 병으로 잃었다.

顔長道(안장도) 顔回(안회)47세손. 시인.

英卿三子(영경삼자) 세 사람의 기년. 徐州(서주)의 기녀 馬昐昐(마분분), 張英英(장영영).

泗水(사수)...... 山東省(산동성) 曲阜縣(곡부현)을 지나서 江蘇省(강소성) 沛縣(패현)의 동북을 거쳐 徐州(서주) 동북을 돌아 淮陰縣(회음현)에서 淮水(회수)에 흐르는 강물.

聖女山(성녀산) 서주에 있는 산. 정확한 위츤 미상.

乘月(승월) 달빛을 받으며.

羽衣(우의) 새의 깃털로 만든 옷. 於潛(어잠) 사람.

黃樓(황누) 蘇軾(소식)徐州(서주) 성곽 동쪽에 황토로 만든 큰 누각.

參寥師(참요사) 승려 道潛(도잠). 內典(내전) 外典(외전)에 모두 통하고 시를 잘 짓고 蘇軾(소식) 과 교분이 있었다. 蘇軾(소식)湖州(호주)에 있을 때 秦觀(진관)과 함께 찾아갔 , 杭州(항주) 지사가 되자 한주까지 찾아가 智果寺(지과사)에 살며, 惠州(혜주) 에 있을 때는 가끔 사람을 보내 정을 나누었다.

舒堯文(서요문) 蘇軾(소식) 막하의 관원. 徐州(서주) 敎授(교수).

斗落(두락) 절벽과 같이 깎아지른.

如投梭(여투사) 좌우로 나는 듯 빨리 움직임.

鳧雁(부안) 오리와 기러기

一綫(일선) 한 불기 선.

磋磨(차마) 갈고 닦다.

下注(하주) 물을 아래로 붓다.

千丈坡(천장파) 높은 언덕.

() 거문고에 줄을 고이는 기둥.

千渦(천와) 많은 소용돌이

日夜逝(일야서) 밤낮 수지 않고 흘러감

逾新羅(유신나) 신라 한반도를 넘어 저쪽 까지.

千劫(천겁) 매우 긴 시간

委蛇(위사) 느긋한 모양. 구불구불한 모양.

無所住(무소주) 머무름이 없다.

() 말이 질주 하는 것.

如吾何(여오하) 나는 어찌 할까

譊譊(뇨뇨) 말을 하다.

() 숨을 토하다 꾸지람을 하다.

 

解說

王定國訪余於彭城 一日棹小舟 與顔長道 攜盼英卿三子 游泗水北聖女山 南下百步洪 吹笛飮酒 乘月而歸 余時以事不得往 夜著羽衣 佇立於黃樓上 相視而笑 以爲李太白死 世間無此樂三百餘年矣 定國旣去逾月 復與參寥師放舟洪下 追懷曩游以爲陳迹 喟然而歎 故作二詩 一以遺參寥 一以寄定國 且示顔長道舒堯文 邀同賦云

 

王定國(왕정국) 나를 彭城(팽성)으로 방문을 했다. 하로 작은 배를 타고 顔長道(안장도)盼英卿(반영경) 세 사람이 泗水(사수) 북쪽 聖女山(성녀산)에 오르고, 남쪽에 있는 百步洪(백보홍)를 내려 오며 피리를 불고 술을 마시며 달이 뜨자 돌아 왔다.

그때 나는 일이 있어 차비를 가추지 못해 밤에 羽衣(우의)를 입고 黃樓(황루)위에 서서 서로 보며 웃었다. 생각하니 李太白(이태백)이 죽고 이 세생에 이런 즐거움 없기 300여년이나 되었고, 定國(정국)은 이미 가고 달이 지났다. 參寥師(참요사)와 백보홍에 배를 디우고 지난 놀이를 회상하니 이미 지나간 일 한스럽기만 하다.

그래서 두 수의 시를 지어 한 수는 參寥(참요)에게 보내고 또 한 수는 定國(정국)에게 주며, 또한 示顔長道(안장도)舒堯文(서요문)에게 보여 함께 ()하기를 바란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불교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5258
440 만병초2 사본.jpg 食荔支(식려지) 二首 -2- 蘇東坡(소동파) 새글 청남 24-10-22 7
439 만병초1.jpg 蝶戀花(접련화) 蘇東坡(소동파) 새글 청남 24-10-22 5
438 마타리1 사본.jpg 新年(신년) 五首(오수) -1- 蘇東坡(소동파) 새글 청남 24-10-22 5
437 라일락 (14).JPG 荔支嘆(려지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8 42
436 라일락 (13).JPG 四月十一日初食荔支(사월십일일초식려지)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8 37
435 라일락 (12).JPG 和陶歸園田居六首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8 37
434 딸기.인비 (8).jpg 和陶歸園田居六首 -3-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5 45
433 딸기.인비 (7).jpg 上元夜(상원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5 39
432 딸기.인비 (6).jpg 再用前韻(재용전운)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5 38
431 등나무 (36).jpg 十一月二十六日松風亭下梅花盛開 (십일월이십륙일송풍정하매화성개)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1 46
430 등나무 (35).jpg 十月二日初到惠州(십월이일초도혜주)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1 39
429 등나무 (34).jpg 舟行至淸遠縣見顧秀才極談惠州風物之美 (주항지청원현견고수재극담혜주풍물지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11 39
428 등나무 (8).JPG 天竺寺(천축사)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8 46
427 등나무 (7).JPG 八月七日初入贛過惶恐灘(팔월칠일초입공과황공탄)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8 49
426 등나무 (6).JPG 慈湖夾阻風(자호협조풍) 五首(오수)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8 36
425 동백24.3 (62).JPG 慈湖夾阻風(자호협조풍) 五首(오수) -4-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4 44
424 동백24.3 (57).JPG 慈湖夾阻風(자호협조풍) 五首(오수) -2-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4 35
423 동백24.3 (56).JPG 慈湖夾阻風(자호협조풍) 五首(오수) -1-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4 40
422 돌나물 (1).JPG 臨城道中作(임성도중작)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51
421 도토리n3.jpg 南海篇(남해편) 蘇東坡(소동파) 청남 24-10-01 3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