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春閨詞(춘규사)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春閨詞(춘규사)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人靜紗窓日色昏(인정사창일색혼落花滿地掩重門(낙화만지엄중문)

欲知一夜相思苦(욕지일야상사고試把羅衾檢淚痕(시파라금검루흔)

 

<>

고요한 사람 없는 방, 비단 창에는 햇빛이 희미해지고,

떨어진 꽃이 땅에 가득하여 중문은 닫혀 있네.

하룻밤 그리움의 괴로움을 알고자 한다면,

비단 이불을 들어 눈물 자국을 살펴보라.

 

()

紗窓(사창).......... 얇은 비단으로 만든 창. 부드럽고 아련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장치.

重門(중문).......... 겹으로 된 문. 부유하거나 안쪽 깊숙한 생활공간을 뜻하며, 닫힘은 고립과 쓸쓸함을 상징함.

相思(상사).......... 서로 그리워함. 특히 연인 사이의 간절한 그리움.

羅衾(라금).......... 고운 비단으로 만든 이불. 귀한 물건으로, 여기서는 이불 속의 눈물 자국과 함께 애절함을 표현함.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5107
이팝나무 (25).JPG 春閨詞(춘규사)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8-11 19
925 이팝나무 (24).JPG 和夫子吟詩(화부자음시)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8-11 11
924 이질풀 (2).JPG 秋夜月(추야월)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8-06 24
923 이질풀 (1).JPG 秋夜雨(추야우)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8-06 16
922 은핸.봉정사 (4).jpg 花滿枝(화만지)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8-02 27
921 은핸.봉정사 (3).jpg 讀書有感(독서유감) 5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8-02 19
920 유체214 (1).JPG 淸晨座讀召南詩(청신좌독소남시) 金三宜堂(김삼의당) ​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29 33
919 유체 (8).JPG 讀書有感(독서유감) 3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29 22
918 우산나물214 (5).JPG 讀書有感(독서유감) 2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25 26
917 우산나물214 (3).JPG 讀書有感(독서유감) 1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25 20
916 옥매화2024.4.29 (8).JPG 夏日(하일)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21 52
915 옥매화2024.4.29 (6).JPG 寄在京夫子(기재경부자)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21 37
914 옥매화(23).JPG 牧笛(목적) 金三宜堂(金海)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17 101
913 옥매화(22).JPG 送春(송춘) 金三宜堂(김삼의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17 68
912 옥매화 (36).JPG 古寺(고사) 李達(이달)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12 81
911 옥매화 (34).JPG 白露(백로) 劉希慶(유희경)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12 80
910 옥매화 (1).JPG 盆梅(분매) 權近(권근)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09 97
909 오이풀n2 사본.jpg 忿梅(분매) 林泳(임영)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09 89
908 오동7 사본3.jpg 密旨何勞苦(밀지하노고) 崔致遠(최치원) 청남 25-07-05 107
907 오동7 사본2.JPG 萬壑雷聲起(만학뢰성기) 崔致遠(최치원) 청남 25-07-05 80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