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안동인의 시조 金弘道(김홍도)

청남

 

 

안동인의 시조 金弘道(김홍도)

 

1745(영조 21) ? 조선 후기의 화가.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사능(士能), 호는 단원(檀園) · 단구(丹邱) · 고면거사(高眠居士) · 취화사(醉 怜 士) · 첩취옹(輒醉翁). 만호를 지낸 진창(震昌)의 종손이자 석무(錫武)의 아들이다. 김홍도는 당대의 감식자이며 문인화가인 강세황(姜世晃)의 천거로 도화서화원(圖怜署怜員)이 되었다. 많은 활동을 하다가 1791년 정조의 어진 원유관본(遠遊冠本)을 그릴 때도 참여하였다. 그 공으로 충청도 연풍 현감에 임명되어 1795년까지 봉직하였다. 현감 퇴임 후 만년에는 병고와 가난이 겹친 생활고에 시달리다가 여생을 마쳤다.

그는 외모가 수려하고 풍채가 좋았으며, 또한 도량이 넓고 성격이 활달해서 마치 신선과 같았다 한다. 그는 산수 · 도석 인물(道釋人物) · 풍속 · 화조 등 여러 방면에 걸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당대부터 이름을 크게 떨쳤다. 그의 작품은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편이며, 대체로 50세를 중심으로 전후 2기로 나누어지는 화풍상의 변화를 보인다. 연풍 현감에서 해임된 50세 이후로는 한국적 정서가 어려 있는 실경을 소재로 하는 진경산수(眞景山水)를 즐겨 그렸다. 그러면서 단원법 이라 불리는 보다 세련되고 개성이 강한 독창적 화풍을 이룩하였다. 만년에 이르러 명승의 실경에서 농촌이나 전원 등 생활 주변의 풍경을 사생하는 데로 관심이 바뀌었다. 이러한 사경 산수 속에 풍속과 인물 · 영모 등을 가미하여 한국적 서정과 정취가 짙게 밴 일상사의 점경으로 승화시키기도 하였다. 그는 산수뿐만 아니라 도석인물화에서도 자신만의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였다. 조선 후기와 말기의 여러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등 한국화 발전에 뚜렷한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단원풍속화첩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527)을 비롯해서금강사군첩 金剛四君帖 (개인 소장) ·무이귀도도 武夷歸棹圖 (간송미술관 소장) ·선인기려도 仙人騎驢圖 · 단원도 檀園圖 (개인 소장)와 섭우도 涉牛圖 · 기로세련계도 耆老世聯肋圖·단원화첩(호암미술관 소장마상청앵도 馬上聽鶯圖등이 있다출전<민족문화대백과사전>

 

먼 듸 우러

 

먼 듸 우러냐 품의든 님 가랴 

이제 보내고도 반 밤이나 남아시니

라리 보내지 말고 남은 졍을 펴리라.

 

풀이

먼 곳에 있는 닭이 울었느냐, 품속에 든 임이 가려하내.

이제 보내고도 밤이 반이나 남았으니

차라리 보내지 말고 남은 정을 더할 것을.

주석

먼 듸 먼 속에

우러 울었는가.

가랴  가려고 하네.

반 밤이나 밤이 반 만금

졍을 펴리라정을 펴리라.

 

 

춘수(春水)여가

 

춘수(春水) 여 가로 노시니

물 알한늘이오 한늘 우희 물이로다

차중(此中)의 노안(老眼)의 뵈곳든 하중(霞中)인가 노라

 

풀이

봄 강물에 배를 띠워 가는대로 노아 두니

물 아래 하늘이 비치고 하늘위에 물이 비치네.

이 가운데 늙은이 눈에 보이는 곳은 노을 가운데 인가 하네.

주석

춘수 봄의 강물

배를 띠워

 가는 대로

시니 노아 둔다.

아레

노안 노인의 눈

곳든 보이는 것은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2277
580 할미꽃.4.4.3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野有蔓草(야유만초) 제2장 새글 청남 24-05-01 7
579 할미꽃.4.4.3 (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野有蔓草(야유만초) 제1장 새글 청남 24-05-01 4
578 제라늄.24.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出其東門(출기동문) 제2장 청남 24-04-29 13
577 제라늄.24.3. (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出其東門(출기동문) 제1장 청남 24-04-29 8
576 연산홍(집)2024.4.19 (1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揚之水(양지수) 제2장 청남 24-04-27 16
575 연산홍(집)2024.4.19 (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揚之水(양지수) 제1장 청남 24-04-27 8
574 할미꽃.4.4.3 (15).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子衿(자금) 제3장 청남 24-04-25 10
573 황장미2024.4.20 (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子衿(자금) 제2장 청남 24-04-25 7
572 황장미JPG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子衿(자금) 제1장 청남 24-04-25 8
571 박대기2024.4.20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風雨(풍우) 제3장 청남 24-04-23 14
570 꽃잔디2024.4.22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風雨(풍우) 제2장 청남 24-04-23 6
569 꽃잔디2024.4.22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風雨(풍우) 제1장 청남 24-04-23 7
568 민들레2024.4.29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東門之墠(동문지선) 제2장 청남 24-04-21 12
567 개귀리24.4.29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東門之墠(동문지선) 제1장 청남 24-04-21 6
566 벗꽃24.4.5 (2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4장 청남 24-04-18 13
565 벗꽃24.4.5 (2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3장 청남 24-04-18 7
564 벗꽃24.4.5 (1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2장 청남 24-04-18 9
563 벗꽃24.4.5 (4)-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1장 청남 24-04-18 8
562 벗꽃24.4.5 (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褰裳(건상) 제2장 청남 24-04-16 28
561 벗꽃24.4.5 (6).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褰裳(건상) 제1장 청남 24-04-16 1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