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詩經(시경) 당풍(唐風) 有杕之杜(유체지두) 제1장

청남

 

詩經(시경) 당풍(唐風) 有杕之杜(유체지두) 1

 

有杕之杜(유체지두) 生于道左(생우도좌) 彼君子兮(피군자혜)

噬肯適我(서긍적아) 中心好之(중심호지) 曷飮食之(갈음식지)

 

 

팥배나무 한 그루, 길가에 서 있네.

저 훌륭한 사람, 내게 와주소서

정말로 좋아하는 그이에게, 맛있는 음식 차려 올리리다.

 

()........ 나무가 한 그루만 서 있음

도좌(道左)..... 길가. 도좌(道左)란 동쪽이라는 뜻이지만, 도좌(道左) 도우(道右) 길가는 사람 입장에서 하는 말이고, 동서를 구별할 수 없다. 그저 길 가라는 뜻임.

().......... 이른다. ()와 같음.

().......... 즐겨서, 기꺼이

().......... 가다

중심(中心)...... 심중(心中)

호지(好之)....... 현인(賢人)을 좋아함

()........... ()와 같음.

 

팥배나무 한 그루가 길가에 있다. 길가의 그늘은 사람들이 쉬는 것인데, 외로이 서 있는 나무는 이 군자가 고독함을 말하고 있다. 저 고독한 군자는 훌륭한 사람이므로, 내게 오기를 바라고 있다. 내게 온다면, 정말 존경하며 좋아하는 그 사람에게 어떤 음식을 차려드릴까. 진수성찬을 올리고 싶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4085
805 벗꽃3.JPG 後飮酒(후음주) 5-4~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23 9
804 벗꽃3 (3).JPG 後飮酒(후음주) 5-1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23 6
803 벗꽃.24.4.7 (3).JPG 飮酒(음주)5-5 ~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23 8
802 벗꽃 (6).JPG 飮酒(음주) 5-4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20 34
801 벗꽃 (4).JPG 飮酒(음주) 5-1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20 32
800 벗꽃 (3).JPG 出京(출경)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20 31
799 백매화.24 (1).JPG 葉縣雨中(엽현우중)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12 47
798 백랑금 (5).JPG 麥歎(맥탄)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12 39
797 백랑금 (4).JPG 㶏亭(은정)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12 39
796 배 (26).JPG 家山歸夢圖(가산귀몽도) 其三(기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06 57
795 배 (25).JPG 家山歸夢圖(가산귀몽도)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06 43
794 배 (24).JPG 家山歸夢圖(가산귀몽도)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06 38
793 박하 (3).JPG 西園(서원)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02 50
792 박하 (1).JPG 昆陽(곤양)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02 42
791 박패기.jpg 南溪(남계)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1-02 41
790 박대기2024.4.20 (13).JPG 雪後招鄰舍王贊子襄飮(설후초린사왕찬자양음) 元好問(원호문) 청남 24-12-26 61
789 박대기2024.4.20 (12).JPG 孤劒詠(고검영) 元好問(원호문) 청남 24-12-26 47
788 박대기2024.4.20 (11).JPG 繼愚軒和黨承旨雪詩(계우헌화당승지설시) 4-4 元好問(원호문) 청남 24-12-26 45
787 바나나24,3, (2).JPG 繼愚軒和黨承旨雪詩(계우헌화당승지설시) 4-1 元好問(원호문) 청남 24-12-21 83
786 바나나24,3, (1).JPG 八月幷州雁(팔월병주안) 元好問(원호문) 청남 24-12-21 5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