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詩經(시경) 秦風(진풍) 小戎(소융) 제3장

청남

 

 

詩經(시경) 秦風(진풍) 小戎(소융) 3

 

俴駟孔羣(천사공군) 厹矛鋈錞(구모옥순) 蒙伐有苑(몽벌유원)

虎韔鏤膺(호창루응) 交韔二弓(교창이궁) 竹閉緄縢(죽폐곤등)

言念君子(언념군자) 載寢載興(재침재흥) 厭厭良人(염염량인)

秩秩德音(질질덕음)

 

무장한 네 필의 말 단정하고, 세모창 끝은 백금일세

깃으로 장식한 창 아름답고, 활집은 호피요 마대는 금빛일세

두 활을 활집에 넣고, 대나무 돗자리는 칡으로 묶네

그리운 남편, 자나깨나 보고싶네

친절한 사람이여, 그대가 그립네

천사(俴駟)......... 네 필의 말에는 가볍게 갑옷을 입힘.

()............ ().

()............. 말이 잘 훈련되어 있음

구모(厹矛)....... 세모난 창

몽벌(蒙伐)....... 여러 가지 새를 그린 방패

호창(虎韔)....... 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활집

누응(鏤膺)....... 금으로 조각한 마()()

누응(鏤膺)....... 금으로 조각한 마대(馬帶)

교창(交韔)........ 두 개를 엇갈리게 넣음

죽폐(竹閉)....... 대나무 도지개(트집난 활을 바로잡는 기구).

곤등(緄縢)....... 칡을 끈으로 삼아 묶음

질질(秩秩)....... 흐트러지지 않음. 마음이 변하지 않음.

 

네 필의 말에는 가볍게 갑옷을 입혀 무장을 시켰다. 그 말들은 훈련이 잘되어 가만히 두어도 날뛰지 아니하고 조용히 기다린다. 세모진 창끝은 백금으로 도금이 되어 햇빛에 찬란하게 번쩍인다. 방패에 그린 새들의 무늬는 너무나 아름답다. 호랑이 가죽으로 만든 활집에는 활을 두 개 넣는데 서로 엇갈리게 넣어놓았다. 큰 대나무로 만든 활집 도지개는 칡 끈으로 매어 있다.

이렇게 무장한 내 남편이 멀리 출정하고 있는데, 그를 생각하는 내 마음은 간절하다. 자나깨나 온화한 성품의 남편이 그립고 잠시도 남편 생각을 잊은 때가 없다.

 

시서(詩序)와 집전(集傳)에 이 시는 진()의 양공(襄公) 때의 작품이라 한다. 진은 융적(戎狄)에게 늘 압박을 당하고 있었으므로, 항상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었고, 용맹스럽게 잘 싸우는 호전의 기풍이 있었다. 이 시도 병거(兵車)와 무구(武具)를 설명하는 말이 많아서, 지금의 시대와 너무 다른 내용이므로 알기 힘드는 낱말들이 많이 나오지만, 진나라 사람들은 이러한 것들을 자랑으로 삼았을 것이다.

부인이 남편을 생각하는 것도, 다른 국풍(國風)처럼 연약한 모습은 없고, 무인의 아내다운 씩씩함이 엿보이는 것이 특색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4735
875 아구배 (13).JPG 臺山雜詠(대산잡영) 其五(기오)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6 14
874 아구배 (12).JPG 臺山雜詠(대산잡영) 其四(기사)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6 11
873 씀바귀8.JPG 臺山雜詠(대산잡영)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2 33
872 씀바귀7.JPG 陽泉棲雲道院(양천서운도원)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2 23
871 신선초2.jpg 示程孫(시정손) 其三(기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8 28
870 신선초1.jpg 示程孫(시정손)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8 22
869 시호n.jpg 湧金亭示同游諸君(용금정시동유제군)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8 24
868 수세미오이2024.5.23.JPG 哭曹徵君子玉(곡조징군자옥)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4 32
867 수선화.JPG 善應寺(선응사) 其五(기오)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4 30
866 수선화 (20).JPG 善應寺(선응사)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4 26
865 수련2.jpg 讀書山月夕(독서산월석)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0 37
864 수련1.jpg 讀書山月夕(독서산월석)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0 31
863 수래국화5 사본.jpg 留月軒(유월헌)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0 31
862 소루쟁이 (16).jpg 晨起(신기)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06 44
861 소루쟁이 (15).JPG 發南樓度雁文關(발남루도안문관)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06 37
860 소루쟁이 (12).JPG 發南樓度雁文關(발남루도안문관)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06 33
859 소나무7.JPG 九日讀書山用陶詩『露淒暄風息, 氣淸天曠明』爲韻, 賦十首(구일독서산용도시『로처훤풍식, 기청천광명』위운, 부십수) 其三(기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02 40
858 소나무6.JPG 九日讀書山用陶詩『露淒暄風息, 氣淸天曠明』爲韻, 賦十首(구일독서산용도시『로처훤풍식, 기청천광명』위운, 부십수)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02 33
857 소나무5.JPG 己亥元日(기해원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02 35
856 선인장꽃 (1).JPG 和仁卿演太白詩意(화인경연태백시의)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29 63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