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登岳陽樓嘆關山戎馬(등악양루탄관산융마)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登岳陽樓嘆關山戎馬(등악양루탄관산융마) 歷代名詩(역대명시)

 

 

秋江寂寞魚龍冷(추강적막어룡냉人在西風仲宣樓(인재서풍중선루)

梅花晩國聽暮笛(매화만국청모적桃竹殘年隨白鷗(도죽잔년수백구)

烏灣落照倚檻恨(오만낙조의함한卽北兵塵何日休(즉북병진하일휴)

春花古國淚後(춘화고국천루후何處江山非我愁(하처강산비아수)

新浦細柳曲江岸(신포세류곡강안玉露淸風夔子州(옥로청풍기자주)

靑袍一上萬里船(청포일상만리선洞庭湖如天波始(동정호여천파시)

無遠草色七百里(무원초색칠백리自古高樓湖上浮(자고고루호상부)

秋聲乍倚落木天(추성사의낙목천眼力初窮靑草洲(안력초궁청초주)

風煙兆一滿眼來(풍연조일만안래不幸江南漂泊遊(불행강남표박유)

中原幾處戰鼓多(중원기처전고다臣甫先爲天下憂(신보선위천하우)

靑山白水寡婦哭(청산백수과부곡茼蓿葡萄胡馬啾(동숙포도호마추)

開元花鳥鎖繡嶺(개원화조쇄수령淚聽江南紅荳䜔(루청강남홍두수)

蕭蕭孤棹浮白灣(소소고도부백만暮年生涯云峽舟(모년생애운협주)

西園烏竹焦拾逍(서원오죽초습소楚戶霜砧餘白頭(초호상침여백두)

浮萍天地且樓高(부평천지차루고亂代悲楚囚風塵란대비초수풍진)

弟妹淚欲乾湖海(제매루욕건호해親朋書不投西京(친붕서불투서경)

萬事変棋場北望(만사변기장북망皇屋平安不巴陵(황옥평안불파릉)

春酒不成醉(춘주불성취錦囊無心風物收(금낭무심풍물수)

 

 

<>

가을 강은 적막하여 물고기조차 차고 사람은 서풍을 맞으며 仲宣樓(중선루)에 있노라. 매화는 가득하고 물녘에 젓대소리 들리니 桃竹杖(도죽장) 집고 백구를 따라가노라.

烏灣(오만)에 해질녘에 난간에 기대어 한탄하니 북쪽의 전란이 어느 날에 멈출까. 봄꽃도 옛 나라에 눈물 뿌리니 어느 강산이 수심되지 않으리.

버들강아지 가는 버들은 강가에 둘려 있고 흰 이슬 맑은 바람은 夔州(기주) 인듯하구나. 靑袍(청포) 입고 萬里船(만리선)에 오르니 洞庭湖(동정호)는 하늘빛과 같아 물결이 가을을 알리노라. 끝없는 풀빛이 칠백리에 이르고, 예부터 높은 누각이 호수에 위에 떠있노라.

가을의 소리는 낙엽 지는 가지에서 다가오고 물가의 푸른 풀도 다 쓰러졌는데, 風煙(풍연)이 눈에 가득 차여 있는지 불행이 동남쪽에 떠다며 놀았도다.

중원의 여러 곳에 전쟁의 북소리 많으니 杜甫는 먼저 천하를 근심 하노라.

천산의 맑은 물에 과부가 울음 울고 물쑥과 포도밭에 호마가 먹이를 찾는 구나.

開元(개원) 시절에 꽃과 새는 새장 속에 갇혔으니 울면서 강남의 紅荳(홍두) 노래를 듣는구나.

쓸쓸하고 외로운 돛은 白灣(백만)에 떠있고 만년의 생애는 골짝에 뜬 베와 더불어 사는데, 서원에서 오죽지팡이 짚고 소요하니 머리에는 언언 백설이 내렸고 부평초 같은 천지에 이 누각 높이 솟았으니 어지러운 세상의 초나라 풍진이여.

자매 그리워 눈물도 마라버렸고 친한 벗의 서한도 西京(서경)에 보낼 수 없네.

만사 변해버린 바둑판같은 북쪽을 바라보니, 황궁은 편안하고 巴陵(파능)도 무사한지.

봄에 마시는 술 취하지 않아 무심히 비단 주머니 속에 소지품을 챙겨 였네.

 

<참고>

 

申光洙

朝鮮後期文人 호는 石北 五嶽山人

書畵에도 뛰어나고 浮海錄을 썼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4914
910 옥매화 (1).JPG 盆梅(분매) 權近(권근)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09 11
909 오이풀n2 사본.jpg 忿梅(분매) 林泳(임영)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09 7
908 오동7 사본3.jpg 密旨何勞苦(밀지하노고) 崔致遠(최치원) 청남 25-07-05 20
907 오동7 사본2.JPG 萬壑雷聲起(만학뢰성기) 崔致遠(최치원) 청남 25-07-05 13
906 연산홍2024.5.23.JPG 竹心(죽심) 成侃(성간)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01 26
905 연산홍23. (3).jpg 待月(대월) 凌雲(능운)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7-01 15
904 연산홍.2024.5.2 (4).JPG 感懷(감회) 西山大師(서산대사)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27 24
903 연산홍.2024.5.2 (3).JPG 懷人(회인) 申翊聖(신익성)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27 16
902 연산홍 24.3 (1).JPG 卽事(봉래즉사) 西山大師(서산대사)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23 29
901 연산홍 (109).jpg 省塢(성오) 西山大師(全州 崔氏)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23 18
900 연산홍 (64).jpg 船中夜吟(선중야음) 朴寅亮(박인량)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19 37
899 연산홍 (62).jpg 題畵(제화) 金得臣(김득신)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19 28
898 연꽃 편의.jpg 木蓮(목련) 徐應淳(서응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13 28
897 연꽃 (26).jpg 靑山白雲圖(청산백운도) 姜希顔(강희안)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13 23
896 연꽃 (2).jpg 春來(춘래) 林億齡(임억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9 33
895 연꽃 (1).JPG 智異山(지리산) 崔致遠(최치원)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9 22
894 엄나무 (6).JPG 鶴(학) 李書九(이서구)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5 35
893 엄나무 (5).JPG 彈琴臺(탄금대)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5 26
892 양지꽃 사본.jpg 嶺南樓(영남루)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1 37
891 양란.24.봄 (3).JPG 矗石樓義娘岩(촉석루의낭암)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1 2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