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詩經(시경) 檜風(회풍) 羔裘(고구) 제1장

청남

 

 

詩經(시경) 檜風(회풍) 羔裘(고구) 1

 

羔裘逍遙(고구소요) 狐裘以朝(호구이조)

豈不爾思(기불이사) 勞心忉忉(노심도도)

 

 

염소 가죽옷 입고 놀다가, 여우 가죽옷 입고 정사(政事)보네

그대 일생각하니, 걱정되는 일 있네

고구소요(羔裘逍遙)... 염소 가죽옷을 입고 소요한다.

호구이조(狐裘以朝)... 여우 가죽옷을 입고 인군은 매일 신하의 조참(朝參)을 바고 정치 를 함.<毛傳>

기불이사(豈不爾思)... 어찌 군을 생각하지 않으리.

노심도도(勞心忉忉)... 마음이 괴로워 근심이 그치지 아니함.

 

염소 가죽옷을 입고 산책을 하다가, 여우가죽옷을 입고 조참(朝參)을 받는다. 군을 생각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생각하니 마음이 괴롭다. 염소가죽의 검은 옷을 입는 것은, 제후가 정청(政廳)에서 정치를 할 때 입는 정복인데, 우리 운은 그 옷을 평상복으로 입고, 놀로 다닐 때도 그 옷을 입고 있다. 비단 옷에 흰여우 가죽옷을 입는 것은 제후(諸侯)가 천자를 만날 때 입는 정복인데, 우리 군은 항상 그것을 입고, 정치를 하고 있다. 회군(檜君)은 좋은 옷을 입는 것만을 생각하고 정치를 게을리 하고 있다. 그래서는 나라가 위태롭다. 충신이 이를 간하지만 듣지 아니한다. 할 수 없이 나라를 떠난다. 그러나 군에게 미련이 있어, 군을 잊을 수가 없고 시름은 끝이 없다.

<>

()는 나라 이름이다. 지금의 하남성(河南省) 밀현(密縣) 동북쪽에 있던 작은 나라인데, 도읍지는 진수(溱水)와 유수(洧水)사이에 있던 작은 읍이라고 한다.

태고 때, 고신민(高辛民)의 화정(火正: 불을 관장하는 장관) 축융(祝融)이 살았던 곳이라 한다. 축융(祝融)은 이름이 여()이며, 그 자손에는 팔성(八姓) 이 있고 운성(妘姓)인 회()가 이 지방에 있었다. ()의 무왕(武王)은 축융의 후손을 제수(濟水), 낙수(洛水), 황하(黃河) 사이에 봉해서 회군(檜君)으로 하고 자작(子爵)을 주었으나, 서주(西周) , 회군(檜君)은 정사를 게을리 하고 의복의 사치에 신경을 쓰는 사치풍조에 빠져 나라가 어지러워 변풍(變風)이 비로소 일어났다.

그리하여 평왕(平王) (), ()는 정()의 무공(武公)에게 멸망당해 정()나라에 합병되었다. 회풍(檜風)은 이 회()나라의 시며, 모두 네 편이 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4914
890 앵초 (1).JPG 시) 許眉叟(허미수)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8 36
889 앵두12024.5.23.JPG 金剛山詩(금강산시) 宋尤菴(송우암)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8 37
888 안개꽃4.JPG 申紫霞詩(신자하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4 57
887 안개꽃4 사본2.jpg 紅流洞詩(홍류동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4 45
886 아카시아2024.5.17 (64).JPG 朴生婢詩(박생비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0 64
885 아카시아2024.5.17 (63).JPG 登白雲臺(등백운대) 朴文秀(박문수)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0 41
884 아카시야3.JPG 竹西樓詩(죽서루시) 肅宗大王 御製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6 50
883 아카시아2024.5.17 (65).JPG 徐花潭詩(서화담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6 35
882 아카시아2024.5.17 (26).JPG 冠岳山詩(관악산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2 64
881 아카시아2024.5.17 (25).JPG 鏡浦坮詩(경포대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2 48
880 아카시아 (6).JPG 登岳陽樓嘆關山戎馬(등악양루탄관산융마)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08 55
879 아카시아 (5).JPG 陟州東海碑(척주동해비)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08 73
878 아네모네214 (10) 사본.jpg 丙辰九月二十六日挈家游龍泉(병진구월이십육일설가유용천)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5-04 86
877 아기똥풀3.JPG 乙卯十一月往鎭州(을묘십일월왕진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30 82
876 아기똥풀2.JPG 出都(출도)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30 63
875 아구배 (13).JPG 臺山雜詠(대산잡영) 其五(기오)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6 100
874 아구배 (12).JPG 臺山雜詠(대산잡영) 其四(기사)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6 97
873 씀바귀8.JPG 臺山雜詠(대산잡영)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2 103
872 씀바귀7.JPG 陽泉棲雲道院(양천서운도원)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22 82
871 신선초2.jpg 示程孫(시정손) 其三(기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4-18 9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