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經(시경) 豳風(빈풍) 七月(칠월) 제4장
四月秀葽(사월수요) 五月鳴蜩(오월명조) 八月其穫(팔월기확)
十月隕蘀(십월운탁) 一之日于貉(일지일우맥) 取彼狐貍(취피호리)
爲公子裘(위공자구) 二之日其同(이지일기동) 載纘武功(재찬무공)
言私其豵(언사기종) 獻豜于公(헌견우공)
|
【解】
4월에는 애기풀 따고, 5월에는 매미가 우네
8월에는 벼를 베고, 시월에는 낙엽지네
동짓달엔 오소리 사냥, 여우와 살쾡이도 잡아
공자님 가죽옷 만드세
섣달에는 모두 함께 사냥터에가 군사 훈련
작은 돼지는 우리 집에, 큰 것은 인군임께
【注】
수요(秀葽)........ 열매가 열린 애기풀. 약용으로 씀
확(穫).............. 벼를 베다. 여기서는 올벼를 베다
우맥(于貉)........ 담비. 그 털가죽은 최상급
공자(公子)........ 남자일 것임
기동(其同)........ 다른 사람과 함께하다
찬(纘)............. 매년 같은 일을 되풀이 실시함
사(私)........... 자기가 갖는 것
종(豵)........... 한 살난 돼지
견(豜)............ 세 살난 돼지
공(公)............ 인군임
남자들의 사냥하는 모양을 말하고 있다. 음력 4월에는 약초인 애기풀이 결실 한다. 5월에는 매미가 운다. 8월에는 올벼를 베고, 10월에는 날씨가 추워 나뭇잎이 떨어진다. 11월이 되면 담비를 잡아 그 가죽으로 모피 옷을 만들어 겨울 준비를 한다. 여우와 너구리 등의 가죽은 인군임의 옷을 만들게 바치고 싶다. 12월이 되면 모두 함께 사냥에 나간다. 사냥은 군사훈련을 겸한 연례행사이며 매년 꼭 실시한다. 그때 사냥해서 잡은 작은 돼는 집에 갖고 오고, 큰 돼지는 인군임에게 바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