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詩經(시경) 鄭風(정풍) 將仲子(장중자) 제1장

청남

 

 

詩經(시경) 鄭風(정풍) 將仲子(장중자) 1

 

將仲子兮(장중자혜) 無踰我里(무유아리) 無折我樹杞(무절아수기)

豈敢愛之(기감애지) 畏我父母(외아부모) 仲可懷也(중가회야)

父母之言(부모지언) 亦可畏也(역가외야)

 

 

제발 중자(仲子), 우리마을에 오지 마세요

심은 버들가지 꺾으며 밀어닥치는 일 하지 마세요

버들가지 아까운 것 아니지만, 부모님이 어려워요

그대는 몹시 그리우나

부모님의 꾸지람도 무서워서요.

 

()........... 청하다. 바라다.

중자(仲子)...... 상대편 젊은 남자를 말함.

()........... 넘다.

아리(我里)...... 우리 마을. ()는 여자가 자기를 이르는 말이고, ()25 ()가 있는 동네.

()........... 그냥 꺾는 것이 아니고 나무를 꺾고 담을 타넘는 것.

수기(樹杞)...... 물가에 심는 땅버들.

()........... 아깝게 여기다. 애석하다. 버들을 아깝다고 생각한다.

()........... 그리워하다.

 

제발 중자(仲子)! 하고 부르는 것은 상대방 남자는 귀엽게 자란 젊은 남자이기 때문이다. 이웃마을에 사는 이 남자가 여자에게 다가오나 여자는 바로 응하지 않는다. 우리 마을 경계를 넘어 내게 막 밀어닥치듯 오지는 말아 다오. 우리 집 주변에 심은 버드나무 가지를 꺾고 침입하는 등의 일은 하지 말라고 남자를 타이른다. 그것은 버드나무 가지가 아까워서 그런 것이 아니고, 그렇게 난폭한 짓을 해서 함께 하면 부모님의 꾸지람을 들을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그대를 정말로 그리워하고 사랑하지만 부모님의 꾸지람도 무서우니 예의에 어긋나는 그러한 난폭한 행동은 하지 말아주세요.

 

시골 마을에는 담장이 있다. 그 담을 타넘어 온다는 것은 밀통(密通)한다는 것이다. 마을 지경에는 도랑이 있고 거기에는 버드나무를 심어 두었다. 봄이 오면 푸른 잎이 돋아나는 것이 마치 연기처럼 아련하다. 전원의 아름다운 풍경이며 동시에 그것은 젊은 남녀의 청춘을 불태우는 좋은 계절이기도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2325
556 버들강아지24.3.30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山有扶蘇(산유부소) 제2장 청남 24-04-09 22
555 버들강아지24.3.30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山有扶蘇(산유부소) 제1장 청남 24-04-09 17
554 개나리3.3.29 (1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有女同車(유여동차) 제2장 청남 24-04-06 28
553 개나리3.3.29 (1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有女同車(유여동차) 제1장 청남 24-04-06 26
552 목련.4.4.3 (2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女曰雞鳴(여왈계명) 제3장 청남 24-04-04 43
551 목련.4.4.3 (2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女曰雞鳴(여왈계명) 제2장 청남 24-04-04 32
550 목련.4.4.3 (1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女曰雞鳴(여왈계명) 제1장 청남 24-04-04 20
549 갑사 (25).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遵大路(준대로) 제2장 청남 24-03-31 35
548 갑사 (16).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遵大路(준대로) 제1장 遵大路兮(준대로혜) 摻執子之袪兮(삼집자지거혜) 無我惡兮(무아오혜) 不寁故也(불삼고야) 【解】 큰길로 쫓아나가, 그대 소매에 청남 24-03-31 30
547 개나리3.3.29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羔裘(고구) 제3장 청남 24-03-29 31
546 개나리3.3.29 (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羔裘(고구) 제2장 청남 24-03-29 31
545 개나리3.3.29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羔裘(고구) 제1장 청남 24-03-29 27
544 메화.야경 (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淸人(청인) 제3장 청남 24-03-28 38
543 메화.야경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淸人(청인) 제2장 청남 24-03-28 22
542 메화.3.27. (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淸人(청인) 제1장 청남 24-03-28 24
541 꽃기린.24. (4).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大叔于田(대숙우전) 제3장 청남 24-03-26 29
540 꽃기린.24.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大叔于田(대숙우전) 제2장 청남 24-03-26 27
539 꽃기린.24.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大叔于田(대숙우전) 제1장 청남 24-03-26 19
538 DSC_002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叔于田(숙우전) 제3장 청남 24-03-24 44
537 DSC_0012.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叔于田(숙우전) 제2장 청남 24-03-24 2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