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지사항 |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
관리자 |
05-01-07 |
14898 |
|
848 |
일반 |
題解飛卿山水卷(제해비경산수권)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21 |
102 |
|
847 |
일반 |
濟南雜詩(제남잡시) 其十(기십)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17 |
130 |
|
846 |
일반 |
懷益之兄時在閿鄕(회익지형시재문鄕)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17 |
127 |
|
845 |
일반 |
送仲希兼簡大方(송중희겸간대방)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17 |
109 |
|
844 |
일반 |
卽事(즉사)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12 |
138 |
|
843 |
일반 |
續小娘歌(속소낭가) 其十(기십)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12 |
115 |
|
842 |
일반 |
三. 亡國以後作品(망국이후작품)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12 |
105 |
|
841 |
일반 |
十二月六日(십이월육일)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8 |
117 |
|
840 |
일반 |
夢歸(몽귀)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8 |
113 |
|
839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九(기구)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8 |
104 |
|
838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六(기육)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5 |
180 |
|
837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五(기오)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5 |
133 |
|
836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四(기사) 元好問(원호문)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5 |
124 |
|
835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三(기삼)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1 |
156 |
|
834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二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1 |
127 |
|
833 |
일반 |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3-01 |
121 |
|
832 |
일반 |
癸巳四月二十九日出京(계사사월이십구일출경)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2-25 |
156 |
|
831 |
일반 |
雜著(잡저) 其四(기사)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2-25 |
165 |
|
830 |
일반 |
俳體(배체)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其十五(기십오) 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2-25 |
123 |
|
829 |
일반 |
俳體(배체)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其十四(기십사)元好問(원호문)
|
청남 |
25-02-23 |
1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