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안동인의 시조 禹倬(우탁)

청남

 

 

안동인의 시조 禹倬(우탁)

 

1263(원종 4) 1342(충혜왕 복위 3). 고려 말 정주학 수용 초기의 유학자. 본관은 단양(丹陽). 자는 천장(天章) 또는 탁보(卓甫 · 卓夫), 호는 백운(白雲) · 단암(丹巖). 세상에서 역동선생(易東先生) ’ 이라 일컬어졌다. 시조 현()7대손으로, 남성전서문하시중(南省典書門下侍中)으로 증직된 천규(天珪)의 아들이다.

1278(충렬왕 4) 향공진사(鄕貢進士)가 되고, 과거에 올라 영해사록(寧海司錄)이 되었다. 이 무렵 영해에는 팔령(八鈴)이라 이름하는 신사 ( 神祠 )가 있었다. 백성들이 그 영험을 믿고 팔령신(八鈴神)을 극진히 받들고 있었으며, 자주 제사지내고 재물을 바쳐 폐해가 막심했는데, 팔령신을 요괴로 단정하고는 신사를 과감히 철폐하였다.

1308(충선왕 즉위년) 감찰규정(監察糾正)이 되었고, 충선왕이 부왕의 후궁인 숙창원비 ( 淑昌院妃 )와 통간하자 백의 ( 白衣 )차림에 도끼를 들고 거적자리를 짊어진 채 대궐로 들어가 극간을 하였다.

곧 향리로 물러나 학문에 정진했으나 충의를 가상히 여긴 충숙왕의 여러 번에 걸친 소명으로 다시 벼슬길에 나서서 성균좨주(成均祭酒)로 치사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는 예안(禮安)에 은거하면서 후진 교육에 전념하였다. 당시 원나라를 통해 새로운 유학인 정주학 (程朱學)이 수용되고 있었는데, 이를 깊이 연구해 후학들에게 전해주었다.

정이(程 蓬 )가 주석한 역경 정전 程傳 은 처음 들어왔을 때 아는 이가 없었는데, 방문을 닫아걸고 연구하기를 달포만에 터득해 학생들에게 가르쳐주었다.

경사(經史)에 통달했고, 고려사 열전에 역학 ( 易學 )에 더욱 조예가 깊어 복서 ( 卜筮 )가 맞지 않음이 없다고 기록될 만큼 아주 뛰어난 역학자였다. 또한 시조 2수와 몇 편의 시가 전하고 있다.

조선조에 와서 이황 ( 李滉 )의 발의로 1570(선조 3) 예안에 역동서원 ( 易東書院 )이 창건되었으나, 1871(고종 8)에 훼철당했다가 1966년 복원되었다. 또 다른 서원인 구계서원 ( 龜溪書院 )은 영남대학교 구내로 옮겨졌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출전<민족문화대백과사전>

 

늙지 말려이고

 

늙지 말려이고 다시 져머 보려

청춘(靑春)이 날 소기고 백발(白髮)이 거의로다

잇다감 곳밧지날 제면 죄() 지은 듯여라.

 

풀이

늘지 말고 다시 젊어 보려고 하였는데

청춘이 나는 속이고 백발이 거의 다 되었구나.

가끔 꽃밭을 지날 때면 죄를 지은 듯하여라.

주석

말려이고 말려고. 않으려고

져머 젊어

보려 보려 했더니

거의로다 거의 되었구나.

잇다감 가금

곳밧 꽃밭을

지날 제면 지날 때면

 

임고대(臨高坮) 임고대(臨高坮)

 

임고대(臨高坮) 임고대(臨高坮)야 장안(長安)을 구버보니

운리(雲裡) 제성(帝城)은 쌍봉관(雙鳳闕)이요 우중(雨中) 춘수(春樹)는 만인가(萬人家)

아마도 번화(繁華) 민물(民物)이 태평(太平)인가 노라

 

풀이

높은 누각에 오르고 올라 장안을 살펴보니

구름 속 황성에는 궁궐이 있고, 빗속 봄 나무사이에 많은 집들이 있네.

아마도 번화한 백성의 살림이 태평인가 하노라.

주석

임고대 높은 누각에 오라다.

구버보니 살펴보니

운리 구름 속

제성 제왕의 성

쌍봉관 황제의 궁

번화 민물 번화한 백성의 살림

 

어떤 책에는 이정보(李鼎補) 작품이라 하는 곳도 있다.

춘산(春山)에 눈 노긴

 

춘산(春山)에 눈 노긴 람 건듯 불고 간업다

져근듯 비러다가 불리고쟈 마리 우희

귀 밋  무근 서리를 노겨 볼가 노라.

 

풀이

봄 동산에 눈 녹인 바람 잠시 불고 간대 없구나.

잠간 빌려다가 머리 위에 불게하고 싶어라.

귀 밑에 여러 해 묵은 서리를 녹여 볼까 하노라.

주석

춘산 봄 동산. '청춘'을 뜻함

건듯 문득. 잠깐

간듸 간 곳

져근 덧 잠깐. 잠시 동안

마리 머리

불니고져 불게하고 싶구나.

밑에

묵은 오래 된. 여러 해 묵은

서리백발을 비유

 

손에 가시를 들고

 

손에 가시를 들고   손에 막 들고

늙는 길 가시로 막고 오는 백발(白髮) 로 치랴터니

백발(白髮)이 제 몬져 알고 즈럼길로 오더라.

 

풀이

한 손에 막대 잡고, 또 다른 한 손엔 가시를 쥐고

늙어가는 것을 가시덩굴로 막고 오는 백발은 막대기로 치려고 하였더니

어느새 백발이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주석

들고 막대 들고

치랴터니 치랴고 했더니

몬져 먼저

즈럼길로 지름길로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2266
566 벗꽃24.4.5 (2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4장 새글 청남 24-04-18 3
565 벗꽃24.4.5 (2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3장 새글 청남 24-04-18 2
564 벗꽃24.4.5 (1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2장 새글 청남 24-04-18 2
563 벗꽃24.4.5 (4)-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丰(봉) 제1장 새글 청남 24-04-18 2
562 벗꽃24.4.5 (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褰裳(건상) 제2장 청남 24-04-16 15
561 벗꽃24.4.5 (6).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褰裳(건상) 제1장 청남 24-04-16 9
560 박태기 (29).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狡童(교동) 제2장 청남 24-04-14 14
559 박태기 (27).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狡童(교동) 제1장 청남 24-04-14 7
558 벗꽃.24.4.7 (1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蘀兮(탁혜) 제2장 청남 24-04-11 11
557 벗꽃.24.4.7 (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蘀兮(탁혜) 제1장 청남 24-04-11 8
556 버들강아지24.3.30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山有扶蘇(산유부소) 제2장 청남 24-04-09 10
555 버들강아지24.3.30 (1).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山有扶蘇(산유부소) 제1장 청남 24-04-09 5
554 개나리3.3.29 (1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有女同車(유여동차) 제2장 청남 24-04-06 14
553 개나리3.3.29 (1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有女同車(유여동차) 제1장 청남 24-04-06 11
552 목련.4.4.3 (2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女曰雞鳴(여왈계명) 제3장 청남 24-04-04 16
551 목련.4.4.3 (20).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女曰雞鳴(여왈계명) 제2장 청남 24-04-04 10
550 목련.4.4.3 (18).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女曰雞鳴(여왈계명) 제1장 청남 24-04-04 8
549 갑사 (25).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遵大路(준대로) 제2장 청남 24-03-31 15
548 갑사 (16).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遵大路(준대로) 제1장 遵大路兮(준대로혜) 摻執子之袪兮(삼집자지거혜) 無我惡兮(무아오혜) 不寁故也(불삼고야) 【解】 큰길로 쫓아나가, 그대 소매에 청남 24-03-31 11
547 개나리3.3.29 (3).JPG 詩經(시경) 鄭風(정풍) 羔裘(고구) 제3장 청남 24-03-29 1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