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詩經(시경) 당풍(唐風) 綢繆(주무) 제3장

청남

 

 

詩經(시경당풍(唐風綢繆(주무3

綢繆束楚(주무속초) 三星在戶(삼성재호) 今夕何夕(금석하석)

見此粲者(견차찬자) 子兮子兮(자혜자혜) 如此粲者何(여차찬자하)

 

 

잡목을 단으로 묶네, 별 새개 서쪽하늘에 빛나는데

이 밤은 정말로 좋은 밤, 이렇게 아름다운 사람과 만났으니

그대여! 그대여!, 이 좋은 사람 어이 할거나

 

()............ 가시나무. 땔나무로 하는 잡목

()............ 집의 문은 남향이므로, 여기서는 남을 말함.

찬자(粲者)....... 미녀(美女)를 말 함. 모전(毛傳)삼녀(三女)를 찬()이라함. 대부 (大夫)는 일처 이첩임

 

땔나무를 묶는다. 별 새 개가 서쪽하늘에 빛난다. 오늘밤은 정말로 즐거운 밤이다. 이렇게 아름다운 사람을 만날 수 있으니 말이다. 그대여, 그대여, 이 아름다운 사람을 어찌하리.

 

이 시는 건전한 남녀의 만남을 나타내는 시다. 삼성(三星)은 참성(參星)이며, 참성(參星)이 처음으로 동방에 나타날 때, 남녀는 예로서 혼인을 하는데, 혼례를 올리는 그때가 바로 참성(參星)이 하늘에 나타날 때이다.

혹는 삼성(三星)은 심성(心星)을 말하는 것이며, 심성(心星)에는 존비(尊卑)부부(夫婦)부자(父子)의 상이 있다. 또 이월의 합숙(合宿)을 나타내기도 한다. 고로 이 시는 남녀의 건전한 결합을 나타내는 시라고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4590
844 산딸나무2.jpg 卽事(즉사)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12 18
843 산딸나무1.JPG 續小娘歌(속소낭가) 其十(기십)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12 11
842 산딸나무.JPG 三. 亡國以後作品(망국이후작품)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12 8
841 산당화 (9).JPG 十二月六日(십이월육일) 其二(기이)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8 16
840 산당화 (7).JPG 夢歸(몽귀)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8 10
839 산당화 (6).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九(기구)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8 9
838 사철나무 (2).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六(기육)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5 27
837 사철나무 (1).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五(기오)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5 19
836 사철나무 (1) 사본.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四(기사) 元好問(원호문)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5 17
835 뽕나무1 (2).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三(기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1 37
834 뽈찌란.24.3.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二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1 29
833 뽈찌란..JPG 癸巳五月三日北渡(계사오월삼일북도) 其一(기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3-01 38
832 붓꽃19.JPG 癸巳四月二十九日出京(계사사월이십구일출경)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2-25 49
831 붓꽃17.JPG 雜著(잡저) 其四(기사)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2-25 40
830 붓꽃15.JPG 俳體(배체)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其十五(기십오)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2-25 37
829 불두화2024.5.20 (1).JPG 俳體(배체)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其十四(기십사)元好問(원호문) 청남 25-02-23 54
828 불두화20.jpg 俳體(배체)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其十三(기십삼)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2-23 46
827 불두화18.jpg 俳體(배체) 元好問(원호문)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其三(기삼) 청남 25-02-23 39
826 불두화 (10).jpg 俳體(배체) 元好問(원호문) 雪香亭雜詠(설향정잡영) 15-1 청남 25-02-19 60
825 불두화 (9).jpg 壬辰十二月車駕東狩後卽事(임진십이월거가동수후즉사) 五首 其五(오수기오) 元好問(원호문) 청남 25-02-19 7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