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시와 가사


[일반 ] 詩經(시경) 秦風(진풍) 渭陽(위양) 제2장

청남

 

 

詩經(시경) 秦風(진풍) 渭陽(위양) 2

 

我送舅氏(아송구씨) 悠悠我思(유유아사)

何以贈之(하이증지) 瓊瑰玉佩(경괴옥패)


외삼촌을 전송하니, 갖가지 생각 끝이 없네

무엇을 선물로 드릴까, 아름다운 패옥을 드리리라.

 

유유(悠悠)....... 길고 끝이 없는 모양.

경괴(瓊瑰)....... 옥과 같이 아름다운 돌

옥패(玉佩)....... 패옥

 

외삼촌을 전송하고 오니, 온갖 일들이 생각나 깊은 시름 속에 빠져든다. 무엇을 선물로 보내 들릴까. 아름다움 패옥을 보내자.

 

시서(詩序) 집전(集傳) 모두 이 시는 진()의 강공(康公)이 태자였을 대, 그의 외숙부인 진()의 문공(文公)을 위양(渭陽)에 전송할 때의 시라고 한다. 그 내용은 춘추(春秋) 경전(經典)에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처음 진()의 헌공(獻公)은 가국(賈國)에서 부인을 취했으나 자식이 없었으므로, 제강(齊姜: 아버지 무공의 첩)을 증(: 上淫을 말함)해서 목희(穆姬)와 태자 신생(申生)을 낳았다. 그리고 다시 두 여자를 융()에서 얻어, 대융(大戎)의 호희(狐姬)가 중이(重耳: 뒤에 문공)을 낳고, 소융(小戎)의 여자가 이오(夷吾: 헌공 다음에 즉위한 혜공)를 낳았다. , ()이 여융(驪戎)을 첫을 때, 여융(驪戎)의 남작이 그의 딸 여희(麗姬)를 헌공(獻公)에게 주었다. 여희(麗姬)는 진()에 돌아온 다음 해제(奚齊)를 낳았다. 여희(麗姬)의 여동생은 탁자(卓子)를 낳았다.

여희(麗姬)가 헌공(獻公)의 총애를 받는 것을 믿고, 그가 낳은 아들을 태자로 세우려고, 제후들을 매수하고 참언을 퍼트려, 태자 신생(申生)을 곡옥(曲沃)으로 보내고, 중이(重耳)를 포성(蒲城)으로 보내고, 이오(夷吾)를 굴성(屈城)으로 보내어, 모든 왕자를 모두 국도(國都)에서 쫓아내고, 드디어 해제(奚齊)를 태자로 하였다.

그로부터 8년 뒤, 여희(麗姬)의 참언으로 태자 신생(申生)은 자살을 했다. 그러자 세상사람들은 애태자(哀太子) 공태자(恭太子) 하면서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그러자 여희(麗姬)의 아들 해제(奚齊)도 진()의 대부 이극(里克)에게 살해당하고, 그의 동생인 탁자(卓子)도 또한 살해되었다.

목희(穆姬)는 진()의 목공(穆公)의 부인이 되었다. 이오(夷吾)는 제()와 진()의 도움으로 진()에 들어와 군이 되었다. 그가 혜공(惠公)이다. 그런데 혜공(惠公)은 진()을 배반하고, 약속을 지키지 아니하므로, ()의 목공(穆公)과 진()의 혜공(惠公)은 한원(韓原)에서 싸워, 혜공(惠公)은 생포되어 진()에 압송되었으나, 목부인(穆夫人)의 도움으로 풀려나서 진()으로 다시 돌아왔다. 혜공(惠公)이 죽자 그의 아들인 회공(懷公)에게 대를 있게 했으나, ()의 목공(穆公)은 중이(重耳)를 도와 그를 진()에 보내어 군()으로 했다. 중이(重耳)는 회공(懷公)의 숙부에 해당한다.

중이(重耳)는 려희(驪姬)의 난으로 17살에 진()을 나와, 그 뒤 17년간을 여러 나라를 방황하다가 비로소 진군(晉君)이 되었으니, 이가 바로 춘추(春秋)오패(五覇)의 진()의 문공(文公)이다.

이 시는 목공(穆公)이 문공(文公)을 받아드린 다음, 목공(穆公)의 아들인 강공(康公)이 아직 태자일 때, 문공(文公)을 위수(渭水)에 전송하고, 어머니(목부인)의 죽음을 생각하며, 외삼촌을 볼 때 어머니(목부인)를 그리는 정이 간절해서 즉위 후 그 마음을 시로 적은 것이라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시와 가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7 14849
898 연꽃 편의.jpg 木蓮(목련) 徐應淳(서응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13 19
897 연꽃 (26).jpg 靑山白雲圖(청산백운도) 姜希顔(강희안)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13 12
896 연꽃 (2).jpg 春來(춘래) 林億齡(임억령)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9 20
895 연꽃 (1).JPG 智異山(지리산) 崔致遠(최치원)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9 14
894 엄나무 (6).JPG 鶴(학) 李書九(이서구)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5 23
893 엄나무 (5).JPG 彈琴臺(탄금대)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5 15
892 양지꽃 사본.jpg 嶺南樓(영남루)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1 20
891 양란.24.봄 (3).JPG 矗石樓義娘岩(촉석루의낭암)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6-01 18
890 앵초 (1).JPG 시) 許眉叟(허미수)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8 25
889 앵두12024.5.23.JPG 金剛山詩(금강산시) 宋尤菴(송우암)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8 16
888 안개꽃4.JPG 申紫霞詩(신자하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4 38
887 안개꽃4 사본2.jpg 紅流洞詩(홍류동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4 29
886 아카시아2024.5.17 (64).JPG 朴生婢詩(박생비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0 39
885 아카시아2024.5.17 (63).JPG 登白雲臺(등백운대) 朴文秀(박문수)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20 26
884 아카시야3.JPG 竹西樓詩(죽서루시) 肅宗大王 御製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6 34
883 아카시아2024.5.17 (65).JPG 徐花潭詩(서화담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6 19
882 아카시아2024.5.17 (26).JPG 冠岳山詩(관악산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2 44
881 아카시아2024.5.17 (25).JPG 鏡浦坮詩(경포대시)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12 32
880 아카시아 (6).JPG 登岳陽樓嘆關山戎馬(등악양루탄관산융마)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08 39
879 아카시아 (5).JPG 陟州東海碑(척주동해비) 歷代名詩(역대명시) 청남 25-05-08 4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