效陶潛體詩(효도잠체시) 2. 白樂天(백락천)
翳翳踰月陰(예예유월음) 沈沈連日雨(침침련일우)
開簾望天色(개렴망천색) 黃雲暗如土(황운암여토)
行潦毁我墉(항료훼아용) 疾風壞我宇(질풍괴아우)
蓬莠生庭院(봉유생정원) 泥塗失場圃(니도실장포)
村深絶賓客(촌심절빈객) 窓晦無儔侶(창회무주려)
盡日不下牀(진일부하상) 跳蛙時入戶(도와시입호)
出門無所往(출문무소왕) 入室還獨處(입실환독처)
不以酒自娛(부이주자오) 塊然與誰語(괴연여수어)
|
한 달 이상 하늘은 구름 끼어 흐리고
매일 연달아 비가 오는데
주렴 발 열고 하늘 바라보니
누런 구름이 흙과 같이 어둡고
장맛비는 우리 담을 무너뜨리며
강한 바람 우리 집을 망가트리는데
잡초는 마당에 무성하고
진흙탕으로 밭도 잃어버렸네.
구석진 마을에는 찾는 사람도 없고
어두운 창에는 친구도 없어
종일토록 침상에 누어있으니
개구리가 문안으로 뛰어들기도
문밖에 나가도 갈 곳이 없고
방에 돌아와도 역시 나 홀로
술 마시며 스스로 즐기지 않는다면
더불어 이야기 할 사람도 없네.
【註】
效陶潛體詩(효도잠체시)... 도연명을 모방한 시. 모두 16수가 있는데 그 가운데 일곱 편을 여기 소개함.
翳翳(예예)..... 어두운 모양.
沈沈(침침)..... 깊은 모양. 비가 많이 오는 것을 말 함.
行潦(항료)..... 길 위를 흐르는 물.
墉(용).......... 높은 담.
蓬莠(봉유)..... 잡초.
庭院(정원)...... 마당.
泥塗(니도)...... 진흙탕.
場圃(장포)....... 전답.
儔侶(주려)....... 벗. 같은 또래.
塊然(괴연)....... 홀로 있는 모양.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