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민속


[일반 ] 五福(오복)의 解說(해설)

청남

 

 

五福(오복)解說(해설)

 

경전가운대 문장을 발췌하여 우리의 생활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말을 생각해 본다.

 

1. .세상사람들이 흔히들 五福(오복)에 대한 말을 많이 한다.

 

五福(오복)은 어떤 것이며 그 출처는 어느 經典(경전)인지 알아본다.

 

五福(오복) 書經(서경) 周書(주서) 洪範篇(홍범편)에 나오는 문장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九五福(구오복)一曰壽(일왈수)二曰富(이왈부)三曰康寧(삼왈강녕)이오 四曰攸好德(사왈유호덕)이오 五曰考終命(오왈고종명)이니라.이 다섯 가지를 말하는 것이다.

문장적인 설명을 한다면 다섯가지 복이 있으니 그

 

첫째는 장수하는 것

 

,둘째는 부유 한 것, 셋째는 신체가 건강한 것, 넷째는 좋은 을 가진것, 다섯째는 일생동안 평안하게 살다가 天命(천명)을 마치는 것, 이 다섯가지가 五福(오복)이다.

 

좀더 자세하게 비교설명하면, ()는 천수를 누리는 행복이다. 흔히들 이야기는 장수 는 120을 아무 병없이 살아가는 것으로 이 ()야말로 이 오복의 가장 근원적인 것이라 한다. 이 수가 있지 않고는 나머지 네 가지 () 을 누리거나 가질 수도 없다.

모든 것이 살아있어야만 되지 죽은 후에는 이룩될 수가 없기 때문이다.

고로 옛사람들 말에 말똥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는 말 결코 부유하지 못해도 생명력이 있는 삶이 좋다는 뜻이다.

 

()는 상당한 저축을 하며 안락한 생활을 하는 것으로 행복을 말한 것이다. 물론 큰부자는 하늘이 낳아야 한다는 말도 있으나 이 大富(대부)는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운명적으로 결정 되여 있다고 하지만 어디까지나 후천적인 사람의 인력에 의하여 이루워졌는것이지 결코 하늘이 내린 것이 아니다.

자급 자족으로 평안한 생활을 하며 남을 도울 수 있는 생활이면 이 복이 구비되었다고 하겠다.

 

康寧(강녕)은 평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신체가 건강하고 무병하여 언제나 깨끗하며 마음에 불안이 없이 즐겁게 살아가는 것을 말한다.

우리는 흔히 연세가 많아도 건강하며 무병으로 깨끗하게 살고 있는 노부부가 함께 해로하는 것을 볼 수가 있으니 이를 두고 한 것이다.

 

攸好德(유호덕)好德(호덕)을 가지는 것이다.

이 좋은 덕을 가지려면은 자기일생동안 앞일을 계획하여서 덕을 쌓아야한다. 곧 많은 공부를 해야한다. 고로 이 호덕은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평생을 두고 갈고 닦아야한다.

예를 들면 성인 또는 현인의 위에 있는 사람이 이 호덕을 가졌다고 하겠다. 물론 五福中 모두가 어렵고 貴重한 것이라고 하나 이 好德(호덕)이 가장 누리고 가지기 어려운 것이다.

우리는 이 好德(호덕)을 가지기에 힘써야 할 것이다.

 

考終命(고종명)은 일생의 계획을 세워서 제명 데로 살다가 마치는 것으로 우리는 흔히 자기가 받아온 천명을 살지 못하는 일이 많다. 불의의 사고나 자작지얼로 생명을 잃는 일이 많다. 이와 같은 일이 없이 자기가 설계한 일생의 계획그데로 살다가 최후를 마치는 것을 말한다.

 

2. 五福(오복)에 가장 基本이 되는 것

 

모두가 중하기는 하나 그 중에서 으뜸이라고 하면 첫번째인 () 라고 하겠다.

사람이 첫째 살고 난 연후에 돈도 있어야 하고 건강과 명예도 필요한 것이지 죽은 후에는 만사가 허사이다. 그런고로 생명이 고귀하고 또 존엄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살아서 숨쉬는 생명력이 있을 때 모든 것이 필요로 하고 멋진 인생을 사는 길이 부요, 강녕이요 호덕 고종명이 있다고 하겠다.

우리는 이 하나밖에 없는 인생을 하늘로부터 대자연으로부터 받아왔기에 잘 가꾸고 잘 길러서 살아있는 기쁨을 향유하여야 한다.

 

3. 五福(오복)에 상대되는 六極(육극)

 

洪範篇(홍범편)六極(육극)이라는 것이 있어 여섯가지 한 것이 있으니 이를 말하면一曰凶短折(일왈흉단절)이요 二曰疾(이왈질)이요 三曰憂(삼왈우)四曰貧(사왈빈)이요 五曰惡(오왈악)이오 六曰弱(육왈약)이니라.고하였다.

 

내용을 설명하면,

()이라고 하는 것은 화를 말하며 인생의 불행을 말하는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 불행을 알아서 백성들이 행복하도록 교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섯 가지의 화,불행 나쁜 것이 있으니

 

첫째는 흉하며 短折(단절)이다.

이는 곧 재난을 맞나 죽는 것을 말하는 것이고 자기 명데로 살지못하고 30살 전에 죽거나 60살 전에 죽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재난으로 죽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둘째는 병이 들어서 신음하는 일은 물론 불행한 일이다.

여기서 질병이란 보통 아픈 것이 아니고 아주 몹쓸 으로 고치지 못하는 천질 등을 말한다.

 

셋째는 근심하는 일이다.

집안 일이나 세상일에 항상 마음으로 근심하여 살아가는 사람은 이 또한 不幸한 사람이 아닐 수가 없다. 사람이란 천성적으로 태어날 때부터 근심과 걱정을 타고난 것인지몰라도 언제나 이것이 떠날 날이 없는 사람을 일컬어 하는 말이다.

 

넷째는 가나한것으로 생활이 빈곤한 것도 극히 불행한 일이다.

예로부터 가난한 것은 하늘도 나라 상감도 어찌 할 수가 없다고 한 말처럼 본래부터 가난을 타고난 사람은 불행하다는 것이다.

 

다섯째는 모질고 추악한 것으로 사람의 용모를 말한 것인데 추한 몸차림으로 생활하는 것도 틀림없이 불행한일이다.

 

여섯째는 心身이 허약한 것이다.

병은 없으나 몸이 허약하여 아무일 도 못하는 것으로 자기 임무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이니 이는 인생이 불행한 자이다.

 

이상과 같이 六極(육극)에 대하여 살펴보았지만 어느 것 하나도 나쁜 것이 있어서는 아니될 것이며 우리가 살아가는데 육극은 없도록 하고 오복은 가지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4., 五福(오복)六極(육극)古代君王(고대군왕)들이 부르짖던 이유.

 

우리의 개개인의 몸을 생각한 다면 일생동안 오복과 육극이 다 존재한다.

모든 사름은 오복만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희망하고 있지만은 조금만 마음이 소홀하거나 放心하게 되면 육극이 침범하여 일을 그릇 치게 되는지라 항상 우리의 마음속에는 오복을 갈구하면서 육극 을 경계하고 내 몸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人生勝利者.

이와 같이 고대 군왕들도 이 오복과 육극을 알아서 백성들을 다스릴 때 어떻게 하면 육극을 물리치고 오복이 백성들에게 향유할 수 있도록 선정을 베풀 것인지 항상 생각한다.

임금은 백성이 오복 을 갖추고 행복한 생활을 하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자기의 임무라고 여겼다.

반면에 불행한 사람이 많아지면 家庭이나 國家도 번영하지 못하므로 임금께서는 이러한 육극의 화를 백성들이 입지 않도록 노력하는 것이 성군이라고 생각하였다.

오늘날의 정치도 이것에 벗어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많은 국민을 위하는 정책이 모두가 오복 을 누리기 위한 일이며 또 육극을 극복하게 위한 소위 복지정책이라고 하겠다.

사천여년전 尙書(상서) 속에서 이와 같은 문헌이 있었으니 우리는 古典의 학문속에서 우리의 모든 것을 찾아 생활한다면 추호도 어긋남이 없는 삶을 살수 있을 것이며 후회 없는 인생을 살아갈 것이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475 경치 안동댐 안개 (6).jpg 안동의 줄당기기 청남 23-10-28 120
474 06.jpg 흘려 쓴 이름 석자 쇠지개[배삼익] 청남 23-10-27 103
473 006.jpg 효도 청남 23-10-27 81
472 경치 새벽 (2).jpg 효도 청남 23-10-26 96
471 00은행1.jpg 鶴峯(학봉)선생의 道學精神(도학정신) 청남 23-10-24 121
470 00올리브3.jpg 鶴峰(학봉) 金誠一 (김성일)선생 청남 23-10-24 92
469 00설경1.jpg 河回十六景(하회십육경) 청남 23-10-24 120
468 제사5.jpg 春分(춘분) 청남 23-10-16 83
467 제사 묘단1 (17).JPG 제사 祝文(축문) 청남 23-10-16 232
466 놀이12.jpg 차전놀이(동체싸움) 청남 23-10-12 113
465 제사 (4).jpg 紙榜(지방)에 대한 상식 청남 23-10-12 91
464 수자원48.JPG 貞夫人(정부인) 安東張氏(안동장씨) 청남 23-10-04 102
463 장승 (2).JPG 장승 청남 23-10-04 80
462 1음양.jpg 의례의 동서남북 청남 23-10-04 309
461 5일장.JPG 윷 노래 청남 23-10-04 93
고가유적5.jpg 五福(오복)의 解說(해설) 청남 23-09-30 109
459 고가40.jpg 영호루(映湖樓) 연혁 청남 23-09-30 84
458 선비촌12.jpg 열녀 이천 서씨 청남 23-09-30 81
457 선비촌19.jpg 연지곤지 청남 23-09-30 238
456 안동댐(23).jpg 易東 禹倬(역동 우역) 선생 청남 23-09-29 82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