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민속


[일반 ] 傷宅(상택) 白樂天(백락천)

청남

 

 

傷宅(상택) 白樂天(백락천)

 

誰家起甲第(수가기갑제朱門大道邊(주문대도변)

豐屋中櫛比(풍옥중즐비高牆外廻環(고장외회환)

累累六七堂(누루륙칠당棟宇相連延(동우상련연)

一堂費百萬(일당비백만鬱鬱起靑烟(울울기청연)

洞房溫且淸(동방온차청寒暑不能干(한서부능간)

高堂虛且逈(고당허차형坐臥見南山(좌와견남산)

繞廊紫藤架(요낭자등가夾砌紅藥欄(협체홍약난)

攀枝摘櫻桃(반지적앵도帶花移牡丹(대화이모단)

主人此中坐(주인차중좌十載爲大官(십재위대관)

廚有臭敗肉(주유취패육庫有貫朽錢(고유관후전)

誰能將我語(수능장아어問爾骨肉間(문이골육간)

豈無窮賤者(개무궁천자忍不救飢寒(인부구기한)

如何奉一身(여하봉일신直欲保千年(직욕보천년)

不見馬家宅(부견마가댁今作奉誠園(금작봉성원)

 

 

누구의 집인지 좋은 집을 짓는데

붉은 대문이 큰길가를 바라보고

아름다운 건물들이 빗살같이 늘어섰고

높은 담장은 밖을 두르고 있네.

겹겹이 쌓인 여섯 일곱 채의 전당

그 용마루가 길게 이어졌고

한 채에 백만금도 넘을 집들에는

지붕에 뭉게뭉게 푸른 연기 피어오르네.

방은 겨울엔 따시고 여름에는 시원해

추위도 더위도 침범하지 못하는데

높은 사랑방은 앞이 멀리 튀여

앉아서나 누워서나 남산을 볼 수 있고

회랑 둘레에는 보랏빛 등꽃의 시렁

섬돌 끼고 붉은 자약 핀 화단

가지 휘여 잡고 앵두를 딸 수 있고

꽃 핀 채로 목단을 이식

주인은 이 가운데 앉았는데

십년 동안 고관대작을 지냈던 사람

주방에는 고기 썩는 냄새가 나고

창공에는 돈을 뀐 끈이 썩네.

 

누가 내가 하는 말대로 물어보지 않으려나.

그대의 친척 가운데는

어찌 매우 가난한 사람 없겠는가?

모질게도 그들의 가난 구해주지 않고

어이하여 내 한 몸만을 위해

천년만년 길이 호강 누리자고 하는가.

그대 보지 못하는가! ()씨의 집

지금은 몰락하여 奉誠園(봉성원)이 되어 버린 것을.

傷宅(상택)...... 秦中吟(진중음) 가운데 있는 노래.

甲第(갑제)...... 큰 저택.

朱門(주문)...... 부호에 집에는 대문을 붉은 색으로 칠을 했다.

豐屋(풍옥)...... 큰 건물.

櫛比(즐비)....... 빗살과 같이 나란히 늘어서다.

廻環(회환)...... 두르다.

累累(누루)...... 겹치는 모양.

棟宇(동우)...... 건물. 주역 繫辭(계사)上陳下宇(상진하우)라는 말이 있다.

鬱鬱(울울)...... 성한 모양.

靑烟(청연)..... 푸른 안개.

洞房(동방)...... 그윽하고 깊은 방.

藤架(등가)...... 등나무를 올리는 시렁.

()........... 섬돌.

紅藥欄(홍약난)... 붉은 꽃이 피는 작약.

櫻桃(앵도)....... 앵두. 벚나무의 열매를 말할 때도 있다.

貫朽錢(관후전)... 엽전을 뀌는 끈이 썩는다.

骨肉(골육)...... 부모형제.

奉一身(봉일신)... 자기 자신만을 위하는 것.

馬家(마가)....... 馬燧(마수), 馬暢(마창) 부자의 저택.

奉誠園(봉성원)... 馬燧(마수)는 당 玄宗(현종) 때 무력이 있어 집이 부유했는데 그 아 馬暢(마창) 대에 더욱 번창했다. 그러나 貞元(정원) , 집이 쇠 퇴하자 전답과 재산을 천자에게 상납하였다. 그가 죽자 그의 자손들 은 봉성원이라는 이름으로 고친 舊宅(구택)안에 살게 되었다. 세상 사람들은 馬暢(마창)의 예를 들어 부자들을 경계하는 보기로 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964 양귀비 (2).jpg 歸燕(귀연) 杜牧(두목) 청남 25-05-29 80
963 앵도3.JPG 鵶(아) 杜牧(두목) 청남 25-05-25 108
962 앵도3 사본.jpg 鶴(학) 杜牧(두목) 청남 25-05-25 88
961 아카시아2024.5.17 (70).JPG 早鴈(조안) 杜牧(두목) 청남 25-05-21 111
960 아카시아2024.5.17 (69).JPG 梅(매) 杜牧(두목) 청남 25-05-21 87
959 아카시아2024.5.17 (47).JPG 初冬夜飮(초동야음) 杜牧(두목) 청남 25-05-17 94
958 아카시아2024.5.17 (46).JPG 新轉南曹未叙朝散初秋暑退出守吳興書此篇以自見志 ​(신전남조미서조산초추서퇴출수오흥서차편이자견지) 杜牧(두목) 청남 25-05-17 93
957 아카시아2024.5.17 (47).JPG 睦州四韻(목주사운) 杜牧(두목) 청남 25-05-13 133
956 아카시아2024.5.17 (46).JPG 贈李秀才是上公孫子(증이수재시상공손자) 杜牧(두목) 청남 25-05-13 95
955 아카시아 (12).JPG 卽事黃州作(즉사황주작) 杜牧(두목) 청남 25-05-09 119
954 아카시아 (11).JPG 池州李使君歿後十一日處州新命始到後見歸妓感而成詩 (지주이사군몰후십일일처주신명시도후견귀기감이성시) 杜牧(두목) 청남 25-05-09 98
953 아이리스1 (2).JPG 題齊安城樓(제제안성루) 杜牧(두목) 청남 25-05-05 120
952 아이리스1 (1).JPG 九日齊山登高(구일제산등고) 杜牧(두목) 청남 25-05-05 102
951 아기똥풍2024.4.19 (3).JPG 題春末池州弄水亭(제춘말지주롱수정) 杜牧(두목) 청남 25-05-01 104
950 아기똥풍2024.4.19 (2).JPG 題宣州開元寺水閣閣下宛溪夾故人(제선주개원사수각각하완계협고인) ​杜牧(두목) 청남 25-05-01 115
949 아구배 (19).JPG 將赴宣州留題揚州禪智寺(장부선주류제양주선지사) 杜牧(두목) 청남 25-04-27 116
948 아구배 (18).JPG 江南春絶句(강남춘절구) 杜牧(두목) 청남 25-04-27 101
947 씀바귀2024.4.29 (4).JPG 江南懷古(강남회고) 杜牧(두목) 청남 25-04-23 156
946 씀바귀2024.4.29 (3).JPG 揚州(양주) 杜牧(두목) 청남 25-04-23 111
945 쑥214 (4).JPG 洛陽長句二首(락양장구이수) 節一 杜牧(두목) 청남 25-04-19 11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