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민속


[일반 ] 不致仕(부치사) 白樂天(백락천)

청남

 

 

不致仕(부치사) 白樂天(백락천)

 

七十而致仕(칠십이치사禮法有明文(예법유명문)

何乃貪榮者(하내탐영자斯言如不聞(사언여부문)

可憐八九十(가련팔구십齒墮雙眸昏(치타쌍모혼)

朝露貪名利(조노탐명리夕陽憂子孫(석양우자손)

掛冠顧翠緌(괘관고취유懸車惜朱輪(현거석주륜)

金章腰不勝(금장요부승傴僂入君門(구루입군문)

誰不愛富貴(수부애부귀誰不戀君恩(수부련군은)

年高須請老(연고수청노名遂合退身(명수합퇴신)

少時共嗤誚(소시공치초晩歲多因循(만세다인순)

賢哉漢二疏(현재한이소彼獨是何人(피독시하인)

寂寞東門路(적막동문노無人繼去塵(무인계거진)

 

 

칠십에 관직을 사퇴하라고

禮記(예기)에 분명 적혀있거늘

어찌하여 영예를 탐하는 자는

이런 말 못 들은 척 하네.

가련하게도 팔구십이 되어

이는 빠지고 두 눈은 흐려

아침 이슬 같은 덧없는 인생이 명리를 탐하고

지는 해 같은 신세인데 자손을 근심하며

관모 끈에 미련 있어 퇴직을 못하고

차를 안타려하다가도 미련 버리지 못하네.

황금 도장 굽은 허리에 너무 무겁고

꼽추같이 궁전 문을 들어서는데

누가 부귀를 좋아하지 않으며

누가 임금의 은혜 그립지 않으리.

나이 많으면 모름지기 스스로 사퇴하고

명예가 이룩되면 물러나는 것이 옳은데

젊을 때는 늙은이 보고 함께 욕 해놓고도

늙어지면 대개 사퇴를 주저하네.

현명한 것은 한의 疏廣(소광)疏受(소수)

그 두 사람은 어떻게 했을까.

둘이 떠난 낙양의 동문로는 적막했는데

아무도 그 뒤를 사직하고 따르는 이 없었었으니.

致仕(치사)... 관직을 사퇴하다.

禮法有明文(예법유명문)... 禮記(예기) 曲禮(곡례)대부는 70致仕(치사)이라 있다.

朝露(조로)..... 아침이슬과 같이 덧없는 인생.

夕陽(석양)..... 저무는 해처럼 가버리는 허무한 인생.

掛冠(괘관)..... 관직을 사퇴한다는 뜻. 후한서 逢萌傳(봉맹전)王莽(왕망)이 그의 아들을 죽었을 때, ()三綱(삼강)이 무너졌다. 떠나지 않으면 그 화는 다른 사람에게도 미치리라.하면서 관을 동도 성문에 걸어 놓고 집으로 돌아가 遼東(요동)으로 갔다, 라는 고사에서 나온 말.

翠緌(취유)...... 갓끈. 관을 벗고 관직에서 물러나려 해도 미련이 남는다는 뜻.

懸車(현거)...... 관직을 사퇴하는 것.

朱輪(주륜)...... 대관이 타는 차. 漢代(한대)에는 朱輪(주륜)를 사용했다.

金章(금장)...... 고관이 사용하는 金印(금인).

傴僂(구루)...... 허리가 굽다.

請老(청노)....... 老年(노년)으로 관직을 사퇴함.

嗤誚(치초)...... 남을 욕하고 비방함.

因循(인순)...... 구습대로 따르면 고치지 아니함.

漢二疏(한이소)... 漢書(한서) 疏廣傳(소광전), 宣帝(선제) 때 소광과 그의 족하 (소수)는 태자를 가르쳐서 태자의 학문이 거의 이루어지자 공을 세우고 몸이 물러남은 天道(천도)이다.하면서 병을 빙자해서 사직 했다. 전송하는 사람들은 모두 진실로 현명한 두 大夫(대부)라고 했다.

東門(동문)..... 장안의 동문.

去塵(거진)..... 옛 사람이 일으킨 먼지.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961 아카시아2024.5.17 (70).JPG 早鴈(조안) 杜牧(두목) 청남 25-05-21 111
960 아카시아2024.5.17 (69).JPG 梅(매) 杜牧(두목) 청남 25-05-21 85
959 아카시아2024.5.17 (47).JPG 初冬夜飮(초동야음) 杜牧(두목) 청남 25-05-17 93
958 아카시아2024.5.17 (46).JPG 新轉南曹未叙朝散初秋暑退出守吳興書此篇以自見志 ​(신전남조미서조산초추서퇴출수오흥서차편이자견지) 杜牧(두목) 청남 25-05-17 93
957 아카시아2024.5.17 (47).JPG 睦州四韻(목주사운) 杜牧(두목) 청남 25-05-13 133
956 아카시아2024.5.17 (46).JPG 贈李秀才是上公孫子(증이수재시상공손자) 杜牧(두목) 청남 25-05-13 94
955 아카시아 (12).JPG 卽事黃州作(즉사황주작) 杜牧(두목) 청남 25-05-09 118
954 아카시아 (11).JPG 池州李使君歿後十一日處州新命始到後見歸妓感而成詩 (지주이사군몰후십일일처주신명시도후견귀기감이성시) 杜牧(두목) 청남 25-05-09 98
953 아이리스1 (2).JPG 題齊安城樓(제제안성루) 杜牧(두목) 청남 25-05-05 119
952 아이리스1 (1).JPG 九日齊山登高(구일제산등고) 杜牧(두목) 청남 25-05-05 102
951 아기똥풍2024.4.19 (3).JPG 題春末池州弄水亭(제춘말지주롱수정) 杜牧(두목) 청남 25-05-01 102
950 아기똥풍2024.4.19 (2).JPG 題宣州開元寺水閣閣下宛溪夾故人(제선주개원사수각각하완계협고인) ​杜牧(두목) 청남 25-05-01 115
949 아구배 (19).JPG 將赴宣州留題揚州禪智寺(장부선주류제양주선지사) 杜牧(두목) 청남 25-04-27 111
948 아구배 (18).JPG 江南春絶句(강남춘절구) 杜牧(두목) 청남 25-04-27 100
947 씀바귀2024.4.29 (4).JPG 江南懷古(강남회고) 杜牧(두목) 청남 25-04-23 150
946 씀바귀2024.4.29 (3).JPG 揚州(양주) 杜牧(두목) 청남 25-04-23 111
945 쑥214 (4).JPG 洛陽長句二首(락양장구이수) 節一 杜牧(두목) 청남 25-04-19 115
944 쑥214 (2).JPG 將赴吳興登樂游原一絶(장부오흥등락유원일절) 杜牧(두목) 청남 25-04-19 117
943 쑥214 (1).JPG 雪晴訪趙嘏街西所居三韻(설청방조하가서소거삼운) 杜牧(두목) 청남 25-04-19 96
942 시무24.3 (56).JPG 杏園(행원) 杜牧(두목) 청남 25-04-15 13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