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민속


[일반 ]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8소단 -2

청남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8소단 -2

 

重華(중화)靈前(영전)古今成敗(고금성패)의 행적을 말하고, 스스로의 決意(결의)를 말하며, 감개무 량하여 크게 움.

 

啓九辯與九歌兮(계구변여구가혜夏康娛以自縱(하강오이자종)

不顧難以圖後兮(부고난이도후혜五子用乎家衖(오자용호가항)

 

 

()九弁(구변)九歌(구가)의 음악을 天帝(천제)께 얻어서,

매우 안일에 빠져 오락을 즐기고, 멋대로 방일한 짓을 해서

뒤에 일어날 어려움을 살피지 않았기에,

자식 오 명은 그 때문에 집을 잃고 말았 도다.

 

()...... 夏禹王(하우왕)의 아들. ()는 천하를 ()에서 받았으나, () 이를 ()에게 移讓(이양)하니, 천하의 人望(인망)()로 돌아가 , 諸侯(제후)도 모두 ()을 떠나 ()에게 朝貢(조공) 하였으므로 결국 天子(천자)()에 올랐다. 이것은 書經(서경)史記(사기) 전하는 바이며, 王逸(왕일) 이하 많은 注釋家(주석가)()賢君 (현군)으로 하고 있으나, 楚辭(초사) 및 다른 고서를 보면, 暗君(암군) 였던 것 같다.

九辯與九歌(구변여구가)...... 九弁(구변)九歌(구가)()(). ()가 아버지의 뜻을 받 , ()을 이어받아 공적을 올렸으므로, 이러한 노래를 잘 부를 수 있었다(王注(왕주)). 이것도 天問(천문)山海經(산해경)에 의하면, ()天帝(천제)處所(처소)에 가서 얻은 ()이다. 또한 楚辭( )編名(편명)九弁(구변)九歌(구가)가 있다.

夏康娛(하강오)...... ()()와 통하며 크게 가르치다라는 뜻(校注(교주)). () 夏土(하토)로 보는 설도 있으나, ()重複(중복)된다. 康娛(강오) ()(), ()(), 걱정 없이 安居(안거)하여, 날로 淫樂(음락)에 빠지는 것. 五子(오자)()의 자식들이므로, () ()한 결과, 집을 잃었다고 해석된다. 王逸(왕일)夏康娛(하강오), 夏康(하강)()(), ()太康(태강)이며, () ()()에 따르지 않고, 나름대로의 淫聲(음성)을 일으켜 스스로 娛樂(오락)하였다고 해석 함. 이것이 통설로 되어 있으나, 下文(하문) 곳에 康娛(강오)와 비슷한 용어의 예가 있어, 여기만을 夏康(하강)과 연 결시키는 것은 좀 의심스럽다.

不顧難以圖後(부고난이도후)...... 이 구는 太康(태강)의 일이라고 하는 것이 通例(통례)이지만, 그렇게 해 석하면, 以下(통례) 두 구와 함께 세 구로 동일한 뜻을 말한 것으로 된다. 이 장은 41운의 형인데, 1구만 고립되고 뒤에 3구만 一義(일의) 나타낸다는 것은, 離騷(이소)는 물론이고 楚辭(초사)를 통해서 그런 예가 없다고 校注(교주)도 말하고 있다.

五子用乎家衖(오자용호가항)...... ()淫樂(음락)의 결과, 그의 다섯 자식들이 집을 잃었다. 家衖( )住居(주거)라는 정도의 말. 衖一本巷(항일본항)에 만들다. () 同義(동의)이며, 마을 안 길을 말함. 이것도 일반적으로 王注(왕주) (태강)이 나라를 잃었으므로, 형제 5명이 모두 閭巷(여항)에 있고, (존위)를 잃었다(家衖(가항)에 돌아가다라고 읽는다)라고 하는 것에 따 르고 있다.

 

이 설은 史記夏本記(사기하본기)太康(태강)天子(천자)가 되어, 逸遊(일유)를 즐겨 민심을 잃었으므로, 太康(태강)의 아우 5명이, 이것을 슬퍼해서 五子之歌(오자지가)를 지었다(書經(서경)僞古文五子之歌篇(위고문오자지가편)이 있다).고 하는데 기인한다. 그러나 이 구를 太康(태강)을 두고 해석하는 것은 前述(전술)과 같이 문장구성상 문제가 있다. 그리고 ()賢君 (현군)이 아니고, 逸樂放縱(일락방종)이었던 것은 墨子悲樂篇(묵자비락편), ()淫益康樂(음익강락)하여 야외에서 음식을 마련하고 크게 가무를 즐겼다 하고, 竹書紀年(죽서기년)에도, 大穆(대목)의 들판에서 九韶(구소)를 춤추었다 하고, 들판에서 喜樂(희락)을 연주하지 않는다는 古禮(고례)를 깨뜨렸다. 그래서 一章(일장)을 통해서 ()의 일을 아는 것이 좋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555 계수나무2.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10. 청남 24-02-15 34
554 계수나무1.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9. 청남 24-02-15 48
553 계발선인장 (5).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8. 청남 24-02-15 39
552 계발선인장 (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7. 청남 24-02-15 30
551 개나리18 (15).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6. 청남 24-02-13 42
550 개나리18 (1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5. 청남 24-02-13 33
549 개나리18 (10).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4. 청남 24-02-13 39
548 개나리18 (8).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3 청남 24-02-13 46
547 개나리18 (7).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2 청남 24-02-13 44
546 경치 안동댐 안개 (2).jpg 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10소단 - 1. 청남 24-02-09 46
545 경주김씨.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8. 청남 24-02-09 66
544 경치 마애동 (5).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 7. 청남 24-02-09 43
543 경치 안동댐 안개 (14).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 6. 청남 24-02-06 55
542 경치 안동댐 안개 (1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5. 청남 24-02-06 53
541 경치 안동댐 안개 (12).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 4. 청남 24-02-06 52
540 경치 안동댐 안개 (11).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3. 청남 24-02-06 47
539 경치 안동댐 안개 (10).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2. 청남 24-02-06 58
538 경치 안동댐 안개 (9).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제9소단 - 1. 청남 24-02-06 71
537 현우경치 (37).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8소단 - 6. 청남 24-02-03 65
536 현우경치 (36).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8소단 - 5. 청남 24-02-03 5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