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민속


[일반 ]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春暮過一秀才口呼(춘모과일수재구호) 1.

청남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春暮過一秀才口呼(춘모과일수재구호) 1.

 

幸接高朋坐此臺(행접고붕좌차대)

相思他夜夢香梅(상사타야몽향매)

縱乏花林紅樹接(종핍화임홍수접)

無妨草野翠茵開(무방초야취인개)

詩欲呼樽消客恨(시욕호준소객한)

溪能磨石洗塵埃(계능마석세진애)

此地莫辭留信宿(차지막사류신숙)

君應一肱不重來(군응일굉불중래)

 

봄 저물어 갈 때 한 수재를 불러서

다행히도 높은 벗과 사귀어 이 대에 앉으니

서로 그리워함은 꿈속에서 매화 향 그리듯

늘어진 꽃 숲에서 붉은 나무와 접하니

꺼림칙한 들풀은 없고 비취색 자리 펼쳐져 있네

시를 짓고 술잔 들어 나그네 시름 지우려하는데

계율도 능히 돌을 갈아 티끌 먼지 씻어내니

이 곳 마다 않고 머물고 가주리라 믿지만

그대 응당 가버리면 다시 오지 않으려나

 

<>

이 시는 자연의 아름다움, 우정, 그리고 인생의 순간적인 만남과 이별의 감정을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남은공유고(南隱公遺稿)"의 일부인 이 작품은, 한 수재(秀才, 학식이 뛰어난 사람)와의 만남과 그와의 교류를 통해 느끼는 감정들을 섬세하게 묘사합니다.

 

첫 두 줄에서는 봄날 저녁, 수재를 만나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 모습을 그립니다. "고붕(高朋)"은 높은 벗을 의미하며, 이는 함께 시간을 보내며 깊은 대화를 나누는 친구를 상징합니다. 이 대목은 자연 속에서의 인간 관계의 소중함과 그 순간의 아름다움을 나타냅니다.

 

세 번째 줄에서는 상사병(相思病, 서로 그리워하는 마음)을 매화 꿈에 비유하여 표현하며, 서로에 대한 그리움의 감정을 묘사합니다. 이는 동양 문학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자연 요소를 이용한 감정 표현 방식입니다.

 

다음 두 줄에서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묘사합니다. 화려한 꽃과 붉은 나무, 그리고 취인(翠茵, 푸른 잔디)이 자연의 평화로움과 아름다움을 나타냅니다.

 

"시욕호준소객한(詩欲呼樽消客恨)"에서 시인은 시와 술잔을 통해 나그네의 슬픔을 달래려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는 문학과 예술이 인간의 감정을 치유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마지막 두 줄에서 시인은 이 장소를 떠나지 않겠다는 약속과 함께, 이별의 아쉬움을 표현합니다. 이는 인생에서의 일시적인 만남과 이별의 순환을 반영하며, 그 안에서 느껴지는 쓰라림과 아름다

 

움을 동시에 강조합니다.

 

전반적으로 이 시는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인간 관계의 깊이를 탐구하며, 그 속에서 느껴지는 일시적 만남과 이별의 감정을 아름답게 그려냅니다. 시인은 자연의 이미지를 통해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데 능숙하며, 동시에 인생의 무상함과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포착합니다. 이러한 작품은 동양 문학의 전통적인 주제와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동시에, 인간 정서의 깊이를 탐구하는 데 있어서 그 가치가 큽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515 설경무술통 (4).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5소단 4. 청남 24-01-28 49
514 설경무술통 (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5소단 -3. 청남 24-01-28 52
513 설경무술통 (2).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5소단 - 2. 청남 24-01-28 37
512 설경무술통 (1).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5소단 - 1. 청남 24-01-28 45
511 산수7.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4소단 - 5. 청남 24-01-26 64
510 산수6.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4소단 - 4. 청남 24-01-26 56
509 산수 (5).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4소단 - 3. 청남 24-01-26 54
508 산수 (4).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4소단 - 2. 청남 24-01-26 57
507 산수 (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4소단 - 1. 청남 24-01-26 52
506 바다9.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 9. 청남 24-01-23 45
505 바다7.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 8. 청남 24-01-23 67
504 바다5.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7. 청남 24-01-23 48
503 바다4 (2).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6. 청남 24-01-23 45
502 바다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5. 청남 24-01-23 45
501 루로은풍경 (81) 사본.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4. 청남 24-01-21 46
500 루로은풍경 (80).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3. 청남 24-01-21 58
499 루로은풍경 (79).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2 . 청남 24-01-21 63
498 루로은풍경 (78).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1 . 청남 24-01-21 51
497 루로은풍경 (77).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2소단 . 청남 24-01-21 47
496 루로은풍경 (77) 사본.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1소단 . 청남 24-01-21 49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