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의 민속


[일반 ] 鶴峰(학봉) 金誠一 (김성일)선생

청남

 

 

鶴峰(학봉金誠一 (김성일)선생

 

안동이 배출한 名賢(명현) 鶴峯(학봉)선생에 대하여 선생의 문집이나 鶴峯선생 연구에 관한 문헌을 통하여서 알아본다.

 

선생의 ()誠一(성일), ()士純(사순) ()鶴峯(학봉)이며 諡號(시호)文忠公(문충공)이고, 本貫(본관)義城(의성)이시다.

中宗(중종)33연 서기1538126亥時(해시)安東郡(안동군) 臨河面(임하면) 川前(내앞)에서 출생하셨다.

 

선생의 칠대조는 工曹典書(공조전서)를 지냈으며 고조부 休溪公(휴계공)께서는 成三問( 성삼문) 河緯地(하위지)등과 同榜(동방)으로 大小科(대소과)에 올라 集賢殿(집현전)에서 문명이 높았다.

증조부 님께서는 成均進士(성균진사)臨河縣(임하현)에 살던 吳氏(오씨)에 장가들어 비로소 이 내앞(川前)에 살게 되었다고 한다.

선생의 윗대는 靑溪公(청계공)으로, 中宗(중종) 20生員試(생원시)에 올라 太學(태학)에 들어가서 河西(하서) 金麟厚(김인후)선생과 같은 방에서 깊이 親交(친교)하였으니 당대의 두 名士(명사)文名(문명)으로 稱道(칭도)하였다.

 

靑溪公(청계공)은 다섯 아들을 낳았고, 모두가 大小科(대소과)에 올랐는데 선생은 넷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驪興閔氏(여흥민씨)左議政(좌의정)을 지낸 閔漁隱(민어은)五世孫女(오세손녀)이시다.

 

선생께서는 그 시기의 탁월한 학자이시며, 지극한 愛民(애민) 愛國者(애국자)이 셨고 임진왜란 당시 국토의 대부분이 왜적의 말발굽에 짓밟힐 때 御馬(어마)가 북방 변경으로 피난해 國命(국명)조차 받을 수 없는 상태에서도 嶺南右道(영남우도)의 백성을 격려하시어 동란초기의 빛나는 전승을 가져오게 하신 분이다.

 

선생님께서는 6세 때 孝經(효경)을 배웠다고 하며 9세 때 어머님을 여의고 10세 때에 아버지 靑溪公(청계공)께서 學堂(학당)에 보냈다.

선생은 유년시절에 지혜가 출중하고 뛰어난 두뇌는 많은 일화를 남겼는데. 지금도 안동지방에 널리 알려져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16세 때 文科(문과)에 올라 洪原縣監(홍원현감)이 되었고 18세에 安東權氏(안동권씨) 部將(부장) 德鳳公(덕봉공)의 외동딸에게 장가드신 뒤 順興(순흥) 紹修書院(소수서원)에 유학하여 글을 읽었으며, 그 후 더욱 학문에 뜻을 두고 陶山(도산)으로가 退溪(퇴계)선생문하에서 글을 배우니, 함께 배우는 선비가운데 鶴峯(학봉)을 앞서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

退溪(퇴계)先生께서는 鶴峯(학봉)을 칭찬하여 말씀하시기를 金士純(김사순)은 행실이 높고 학문이 정밀하니 나는 아직 그에 비길만한 사람을 보지 못했다.라고 극찬을 하였다 한다.

 

27세에 仲兄(중형) 雲巖公(운암공)과 아우 南嶽公(남악공)과 함께 同榜(동방)으로 司馬試(사마시)에 합격하는 영광을 갖으셨다.

이어서 30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史局(사국)에서 退溪先生史傳(퇴계선생사전)退溪先生言行錄(퇴계선생언행록)을 저술하고 최초로 端宗複位(단종복위)死六臣複爵(사육신복작)을 청하는 ()을 올렸다.

魯陵復位(노능복위)()하기가 선생께서 처음이셨고 뒤에도 이것이 의논의 기초가 되어 端宗(단종)이 복위되고 사육신이 複爵(복작)된 것이다.

正言(정언), 修選(수찬), 刑兵吏曹(형병이조)佐郞(좌랑)을 역임하면서 直斥(직척)諫言(간언)을 주저하지 않으셨다.

 

40세에 중국의 大明會典(대명회전)朝鮮朝(조선조)宗系(종계)가 잘못 기록된 것을 고치기 위하여 書將官(서장관)으로 ()나라에 파견 국가와 왕실의 체통을 바로잡았다.

 

42세에 함경도 巡撫御使(순무어사), 46세에 黃海道(황해도) 巡撫御使(순무어사) 그해에 羅州牧使(나주목사)에 제수 되셨다.

大谷書院(대곡서원)을 창립하여 東邦五賢(동방오현)享祀(향사)하고 학풍을 진작시켰다.

 

53세때 선생은 일본 通信士(통신사)로 가셨다가 이듬해 2월에 귀국하였다. 그 헤 3월에 成均館(성균관) 大司成(대사성)에 이어 弘文館(홍문관) 副提學(부제학)이 되었다.

 

55세에 慶尙右兵使(경상우병사)가 되어 임지로 가던 중 倭敵(왜적)의 전초와 마주쳐서 이를 섬멸 적의 銳鋒(예봉)을 꺾고 왜군의 머리를 베어 장계와 함께 올렸다.

곧 이어 拿令(장령)이 내렸다는 전갈을 받자 선생은 왕명을 앉아 기다릴 수가 없다고 하며 급히 상경하셨다. 槐山(괴산)에서 宣傳官(선전관)라 마주치니 다시 招諭使(초유사)에 명하는 교지가 내려져 있었다.

이로부터 선생의 거룩한 구국항전이 시작되었다.

특히 7에 제1차 진주성의 勝捷(승첩), 10월의 진주성의 大捷(대첩)등의 혁혁한 勝利(승리)속에 불행히도 병을 얻어 선조26(1593) 429, 의병과 관군을 지휘하던 진주공관에서 殉國(순국)하시니 향년 56세로 숭고한 최후를 마치셨다.

 

선생은 대쪽같은 성품을 가지신 분이기도 하지만 백성을 내 자식과 같이 사랑하는 마음이 무척 강하셨던 분이셨다.

이는 鶴峯集(학봉집)에 있는 北征日記(북정일기)에 잘 나타나고 있으며 退溪先生門下(퇴계선생문하)에서 性理學的修養(성리학적수양)을 쌓아서 이를 人格化(인격화) 하시고 그 논리와 가치를 실현하는데 온힘을 기울였으므로 자연히 愛民(애민) 愛國的思想(애국적사상)과 특히 민주주의적 의식으로 승화되었던 것이다.

 

이러하셨기에 倭敵(왜적)과 싸움에서도 義兵抗爭(의병항쟁)을 기반으로 하는 民族的統一抗爭體制(민족적통일항쟁체제)를 구축하고 진전시켜 나아가기에 온힘을 바쳤던 것이다.

선생이 떠나 신지 450여 년이 지난 지금, 선생을 추모하니 선생의 숭고한 애국 정신과 나라를 사수하다가 순국하신 문무 겸전의 鶴峯(학봉)선생에 정신이야말로 고장의 자랑이요 민족의 자긍심이며, 길이 繼承해 나아가야 할 우리들의 영원한 귀감이라고 생각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500 루로은풍경 (80).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3. 청남 24-01-21 63
499 루로은풍경 (79).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2 . 청남 24-01-21 67
498 루로은풍경 (78).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3소단 -1 . 청남 24-01-21 57
497 루로은풍경 (77).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2소단 . 청남 24-01-21 51
496 루로은풍경 (77) 사본.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1소단 . 청남 24-01-21 55
495 루로은풍경 (34).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1소단 4. 청남 24-01-17 84
494 루로은풍경 (33).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1소단 3. 청남 24-01-17 72
493 기훈9.jpg 楚辭(초사)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1소단 2. 청남 24-01-17 73
492 기훈댐7.jpg 離騷(이소) 前段(전단) 제1소단 1. 청남 24-01-17 91
491 루로은풍경 (10) 사본2.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秋間聞湖南時訴作(추간문호남시소작) 청남 24-01-15 108
490 루로은풍경 (10) 사본2.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偶宿靈東崔友鶴東家(우숙영동최우학동가) 2. 청남 24-01-15 78
489 루로은풍경 (10) 사본.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偶宿靈東崔友鶴東家(우숙영동최우학동가) 1. 청남 24-01-15 76
488 루로은풍경 (7).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春暮過一秀才口呼(춘모과일수재구호) 1. 청남 24-01-15 81
487 루로은풍경 (6).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登四仙臺有感(등사선대유감) 청남 24-01-15 74
486 길10 (2).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贈別金雅士(증별김아사) 청남 24-01-13 175
485 길9.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龍潭赴人新婚時夜話(용담부인신혼시야화) 청남 24-01-13 132
484 길8.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三月初旬客中吟(삼월초순객중음) 청남 24-01-13 60
483 길7.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律詩(율시) 청남 24-01-13 56
482 길6.JPG 南隱公遺稿(남은공유고) 律詩(율시) 春夜吟(춘야음) 청남 24-01-13 79
481 비석 (3).JPG 敬齋箴(경재잠) 청남 23-11-10 135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