楚辭(초사) 離騷(이소) 後段(후단) 天文(천문) 제9단 -6.
師望在肆(사망재사) 昌何識(창하식)
鼓刀揚聲(고도양성) 后何喜(후하희)
|
【解】
師(사) 呂望(여망)이 푸주간에 있었는 것을
昌(창)<문왕>은 어찌 그 인물됨을 꿰뚫어 봤던가.
식칼을 휘두르면 소리를 지르는 것을
君主(군주)<문왕>는 왜 좋아했던가.
【注】
師望在肆(사망재사)...... 師望(사망)은 太師望呂尙(태사망여상). 師(사)는 太師(태사) 의 官(관). 在肆(재사)는 殷(은)의 서울에서 가게를 열고 도 살한 고기를 팔고 있었다고 전해짐.
昌何識(창하식)...... 昌(창)은 周(주)의 文王(문왕) 이름. 文王(문왕)은 市肆(시 사)에 있었던 그 인물을 식별하고 기용했다함.
鼓刀揚聲(고도양성), 后何喜(후하희)...... 鼓刀(고도)는 고기를 자르는 칼을 휘두름. 힘차게 휘두르면 소리를 냄. 揚聲(양성)은 그 소리를 말함. 일설에 고대 도살 용 칼은 자루 끝에 방울이 있어 그 소리를 말함(通譯(통역)). 또 일설에는 揚聲(양성)은 큰 소리로 말함. 補注(보주)에 呂 望(여망)이 文王(문왕)의 물음에 대해, 크게 그 포부를 말한 것이라 하고 있다. 后(후)는 君(군). 文王(문왕)을 이름. 何喜 (하희)는 異材(이재)를 발견했으므로 좋아했다는 것임.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