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안동인의 논단


[일반 ] 祭文(제문)이란

청남

 

 

祭文(제문)이란

 

 

천지신명(天地神明)이나 죽은 사람을 제사지낼 때 쓰는 글.

 

祭文(제문)과 축문(祝文)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제문과 축문은 그 내용에 차이가 있고, 글의 길이에도 차이가 있다. 축문은 일반적으로 짧은 형식에 박힌 짧은 글이지만, 제문은 글을 쓰는 사람의 감정이 담긴 긴 글이기 때문에 자연히 긴 글이 된다. 그래서 제문은 축문보다 긴 것이 일반적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의 종류가 많았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종묘(宗廟)社稷(사직)에 올리는 제사였고, 그 밖에 ()()()()()()()先農(선농)先蠶(선잠)우사

文宣王(문선왕)역대시조馬祖(마조)先牧(선목)영성(靈星) 명산대천 등 제사의 대상이 많았으며. 그에 따라 제문 또는 축문이 있었다.

 

사서(士庶)의 사례(四禮)를 정리한 이재(李縡)의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상례(喪禮)의 조()천구(遷柩)발인(發引)에는 제문이 있고, 치장(治葬)급묘(及墓)우제(虞祭)졸곡(卒哭)부제(祔祭)소상(小祥)대상(大祥)담제(禫祭)길제(吉祭)에는 축문이 있으며, 제례(祭禮)의 시제(時祭)이제기제(忌祭)묘제(墓祭)에는 축문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소상(小祥)과 대상(大祥)에는 축문뿐만 아니라 제문(祭文)도 쓰는 경우가 많다.

 

대개 축문은 죽은 사람이나 조상 또는 토지신(土地神)에게 제수(祭需)를 드리니 받으라는 내용의 간단한 글이지만, 제문은 죽은 사람을 추도, 추모하는 내용을 담은 글이기 때문에 자연히 길어지게 마련이다.

 

제문은 한문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나, 부녀자가 지은 것은 한글로 되어있다.

 

이재의 사례편람 상례 조()의 제문서식은 다음과 같다.

 

年號幾年歲次某年某月干支朔某日干支忝親(備要隨所稱)

某官姓某謹以淸酌庶羞之尊致祭于

某親某官某公之柩云云 (別爲文字以敍情意)

 

고위관원이 죽으면 왕이 신하를 보내 제사를 지내게 하였는데, 이때에 쓰는 제문을 치제문(致祭文)이라고 한다. 현재 전하는 고문서에도 제문치제문축문 등이 많이 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 출신의 문인들의 논단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관리자 05-01-03 24746
797 관음전3.jpg 因果理法論(인과이법론) 4 청남 23-11-06 92
796 관음전2.jpg 因果理法論(인과이법론) 3 청남 23-11-06 110
795 고방사 (18).JPG 因果理法論(인과이법론) 2 청남 23-11-06 94
794 고방사 (17).JPG 因果理法論(인과이법론) 1 청남 23-11-06 103
793 고방사 (16).JPG 因果理法論(인과이법론) 청남 23-11-06 100
792 물안개 (2).jpg 불교와 서구 학문과의 비교대조.5 청남 23-11-05 116
791 물안개 (1).jpg 불교와 서구 학문과의 비교대조.4 청남 23-11-05 109
790 물방울.jpg 불교와 서구 학문과의 비교대조. 3 청남 23-11-05 109
789 무제-3.jpg 불교와 서구 학문과의 비교대조. 2 청남 23-11-05 105
788 무제-2.jpg 불교와 서구 학문과의 비교대조. 1 청남 23-11-05 110
787 무제-2 (2).jpg 불교와 서구 학문과의 비교대조. 청남 23-11-05 99
786 노리15.jpg 불교와 기독교와의 對照論(대조론) 5. 청남 23-11-04 110
785 노리14.jpg 불교와 기독교와의 對照論(대조론) 4. 청남 23-11-04 100
784 노리13.jpg 불교와 기독교와의 對照論(대조론) 3 청남 23-11-04 87
783 노리12.jpg 불교와 기독교와의 對照論(대조론) 2 청남 23-11-04 105
782 김삿갓바 (12).jpg 불교와 기독교와의 對照論(대조론) 청남 23-11-04 102
781 김삿갓215 (23).jpg 내면과 외면의 세계 청남 23-11-04 132
780 고가유적8.jpg 古韓(고한)의 복지제도 청남 23-11-01 119
779 가을 무술년 (10).jpg 현실에 뒤지지 않는 노인이 되려면 청남 23-10-26 131
778 새벽하늘21 (36).jpg 새벽에 상념. 청남 23-10-21 127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