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우리의 설화


[일반 ] 示從孫濟(시종손제) 杜甫(두보)

청남

 

 

示從孫濟(시종손제) 杜甫(두보)

 

平明跨驢出(평명과려출未知適誰門(미지적수문權門多噂沓(권문다준답)

且復尋諸孫(차복심제손諸孫貧無事(제손빈무사宅舍如荒村(댁사여황촌)

堂前自生竹(당전자생죽堂後自生萱(당후자생훤萱草秋已死(훤초추이사)

竹枝霜不蕃(죽지상부번淘米少汲水(도미소급수汲多井水渾(급다정수혼)

刈葵莫放手(예규막방수放手傷葵根(방수상규근阿翁懶惰久(아옹나타구)

覺兒行步奔(각아항보분所來爲宗族(소내위종족亦不爲盤餐(역부위반찬)

小人利口實(소인리구실薄俗難具論(박속난구논勿受外嫌猜(물수외혐시)

同姓古所敦(동성고소돈)

 

날이 밝자 나귀를 타고 나가 보았지만

누구 집에 가야한다는 지목도 없네

세도 權門(권문)에는 수군거리는 말도 많으니

내친김에 손자들이나 다시 찾아볼까

손자들은 가난하고 일도 없는지

집 부근은 마치 황폐한 마을 같네.

방 앞에는 대나무가 자라나고

방 뒤에는 萱草(훤초)가 나 있는데

훤초(모친)는 가을에 이미 죽어버렸고

대나무 가지(형제들)는 서리맞아 무성하지 않네

쌀을 일이려면 물을 조금만 쓰게

우물 물 많이 푸면 물 흐려지니까

해바라기 빌 때는 손을 조심하게

잘못하면 해바라기 뿌리를 다칠지도 모르니까

이 늙은 할아버지는 짜증을 잘 내므로

날 대접하려 바삐 움직이는 너이들이 마음에 걸리네

내가 온 것은 종친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이지

좋은 음식 대접받으려 온 것이 아니라네

소인배들은 쓸 때없이 헐뜯을지도 모르지만

경박한 자들의 말 따위 문제시하지 않네

외부의 의심이나 시기를 받아서는 안되니

동족은 예로부터 사이좋게 지내야 한다네,.

 

平明(평명)....... 동이 틀 무렵. 날이 밝다.

權門(권문)...... 權勢(권세) 있는 사람의 집안.

噂沓(준답).......... 여럿이 모여 다함께 욕설을 함

()......... 형제들에게 비유.

()......... 죽은 어미를 비유.

()......... 이려서 씻음.

井水渾(정수혼)... 우물물이 두레박질로 흐려진다.

放手(방수)....... 함부로 손을 놀림.

傷葵根(상규근)... 古詩(고시)()를 벨 때 뿌리를 상하게 하지 말라. 뿌리를 상 하게 하면 다시 싹이 나지 않는다. 교재를 하는데는 가난을 부끄러 워하지 마라. 가난을 부끄러워하면 교재 이루어지지 않는다.라고 있다. 이 구절에는 물은 한 근원에서 나오는 것과 같이, 또한 () 가 한 뿌리에서 자라는 것과 같이, 일족도 한 근원에서 나온 것이다. 그 종족을 소중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여러 손자들에게 암 시하는 것임.

阿翁(아옹)...... 아는 친애하는 마음을 뜻하는 말.

盤餐(반찬)...... 접시에 담긴 음식

利口實(이구실)... 작가의 요을 하는 구실.

薄俗(박속)........ 경박한 풍속

嫌猜(혐시)........ 嫌惡(혐오). 猜忌(시기).

古所敦(고소돈)... 예로부터 친하게 지내는 것.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355 박태기17 (8).JPG 羌村(강촌) 三首(삼수) 三(삼) 杜甫(두보) 청남 24-04-16 20
354 박태기17 (6).JPG 羌村(강촌) 三首(삼수) 二(이) 杜甫(두보) 청남 24-04-16 19
353 벗꽃.24.4.7 (12).JPG 羌村(강촌) 三首(삼수) 一(일) 杜甫(두보) 청남 24-04-14 20
352 버들강아지24.3.30 (7).JPG 玉華宮(옥화궁) 杜甫(두보) 청남 24-04-14 18
351 버들강아지24.3.30 (5).JPG 行次昭陵(항차소능) 杜甫(두보) 청남 24-04-14 11
350 버들강아지24.3.30 (7).JPG 留別賈嚴二閣老兩院補闕(유별가엄이각노량원보궐) 杜甫(두보) 청남 24-04-12 17
349 버들강아지24.3.30 (5).JPG 述懷(술회) 杜甫(두보) 청남 24-04-12 21
348 백매화.24 (29).JPG 自京竄至鳳翔喜達行在所(자경찬지봉상희달항재소) 三首(삼수) -3 杜甫(두보) 청남 24-04-12 26
347 백매화.24 (19).JPG 自京竄至鳳翔喜達行在所(자경찬지봉상희달항재소) ​三首(삼수) -2 杜甫(두보) 청남 24-04-10 22
346 백매화.24 (17).JPG 自京竄至鳳翔喜達行在所(자경찬지봉상희달항재소) ​三首(삼수) -1 杜甫(두보) 청남 24-04-10 28
345 백매화.24 (14).JPG 左拾遺(좌습유)을 지내면서 杜甫(두보) 청남 24-04-10 26
344 개나리24.3.30 (2).JPG 哀江頭(애강두) 杜甫(두보) 청남 24-04-07 29
343 개나리3.3.29 (16).JPG 遣興(견흥) 杜甫(두보) 청남 24-04-07 23
342 개나리3.3.29 (14).JPG 春望(춘망) 杜甫( 청남 24-04-07 32
341 매화.24.3.31 (4).JPG 對雪(대설) 杜甫(두보) 청남 24-04-05 30
340 매화.24.3.31 (1).JPG 悲靑坂(비청판) 杜甫(두보) 청남 24-04-05 20
339 매화.3.3.27 (1).JPG 悲陳陶(비진도) 杜甫(두보) 청남 24-04-05 29
338 개나리3.3.29 (11).JPG 哀王孫(애왕손) 杜甫(두보) 청남 24-04-01 21
337 개나리3.3.29 (10).JPG 月夜(월야) 杜甫(두보) 청남 24-04-01 21
336 개나리3.3.29 (9).JPG 安祿山(안록산)의 反亂(반란)과 杜甫(두보) 청남 24-04-01 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