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우리의 설화


[일반 ]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五倫(오륜)중의 長幼有序(장유유서)

청남

 

 

古典(고전)吟味(음미)

 

五倫(오륜)중의 長幼有序(장유유서)

 

 

 

1. 長幼有序에 대하여 - 童蒙先習(동몽선습)文章

 

長幼(장유)天倫之序(천륜지서)兄之所以爲兄(형지소이위형)弟之所以爲弟(제지소이위제)長幼之道(장유지도)所自出也(소자출야). 宗族鄕黨(종족향당)皆有長幼(개유장유)하니 不可紊也(불가문야)徐行後長者(서행후장자)謂之弟(위지제)疾行先長者(질행선장자)謂之不弟(위지불제)是故(시고)年長以倍(연장이배)則父事之(즉부사지)하고 十年以長(십년이장)이면 則兄事之(즉형사지)하며 五年以長(오년이장)이면 則肩隨之(즉견수지)니라. 長慈幼(장자유)하며 幼敬長然後(유경장연후)에야 無侮少陵長之弊(무모소능장지폐)하여 而人道正矣(이인도정의)리라.

 

어른과 어린이는 天倫(천륜)의 차례다. 형이 형되는 까닭과 아우가 아우되는 까닭에서 어른과 어린이의 道理가 비롯된다. 대개 宗族鄕黨에 모두 어른과 어린이가 있으니 宗族(종족)鄕黨(향당)이라고 하면은 累代(누대)로 살아오는 한 氏族(씨족)一門中을 말하고 작게는 한 家庭을 말하며 鄕黨이란 自己가 태어나서 살고 있는 마을을 뜻하며 지금으로 말하면은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뜻한다.

이를 문란케 해서는 안된다. 천천히 걸어서 어른의 뒤를 따라 가는 것을 恭遜하다고 이르고 빨리 걸어서 어른을 앞질러 가는 것을 恭遜하지 않다고 이른다. 이런 까닭에 나이가 나보다 갑절이나 많으면 父母로 섬기고 나이가 10이 많으면 형의 로써 섬겨야하고 五年이내이면 어깨를 나란히 하여 따라간다. 곧 이 말은 親舊로 사귀어도 된다는 뜻이다. 어른은 어린이를 사랑하고 어린이는 어른을 恭敬한 연후에야,어른이 어린이를 업신여기고 젊은이가 나이 많은 어른을 능멸하게 생각하는 폐단이 없어져서 비로소 사람의 도리가 바르게 설 수가 있다.

다시 말하여 어른과 어린이가 차례가 있음은 人間生活秩序인데 이 秩序를 우리는 쉽게 家庭에서 겪고 있는 과 아우의 關係에서 그 근원을 둔다. 이 먼저 나고 아우가 뒤에 나서 아우는 恭敬하고 은 아우를 사랑함은 東西古今을 막론하고 人間情理自然的인 발로요 本性인 것이다.

고로 長幼有序의 가장 實踐的德目으로 말하면 兄友弟恭(형우제공)”精神이다. 兄友弟恭精神이 이행된다면 사회질서는 잡힐 것이고 서로 믿고 아껴주는 화목한 世態가 될 것이다.

 

2. 兄友弟恭(형우제공)兄弟間(형제간)友愛(우애)標本

 

司馬溫公(사마온공)與其兄伯康(여기형백강)으로 友愛尤篤(우애우독)하더니 伯康(백강)年將八十(연장팔십)()奉之如嚴父(봉지여엄부)하고 保之如瓔兒(보지여영아)하니 每食少頃則問曰(매식소경즉문왈) 得無饑乎(득무기호)아하고 天少冷則付其背(천소냉즉부기배) 曰衣得無薄乎(왈의득무박호)아하니라.

 

이 글은 小學에 나오는 文章이지만 이 글을 說明하기 전에 司馬光에 대해서 살펴보면, 古代중국의 ()나라 학자, 政治家君實(군실), 迂夫(우부) 諡號(시호)文正公(문정공), 임금이 太師溫國公(태사온국공)을 추증했기 때문에 司馬溫公(사마온공)이라 하고 벼슬이 재상에 올랐다.

 

일곱살때 春秋左傳(춘추좌전)의 강의를 듣고 그 大意를 알았다고 하며 王安石(왕안석)新法(신법)反對하여 벼슬을 버리고 資治通鑑(자치통감) 편찬에 전념하였다.

이 어렸을 때 여러 아이들과 함께 놀다가 한 아이가 물독에 빠지자 딴 아이들은 그냥 보고만 있는데 께서는 돌을 가져다 독을 깨어서 아이를 救出한 일은 有名한 일화로 전해지고 있다.

 

司馬溫公(사마온공)이 그의 兄 伯康(백강)과 더불어 友愛(우애)가 더욱 돈독하더니 伯康이 나이 장차 八十歲에 이르자 이 받들기를 아버지와 같이하고 보호하기를 어린아이와 같이하여, 매양 밥먹고 조금 지나면 물어보기를 배가 고프지 않습니까?”하고 날씨가 조금 차면 그 등을 어루만지며 말하기를 옷이 얇지 않습니까?” 하였다고 한다.

결국 司馬溫公(사마온공)은 그의 兄 伯康(백강)友愛가 몹시 두터웠다. 의 나이 80가 되었을 때도 그는 마치 아버지를 봉양하듯 恭敬함을 다하였고 어린아이를 돌보듯이 하여 愛情을 쏟았다.

사람은 늙으면 배가 쉬 고프고 기운이 하여 추위를 잘 타기 때문에 그렇게 한 것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두 兄弟間友愛는 온 세상사람의 귀감이 아니 될 수가 없고 좋은 본보기로 몇 千年이 지나도록 길이 남아있을 것이다.

 

또한 孟子(맹자) 梁惠王篇(양혜왕편)에 나오는 말로

老吾老(노오노)하여 以及人之老(이급인지노)하며 幼吾幼(유오유)하여 以及人之幼(이급인지유)天下(천하)可運於掌(가운어장)이니...라는 文章이 있다.

나의 어른을 恭敬하는 마음으로 남의 어른을 恭敬하며, 나의 어린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남의 집 어린이를 사랑하는데 미치면 天下히 손바닥 위에서 움직이는 것 같을 수가 있다.라는 것이다.

이 말의 뜻은 孟子(맹자)梁惠王(양혜왕)에게 한말로, 내집 늙은 父母를 모시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父母恭敬하고 내집 아이를 귀해하듯 남의집 아이를 귀하게 여긴다면 天下의 모든 일을 손바닥 위에 움직이는 것 같이 쉽게 뜻대로 이룰 수가 있다.라는 것이다.

 

3. 古來(고래)東方禮儀之國(동방례의지국)이라 일컫는 우리 나라의 兄友弟恭(형우제공)文獻(문헌) 소개.

 

우리 나라에 文獻(문헌)으로 나와 있는 것이 많이 있지만 朝鮮王朝(조선왕조)寓意小說(우의소설)로 작자나 년대가 미상인 興夫傳(흥부전)”을 들 수 있다.

內容을 말하면 마음이 하고 심술궂은 놀부라는 형과 마음씨가 착하고 고운 아우 興夫(흥부)가 살았는데 흥부는 못살아서 몹시 의 구박을 받았다.

어느 날 다리를 다친 제비를 발견하고 지성껏 간호하여 살려서 날려보냈더니 報恩(보은)의 박씨를 가져다줘 이를 심어서 열은 박 속에 金銀寶貨가 나와 富者가 되었고 한편, 놀부는 동생의 모든 것을 듣고 욕심이 많고 착하지 못해 멀쩡한 제비의 다리를 부러뜨려서 박씨를 얻기는 하였으나 그 박씨를 심어서 박을 타니 그 속에서 귀신이 나오고 더러운 物件이 나와 놀부는 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小說高宗(고종)때에 申在孝氏(신재효씨)興夫歌(흥부가)를 지어 흥부전을 소리로 꾸며 부르게 되었다.

이것이 박타령또는 興夫타령이라고 하며 착한 흥부의 도움으로 형 놀부가 과거를 뉘우치고 함께 힘을 합쳐 살아가는 것이 마지막이다.

여기서 우리는 결코 한사람이 살아남을 수 있고 財物보다는 兄弟間友愛가 곧 으뜸이라는 精神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4. 五倫에 대한 全體的結論(결론)

總論에서

 

此五品者(차오품자)天叙之典(천서지전)이니 而人理之所固有者(이인리지소고유자)... 居則致其敬(거즉치기경)하고 養則致其樂(양즉치기락)하고 病則致其憂(병즉치기우)하며 喪則致其哀(상즉치기애) 하며 祭則致其嚴(제즉치기엄)이니라.하였다.

이 다섯 가지의 倫理는 하늘이 마련한 法則이요, 사람의 道理로써 원래부터 가지고 있는 것이다.

父母가 계시면 그 恭敬함을 극진히 하고 奉養할 때는 그 즐거움을 극진히 하며 이 들면은 근심을 다하며 돌아가시면 슬픔을 다하며 祭祀(제사) 에는 엄숙함을 다한다. 이 말은 父母를 위하여 最善의 힘을 기울인 다면 오늘의 産業社會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기쁨을 주고 밝고 明朗世上이 되지 아니할까 한다.

특히 新綠이 푸르게 늘어진 오월! 靑少年의 달이요 또한 家庭의 달이기도 하다.

우리 모두 천만년을 내려가도 변함이 없을 五倫精神, 不易理致를 마음에 깊이 새기고 새겨 實踐에 옮겨야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75 경치 안동댐 안개 (4).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茶山 文集(문집) 中에서 (2) 청남 24-02-06 55
274 경치 안동댐 안개 (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茶山 文集(문집) 中에서 (1) 청남 24-02-06 51
273 현우경치 (33).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茶山(다산) 丁若鏞(정약용)선생의 생애와 학문 청남 24-02-03 46
272 현우경치 (3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西厓(서애) 柳成龍(류성룡)선생의 생애와 학문 청남 24-02-03 51
271 현우경치 (31).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金鶴峯(김학봉)선생의 생애와 학문 청남 24-02-03 61
270 현우경치 (30).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聖學輯要(성학집요) 청남 24-02-03 52
269 소백산 (54).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栗谷先生(율곡선생)의 학문과 사상 (2) 청남 24-01-31 51
268 소백산 (53).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栗谷先生(율곡선생)의 학문과 사상 (1) 청남 24-01-31 60
267 소백산 (5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栗谷先生(율곡선생)의 생애와 학문 청남 24-01-31 66
266 소백산 (51).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李退溪先生(이퇴계선생)의 學問(학문) 청남 24-01-31 55
265 소백산 (48).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易東書院과 時調碑(시조비) 除幕(제막) 청남 24-01-31 67
264 설경무술 (2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小學考察(소학고찰) 청남 24-01-28 61
263 설경무술 (21).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采根譚(채근담) 청남 24-01-28 60
262 설경무술 (20).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六鞱三略(육도삼략) (2) 청남 24-01-28 50
261 설경무술 (19).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六鞱三略(육도삼략) (1) 청남 24-01-28 55
산수 (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五倫(오륜)중의 長幼有序(장유유서) 청남 24-01-26 61
259 산수 (1).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五倫(오륜)의 朋友有信(붕우유신) 청남 24-01-26 45
258 산세 안동6.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夫婦有別(부부유별) 청남 24-01-26 58
257 산세 안동5.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童蒙先習(동몽선습) 청남 24-01-26 43
256 산세 안동4.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三略書(삼략서) 청남 24-01-26 88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