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우리의 설화


[일반 ]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論語(논어)

청남

 

 

古典(고전)吟味(음미)

 

論語(논어)

 

1. 論語(논어)編纂(편찬)背景(배경)

 

論語(논어)中庸(중용)과 함께 四書(사서) 중에 하나이며 儒敎(유교)의 근본문헌이고 중국 최초의 語錄(어록)이기도 하다.

고대 중국의 사상가 孔子(공자:B.C551-479)의 가르침을 전하는 가장 확실한 옛 문헌으로,공자와 제자들 간의 문답을 주로 하고,공자가 수시로 한 발언과 행적,그리고 제자들의 발언등 인생의 높은 교훈이 되는 말들이 간결하고 함축성 있게 기록되어 있다. 漢書藝文志(한서예문지)에 의하면 論語(논어)는 공자께서 제자들 및 당시의 인사들 사이에 오고간 이야기들과, 공자로부터 들은 이야기들을 모두 함께 모아 編纂(편찬)한 것이며,孔子 일생의 言行錄(언행록)이라고 한다.이와 같은 공자의 언행록은 그 후 각처에서 연구되어 많은 增補(증보)가 이루어 졌는데 ()나라에서는 모두 20편인 魯論語(노론어)가 만들어 졌고,()나라에서는 여기에 2편을 더해서 22편의 齊論語(제론어)가 생겨났다.漢代(한대)에 들어가서는 孔子집 벽 속에서 論語(논어)가 나왔는데 이것은 21편으로 이루어졌고, 이를 古論語(고론어)라고 한다.이런 논어들은 그후 많은 학자들의 손을 거쳐 연구되어 오다가 後漢(후한)鄭玄(정현)에 이르러 魯論語(노론어)를 중심으로 통일을 보게 되었는데, 그것이 우리가 오늘에 접하는 論語이다. 논어가 우리 나라에 전해 온 기록을 찾아보면, 百濟(백제)14近仇首王(근구수왕:AD375)經學博士(경학박사) 王仁(왕인)論語를 일본에 전해주었다는 기록이 있으니 우리 나라에서는 그 보다 더 먼저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2. 論語構成(구성)

논어는 모두 20,482장으로 구성되어 있은데 그 가운데서 憲問篇(헌문편)이 가장 길고 4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中庸(중용)의 약 4배에 달하는 방대한 글이며, 全文(전문)15,917자나 된다.각편 마다 첫 머리에 나오는 2-3글자를 따서 그 편의 篇名(편명)으로 삼았는데 보기를 들면 다음과 같다.

 

學而篇.. 子曰-學而時習之....(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배워서 때로 익히면..)에서 學而를 따서 學而篇(학이편)으로 하였다.

 

爲政篇..子曰-爲政以德.....(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으로서 정치를 한다면..) 에서 爲政(위정)을 따서 爲政篇(위정편)으로 이름 지었다.

 

3. 論語內容(내용)

 

論語()된 사상은 한마디로 (어질 인)자의 해설이라고 하겠다.

그래서 論語全篇(논어전편)자가 무려 105번이나 반복해서 나오는 것을 봐도 알 수 있다.공자는 을 근본 바탕으로 해서 윤리관을 확립하였던 것이다.논어20편을 통해서 교육,정치, 사회 등 여러 가지 문제가 거론되고 있지만 그 구심점은 모두가 에다 두고 있다.

또 논어는 앞에서 설명한 대로 공자님과 제자들 사이에 오고간 대화로 되어 있으므로 제자들의 이름이나 지식정도,제자들의 성격과 특성 등을 잘 알 수 있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논어 속에 나오는 제자의 이름만도 32명이나 된다. 論語20편의 내용은 모두가 하나하나 떨어진 단편적이고 분리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나,그 하나하나가 다시없이 귀중한 金科玉條(금과옥조)이며, 온갖 풀과 꽃이 만발하여 白花爛漫(백화난만)한 봄을 이루듯 찬연히 빛나는 공자의 인간상과 유교의 꽃을 피우고 있다.

그러므로 논어는 精神(정신)의 책이고, 道德(도덕)의 책이고,政治(정치)의 책이며, 또한 來世(내세)의 책이아니고, 現世(현세)의 책이며,신의 책이 아닌 인간의 책으로서 유교를 認識(인식)하는데나 공자를 아는데 없어서는 안되는 귀중한 經典(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현대의 젊은 세대를 향해서 이 소중한 경전인 논어를 읽어보라고 충심으로 권하는 바이다.

 

4.論語 가운데 한 문장 소개

 

原文(원문)

曾子-曰 吾一日三省吾身하노니 爲人謀而不忠乎與朋友 交而不信乎傳不習乎이니라

 

解釋(해석)

공자의 제자 曾子(증자)가 말씀하시기를 나는 매일 세번씩 자신을 반성하고 있습니다.

그 첫째는 남을 위하여 일을 圖謀(도모)함에 있어서 不忠實(불충실)하게 하지는 아니하였는가 반성해보는 것이고, 두 번째는 벗과 사귐에 있어서 信義(신의)에 어긋나지나 아니하였는가 반성해 보는 것이고,셋째로는 스승에게 전수 받은 학문을 익히고 복습하며 공부하지 않는바가 있는가를 반성해 보는 것이다.

우리들이 흔히들日三省吾身(일삼성오신)이라는 말을 쓰는데,이 말의 어원은 바로 論語 學而篇(학이편)에 있는 曾子(증자)의 말씀인 것이다. 日三省吾身(일삼성오신)을 보통,매일 자기자신의 몸과 행동을 세번 돌아보고 잘못이 없는가를 省察(성찰)한다는 뜻으로도 받아 드리고,또한 매일 아침 점심 저녁 세번씩 반성한다는 듯으로도 해석하는데 이는 잘못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曾子(증자)의 근본적인 참뜻은 論語經典精神(경전정신)으로 미루어본다면 사람이 處世(처세)함에 있어서 지켜야 할 다음과 같은 교훈일 것이다.

對人關係(대인관계)에서 내가 할 도리와 내 人生誠實(성실) 게 살고 있는가 하는 것을 반성한다.

친한 사람 사이에 信義(신의)를 다하였는가를 반성한다.

스승으로부터 배운 바를 익히고 항상 공부하며 연구 노력하고 있는가를 반성한다.

自己反省(자기반성)人格陶冶(인격도야)의 근본이므로, 우리 모두가 日三省吾身(일삼성오신)의 정신으로 이 세상을 산다면 우리 모두가 풍요롭고 행복한 인생을 살수 있지 아니하겠는가.日三省吾身座右銘(좌우명)으로 삼아서 매일의 생활에 실천해 나가도록 힘써야 하겠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255 바다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2 .論語(논어)에 있는 九思(구사) 청남 24-01-23 79
254 바다 1.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書經(서경) 속에 명언- 청남 24-01-23 67
253 밍양손씨 .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孟子(맹자)中 한 句節(구절) 3. 孟子 盡心章(진심장)의 한 句節(구절) 청남 24-01-23 65
252 밀양박씨 .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孟子(맹자)中 한 句節(구절) 2. .孟子의 三樂(삼락) 청남 24-01-23 69
251 물안개2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孟子(맹자)中 한 句節(구절) 1. 孟子(맹자) 중에 한 문장 청남 24-01-23 70
250 루로은풍경 (76).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四書句節解說(사서구절해설) (論語가운데서) 2. 청남 24-01-21 96
249 루로은풍경 (75).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四書句節解說(사서구절해설) (論語가운데서) 1. 청남 24-01-21 82
248 루로은풍경 (74).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四書中 名句節 解說(사서중 명구절 해설) 2. 청남 24-01-21 130
247 루로은풍경 (73).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四書中 名句節 解說(사서중 명구절 해설) 청남 24-01-21 65
246 루로은풍경 (55) 사본2.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明心寶鑑(명심보감) 청남 24-01-19 72
245 루로은풍경 (55) 사본.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孝經(효경) 청남 24-01-19 62
244 루로은풍경 (54).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周易(주역) = 易經(역경) 청남 24-01-19 64
243 루로은풍경 (26).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詩經(시경) 청남 24-01-17 60
242 루로은풍경 (25).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書經(서경) 청남 24-01-17 70
241 루로은풍경 (6) 사본.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孟子(맹자) 청남 24-01-15 75
루로은풍경 (5).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論語(논어) 청남 24-01-15 63
239 루로은풍경 (4) 사본.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中庸(중용) 청남 24-01-15 52
238 루로은풍경 (3).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大學(대학) 槪論(계론) 청남 24-01-15 64
237 길5.JPG 古典(고전)의 吟味(음미) 經典(경전)의 意義(의의) 청남 24-01-12 50
236 12미륵새벽길.jpg 학봉의 순국 청남 23-10-25 26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