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전설과 해학


[일반 ] 大雅久不作(대아구부작) 古風(고풍) 其一(기일) 李白(이백)

청남

 

 

大雅久不作(대아구부작) 古風(고풍) 其一(기일) 李白(이백)

 

大雅久不作(대아구불작吾衰竟誰陳(오쇠경수진王風委蔓草(왕풍위만초)

戰國多荊榛(전국다형진龍虎相啖食(용호상담식兵戈逮狂秦(병과체광진)

正聲何微茫(정성하미망哀怨起騷人(애원기소인揚馬激頹波(양마격퇴파)

開流蕩無垠(개류탕무은廢興雖萬變(폐흥수만변憲章赤已淪(헌장적이륜)

自從建安來(자종건안래綺麗不足珍(기려불족진聖代復元古(성대복원고)

垂衣貴淸眞(수의귀청진羣才屬休明(군재속휴명乘運共躍鱗(승운공약린)

文質相炳煥(문질상병환衆星羅秋旻(중성라추민我志在刪述(아지재산술)

垂輝暎千春(수휘영천춘希聖如有立(희성여유입絶筆於獲麟(절필어획린)

 

大雅(대아)와 같은 시가 나타나지 않은지 오래이네

그 부흥을 시도하는 내가 만일 늙는다면

누가 이 대업을 실현 할 수 있으리요

東周(동주) 王畿(왕기)의 가요는 蔓草(만초)와 같이 거칠고

戰國(전국)이 되자 잡목이 무성하게 되었으며

용과 범이 서로 먹고 먹히는 것과 같은

교전은 ()이 천하를 통일 할 때까지 계속되었네

 

()의 정통은 어찌 쇠퇴 해버렸던가

이때 슬픈 한을 호소하는 離騷(이소)의 작가 굴원이 나타났고

揚雄(양웅)司馬相如(사마상여)가 무너진 파도를 부추겨

()의 흐름을 열어 끝없이 이어가게 했다네

 

시의 本流(본류)興廢(흥폐)가 있어 천변만화 했으나

正聲(정성)의 법도는 이미 사라지고 말았으며

建安(건안) 이래의 이러한 형태의 시는

문자는 아름다우나 진귀한 것이 못된다네

 

우리 ()聖代(성대)는 태고 모습으로 돌아가

천자는 옷깃 드리우고 천하를 다스려 淸眞(청진)를 존중하고

많은 재주꾼들은 아름답고 밝은 세상을 만나

이 좋은 기회를 타고 龍鱗(용린)을 떨치며 활동을 하네

詩文(시문)은 외형과 내용 모두 겸비해서 광채를 내고

많은 작가가 별과 같이 가을 하늘에 나열되어 있네

 

내 뜻은 聖代(성대)大雅(대아)라고 할만한 걸작을 선별해서

그 빛을 후세에 남겨 千歲(천세)를 비추는데 있네

성인 공자와 같은 대업을 바라서 만일 이루어진다면

나도 麒麟(기린)을 생포했다는 조항에서 그 저술을 맺으리

 

大雅(대아)....... 詩經(시경)의 분류가운데 하나. 周王室(주왕실)에 관한 것을 노래한 작품이 가장 많고 詩經(시경) 가운데 가장 당당하고 장엄한 작품이 많이 모여 있다.

().......... 禮記(예기) 王制篇(왕제편), 옛날에는 천자가 太師(태사)에게 명해서 시 (: 늘어놓다)해서 민간의 풍습을 알아보았다라고 있다. ()은 진 .

王風(왕풍)..... ()의 수도가 동방 洛陽(낙양)에 옮긴이래 왕실의 존엄성이 쇠퇴 했으므 , 王城(왕성) 畿內(기내)의 가요를 제후국의 민요와 동등하게 취급하게 되 었는데 이것을 王風(왕풍)이라 한다.

()......... 방치하다.

戰國(전국)..... (), (), (), (), (), ()七國(칠국)이 서로 싸우 던 시대.

荊榛(형진)...... 잡목이 叢生(총생) 한다는 말.

().......... 잡아 먹다.

兵戈(병과)...... 武器(무기)

正聲(정성)....... 詩經(시경). 특히 大雅(대아) 계통을 뜻함.

騷人(소인)...... 離騷(이소)의 작가 屈原(굴원).

揚馬(양마)....... 揚雄(양웅)司馬相如(사마상여). 한의 대표적 ()의 작가.

激頹波(격퇴파)... 屈原(굴원)이후 쇠퇴한 ()를 성하게 하다.

()............ 한계

憲章(헌장)...... 法度憲章(법도헌장)

()............ 沈沒(침몰)

建安(건안)...... 後漢末(후한말)의 연호. 당시 ()曹操(조조)를 비롯 建安七子(건안칠 )가 나와 시가 크게 진흥한 시대.

聖代(성대)...... 여기서는 唐朝(당조)를 말함.

元古(원고)....... 太古(태고)

垂衣(수의)....... 周易(주역) 繫辭傳(계사전)黃帝(황제)堯舜(요순)은 의상을 늘어뜨리고 가만히 있어도 천하는 스스로 잘 다스려졌다고 하는 고사.

淸眞(청진)..... ()淸淨(청정)이며 ()天眞(천진)이며, 모두 道家(도가)에서 귀 하게 생각하는 것들이다.

休明(휴명)...... 선하고 경사스러운 聖代(성대)를 만났다는 것.

()........... 龍鱗(용린). 뛰어난 재능을 말한다.

文質(문질)...... 詩文(시문)의 외형과 내용. 修辭(수사)達意(달의).

炳煥(병환)...... ()著名(저명)이고 ()光明(광명).

秋旻(추민)....... 秋天(추천)

刪述(산술)....... ()削除(삭제), ()著述(저술). 옛날 공자가 삼천 여편의 시 를 삭제하여 삼백여 편으로 편찬하였다는 사업을 모방하려고 하는 것.

希聖(희성)...... ()孔子(공자). 공자에게 배우려고 한다라는 말.

有立(유입)...... 성립한다.

絶筆於獲麟(절필어획린)... 孔子(공자)()의 역사 春秋(춘추)를 편찬하고 있을 때, () 哀公(애공) 14년에 이르러 魯人(노인)麒麟(기린)을 잡은 일을 당해, 靈獸(영수)亂世(난세)에 나와 野人(야인)에게 잡힌 것을 한탄하고, 이 한 줄을 최후로 春秋(춘추)를 마쳤다고 한다. 공자를 흠모하는 뜻으로 이 고사 를 인용한 것임.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전설과 옛날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4466
440 이팝나무.2024.5.8 (10).JPG 俠客行(협객행)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7
439 이팝나무.2024.5.8 (9).JPG 夜坐吟(야좌음)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5
438 이팝나무.2024.5.8 (8).JPG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其二(기이)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5
437 오스태오스퍼멈2024.5.15 (1).JPG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李白(이백) 청남 24-06-12 12
436 연잎꿩의다리2024.5.23.JPG 行行且遊獵篇(행행차유렵편) 李白(이백) 청남 24-06-12 6
435 연상홍2024.5.13.JPG 將進酒(장진주) 李白(이백) 청남 24-06-12 9
434 엉컹퀴2024.6.3 (1).JPG 蜀道難(촉도난) 李白(이백) 청남 24-06-09 14
433 앵두12024.5.23.JPG 遠別離(원별리) 李白(이백) 청남 24-06-09 8
432 앵두2024.5.23.JPG 樂府(악부) 李白(이백) 청남 24-06-09 11
431 망촛대2024.6.3 (14).JPG 惻惻泣路岐(측측읍로기) 其五十九(기오십구) 李白(이백) 청남 24-06-06 16
430 망촛대2024.6.3 (13).JPG 搖裔雙白鷗(요예쌍백구) 其四十二(기사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6-06 14
429 아카시아2024.5.17 (14).JPG 登高望四海(등고망사해) 其三十九(기삼십구) 李白(이백) 청남 24-06-01 16
428 아카시아2024.5.17 (13).JPG 醜女來効顰(추녀래효빈) 其三十五(기삼십오) 李白(이백) 청남 24-06-01 11
427 아카시아2024.5.17 (12).JPG 玄風變太古(현풍변태고) 其三十(기삼십) 李白(이백) 청남 24-06-01 10
426 아카시아2024.5.17 (7).JPG 碧荷生幽泉(벽하생유천) 其二十六(기이십육) 李白(이백) 청남 24-05-30 22
425 아카시아2024.5.17 (6).JPG 秋露白如玉(추로백여옥) 其二十三(기이십삼) 李白(이백) 청남 24-05-30 14
424 아카시아2024.5.17 (5).JPG 秦水別隴首(진수별롱수) 其二十二(기이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5-30 11
423 부우겐빌레아2024.5.9 (4).JPG 天津三月時(천진삼월시) 其十八(기십팔) 李白(이백) 청남 24-05-26 19
422 부우겐빌레아2024.5.9 (3).JPG 胡關饒風沙(호관요풍사) 其十四(기십사) 李白(이백) 청남 24-05-26 19
421 부우겐빌레아2024.5.9 (2).JPG 松柏本孤直(송백본고직) 其十二(기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5-26 1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