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전설과 해학


[일반 ] 古風(고풍) 其五(기오) 太白何蒼蒼(태백하창창) 李白(이백)

청남

 

 

古風(고풍) 其五(기오) 太白何蒼蒼(태백하창창) 李白(이백)

 

太白何蒼蒼(태백하창창星辰上森列(성진상삼렬去天三百里(거천삼백리)

邈爾與世絶(막이여세절中有綠髮翁(중유록발옹披雲臥松雪(피운와송설)

不笑亦不語(불소역불어冥棲在巖穴(명서재암혈我來逢眞人(아래봉진인)

長跪問寶訣(장궤문보결粲然忽自哂(찬연홀자신授以鍊藥說(수이련약설)

銘骨傳其語(명골전기어竦身已電滅(송신이전멸仰望不可及(앙망불가급)

蒼然五情熱(창연오정열吾將營丹砂(오장영단사永與世人別(영여세인별)

 

태백산은 어찌 저렇게 푸른가

많은 별들 그 위에 촘촘히 늘어서 있고

정상은 하늘에서 삼 백 리라 하는데

아득히 세상과 교섭을 끊고 있네

 

산중에는 머리가 검은 늙은이가 있어

구름을 덮고 소나무 눈 위에 누어 있는데

웃지도 않고 말도 하지 않고

어두컴컴한 굴속에 살고 있네

 

내가 와서 眞人(진인)을 만나

공손히 무릎꿇고 仙術(선술)의 비결 물으니

그는 문득 홀로 미소지으며

仙藥(선약)의 비방 전해 주네

 

그 말을 뼈에 사무쳐 전하고하니

몸을 솟구쳐 번개같이 사라지고 마네

우러러봐도 따를 수가 없어

얼굴은 파라지고 가슴은 타는 듯

나는 장차 전수 받은 비방으로 丹砂(단사)를 이겨

영구히 속세 사람들과 이별을 하리.

 

太白(태백)...... 太白山(태백산)陜西省(협서성) 關中道(관중도) 郿縣(미현) 남쪽에 있고, 위에 동굴이 있으며 도교에서 말하는 소위 11洞天(동천)靈場(영장)이다. 李白(이백)翰林供奉(한림공봉)으로 있을 때 이미 여기서 논일이 있다.

去天三百里(거천삼백리)... 三秦記(삼진기)에 이르기를 武功太白(무공태백) 去天三百(거천삼백) 라 했다. 민간에서 전하는 말임.

邈爾(막이)...... 아득한 모양.

綠髮(녹발)...... 검은머리. 신선은 나이를 먹어도 머리가 검다.

披雲(피운)..... 구름을 의복으로 입고 있음.

松雪(송설)....... 太白山(태백산)은 매우 높아 위에는 만년설이 있다.

眞人(진인)........ 神仙(신선)

長跪(장궤)..... 상체를 그대로하고 무릎을 끓은 인사법.

粲然(찬연)...... 웃는 모양.

().......... 미소

竦身(송신)...... 몸을 솟구쳐 공중으로 날아가는 모양.

蒼然(창연)...... 감정이 격해서 얼굴빛이 파래지는 것.

五情(오정)....... 喜怒哀樂怨(희노애락원)五情(오정)

丹砂(단사)...... 丹砂(단사)朱砂(주사)이다. 도교에서는 주사를 조제해서 불로장생의 仙藥 (선약)을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며 이것은 煉丹(연단)이라 한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전설과 옛날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4465
440 이팝나무.2024.5.8 (10).JPG 俠客行(협객행)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7
439 이팝나무.2024.5.8 (9).JPG 夜坐吟(야좌음)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5
438 이팝나무.2024.5.8 (8).JPG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其二(기이)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5
437 오스태오스퍼멈2024.5.15 (1).JPG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李白(이백) 청남 24-06-12 12
436 연잎꿩의다리2024.5.23.JPG 行行且遊獵篇(행행차유렵편) 李白(이백) 청남 24-06-12 6
435 연상홍2024.5.13.JPG 將進酒(장진주) 李白(이백) 청남 24-06-12 9
434 엉컹퀴2024.6.3 (1).JPG 蜀道難(촉도난) 李白(이백) 청남 24-06-09 14
433 앵두12024.5.23.JPG 遠別離(원별리) 李白(이백) 청남 24-06-09 8
432 앵두2024.5.23.JPG 樂府(악부) 李白(이백) 청남 24-06-09 11
431 망촛대2024.6.3 (14).JPG 惻惻泣路岐(측측읍로기) 其五十九(기오십구) 李白(이백) 청남 24-06-06 16
430 망촛대2024.6.3 (13).JPG 搖裔雙白鷗(요예쌍백구) 其四十二(기사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6-06 14
429 아카시아2024.5.17 (14).JPG 登高望四海(등고망사해) 其三十九(기삼십구) 李白(이백) 청남 24-06-01 16
428 아카시아2024.5.17 (13).JPG 醜女來効顰(추녀래효빈) 其三十五(기삼십오) 李白(이백) 청남 24-06-01 10
427 아카시아2024.5.17 (12).JPG 玄風變太古(현풍변태고) 其三十(기삼십) 李白(이백) 청남 24-06-01 10
426 아카시아2024.5.17 (7).JPG 碧荷生幽泉(벽하생유천) 其二十六(기이십육) 李白(이백) 청남 24-05-30 22
425 아카시아2024.5.17 (6).JPG 秋露白如玉(추로백여옥) 其二十三(기이십삼) 李白(이백) 청남 24-05-30 14
424 아카시아2024.5.17 (5).JPG 秦水別隴首(진수별롱수) 其二十二(기이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5-30 11
423 부우겐빌레아2024.5.9 (4).JPG 天津三月時(천진삼월시) 其十八(기십팔) 李白(이백) 청남 24-05-26 19
422 부우겐빌레아2024.5.9 (3).JPG 胡關饒風沙(호관요풍사) 其十四(기십사) 李白(이백) 청남 24-05-26 18
421 부우겐빌레아2024.5.9 (2).JPG 松柏本孤直(송백본고직) 其十二(기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5-26 1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