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전설과 해학


[일반 ] 齋有倜儻生(재유척당생) 其十(기십) 李白(이백)

청남

 

齋有倜儻生(재유척당생) 其十(기십) 李白(이백)

 

齊有倜儻生(제유척당생魯連特高妙(노연특고묘明月出海底(명월출해저)

一朝開光曜(일조개광요却秦振英聲(각진진영성後世仰末照(후세앙말조)

意輕千金贈(의경천금증顧向平原笑(고향평원소吾亦澹蕩人(오역담탕인)

拂衣可同調(불의가동조)

 

() 나라에는 대범한 선비가 있어

그 중에도 魯仲連(노중련)은 특출했는데

마치 明月珠(명월주)가 해저에서 나온 듯

하루아침에 밝은 빛 빛나게 발하네

 

()을 물리치고 英傑(영걸)의 이름 날려

후세까지 그 이름 우러러 존경하네

마음속에 천금의 선물 가벼이 여기고

平原君(평원군) 쪽 바라보며 웃으며 떠나니

나 역시 호탕하고 간이 큰 사나이

옷자락 떨치며 그와 같이 세상을 살리.

 

()......... 戰國時代(전국시대)齋國(재국). 지금의 山東省(산동성) 대부분.

倜儻(척당)..... 獨立獨步(독립독보). 구속을 받지 아니하는 것.

()......... 지식인의 통칭.

魯連(노연)..... 魯仲連(노중련). 전국시대 재나라 사람. ()()를 포위했을 때, 나라의 사자가 ()昭王(소왕)을 높여서 ()라고 부르고 그를 섬기 도록 조나라에 설득해 왔다. 그때 魯仲連(노중련)은 조나라에 있으면서 이 사실을 알고 ()나라의 왕자 平原君(평원군)을 만나 자신이 이 위기를 수 습할 것을 자청했다. 그리하여 ()의 장수를 만나 ()()로 하 는 것이 불리하다는 것을 설득해서 感服(감복)시켰다. ()의 장군은 이 말을 듣고 군사를 150리 후퇴시켰다. 그때 ()의 군대가 ()를 구하 러 왔으므로 秦軍(진군)은 결국 철수하고 말았다. 田單(전단)이 재나라 왕에 게 명해서 작위를 내리려 했으나 그는 완강하게 사양하며 해변가로 피해갔 .

明月(명월)...... 明月珠(명월주). 夜光珠(야광주). 월광과 비슷한 빛이나므로 明月(명월)이라 한다.

末照(말조)..... 餘光(여광)

澹蕩(담탕)....... 放蕩(방탕).

拂衣(불의)...... 옷깃을 펄럭이며 떠나가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전설과 옛날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4466
440 이팝나무.2024.5.8 (10).JPG 俠客行(협객행)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7
439 이팝나무.2024.5.8 (9).JPG 夜坐吟(야좌음)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5
438 이팝나무.2024.5.8 (8).JPG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其二(기이)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6-15 5
437 오스태오스퍼멈2024.5.15 (1).JPG 前有樽酒行(전유준주행) 李白(이백) 청남 24-06-12 12
436 연잎꿩의다리2024.5.23.JPG 行行且遊獵篇(행행차유렵편) 李白(이백) 청남 24-06-12 6
435 연상홍2024.5.13.JPG 將進酒(장진주) 李白(이백) 청남 24-06-12 9
434 엉컹퀴2024.6.3 (1).JPG 蜀道難(촉도난) 李白(이백) 청남 24-06-09 14
433 앵두12024.5.23.JPG 遠別離(원별리) 李白(이백) 청남 24-06-09 8
432 앵두2024.5.23.JPG 樂府(악부) 李白(이백) 청남 24-06-09 11
431 망촛대2024.6.3 (14).JPG 惻惻泣路岐(측측읍로기) 其五十九(기오십구) 李白(이백) 청남 24-06-06 16
430 망촛대2024.6.3 (13).JPG 搖裔雙白鷗(요예쌍백구) 其四十二(기사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6-06 14
429 아카시아2024.5.17 (14).JPG 登高望四海(등고망사해) 其三十九(기삼십구) 李白(이백) 청남 24-06-01 16
428 아카시아2024.5.17 (13).JPG 醜女來効顰(추녀래효빈) 其三十五(기삼십오) 李白(이백) 청남 24-06-01 11
427 아카시아2024.5.17 (12).JPG 玄風變太古(현풍변태고) 其三十(기삼십) 李白(이백) 청남 24-06-01 10
426 아카시아2024.5.17 (7).JPG 碧荷生幽泉(벽하생유천) 其二十六(기이십육) 李白(이백) 청남 24-05-30 22
425 아카시아2024.5.17 (6).JPG 秋露白如玉(추로백여옥) 其二十三(기이십삼) 李白(이백) 청남 24-05-30 14
424 아카시아2024.5.17 (5).JPG 秦水別隴首(진수별롱수) 其二十二(기이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5-30 11
423 부우겐빌레아2024.5.9 (4).JPG 天津三月時(천진삼월시) 其十八(기십팔) 李白(이백) 청남 24-05-26 19
422 부우겐빌레아2024.5.9 (3).JPG 胡關饒風沙(호관요풍사) 其十四(기십사) 李白(이백) 청남 24-05-26 19
421 부우겐빌레아2024.5.9 (2).JPG 松柏本孤直(송백본고직) 其十二(기십이) 李白(이백) 청남 24-05-26 1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