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전설과 해학


[일반 ] 猛虎行(맹호행) 李白(이백)

청남

 

 

猛虎行(맹호행) 李白(이백)

 

朝作猛虎行(조작맹호행) 暮作猛虎吟(모작맹호음)

腸斷非關隴頭水(장단비관롱두수) 淚下不爲雍門琴(누하불위옹문금)

旌旗繽紛兩河道(정기빈분양하도) 戰鼓驚山欲傾倒(전고경산욕경도)

秦人半作燕地囚(진인반작연지수) 胡馬翻銜洛陽草(호마번함락양초)

一輸一失關下兵(일수일실관하병) 朝降夕叛幽薊城(조항석반유계성)

巨鼇未斬海水動(거오미참해수동) 魚龍奔走安得寧(어용분주안득영)

頗似楚漢時(파사초한시) 翻覆無定止(번복무정지)

朝過博浪沙(조과박랑사) 暮入淮陰市(모입회음시)

張良未遇韓信貧(장양미우한신빈) 劉項存亡在兩臣(유항존망재양신)

暫到下邳受兵略(잠도하비수병략) 來投漂母作主人(내투표모작주인)

賢哲栖栖古如此(현철서서고여차) 今時亦棄靑雲士(금시역기청운사)

有策不敢犯龍鱗(유책불감범용린) 竄身南國避胡塵(찬신남국피호진)

寶書玉劍掛高閣(보서옥검괘고각) 金鞍駿馬散故人(금안준마산고인)

昨日方爲宣城客(작일방위선성객掣鈐交通二千石(체검교통이천석)

有時六博快壯心(유시육박쾌장심) 遶牀三匝呼一擲(요상삼잡호일척)

楚人每道張旭奇(초인매도장욱기) 心藏風雲世莫知(심장풍운세막지)

三吳邦伯皆顧眄(삼오방백개고면) 四海雄俠兩追隨(사해웅협양추수)

簫曹曾作沛中吏(소조증작패중리攀龍附鳳當有時(반용부봉당유시)

漂陽酒樓三月春(표양주루삼월춘楊花茫茫愁殺人(양화망망수살인)

胡雛綠眼吹玉笛(호추록안취옥적) 吳歌白紵飛梁塵(오가백저비양진)

丈夫相見且爲樂(장부상견차위락) 槌牛撾鼓會衆賓(퇴우과고회중빈)

我從此去鈞東海(아종차거균동해) 得魚笑奇情相親(득어소기정상친)

 

아침에 猛虎行(맹호행)을 노래하고

저녁에 猛虎吟(맹호음)을 읊조린다.

창자가 끊어질 듯한 슬픈 생각은 隴頭(농두)의 물과 관계없고

눈물이 나는 것은 雍門周(옹문주)의 금이 슬퍼서가 아니다.

하북 하남 양도에는 지금 어지러이 軍旗(군기)가 나부끼고

戰鼓(전고) 소리는 산을 놀라게 하고 산을 넘어뜨리려 한다.

출정한 진 나라 사람 반쯤은 연 나라 포로가 되어 잡혀가고

반란군의 胡馬(호마)는 중원을 점령해서 洛陽(낙양)의 풀을 먹고 있다.

關所(관소)를 지키는 관군은 일진일퇴의 혼전을 거듭하고

幽州(유주)薊州(계주)는 아침에 항복하고 저녁에 탈환하며

큰 자라 같은 安祿山(안록산)은 아직 잡히지 않아 천하는 술렁이고

어룡 같은 천자와 백성은 분주히 피난길을 달리니 어찌 편안하리.

 

이는 楚漢(초한) 시절과 흡사하며

형세가 번복하여 안정되지 않는다.

그때 張良(장량)은 아침에 博浪沙(박랑사)을 지났고

韓信(한신)은 저녁에 淮陰市(회음시)에 들어갔다

당시 장량은 明主(명주)를 못 만났고 한신은 가난했지만

劉邦(유방)項羽(항우)의 승패존망은 이 두 사람 손에 있었다.

장량은 잠시 下邳(하비)에서 黃石公(황석공)에게 병법을 전수 받고

한신은 淮陰(회음)에서 漂母(표모)를 주인으로 신세를 졌다.

 

賢人(현인)이 때를 못 만나 방황한 것은 옛날에도 이와 같은데

지금 역시 청운의 高士(고사)를 버리고 돌보지 않는다.

내게 좋은 방책이 있어도 龍鱗(용린)을 범하며 천자에게 말하지 않으며

몸을 南國(남국)에 감추어 胡兵(호병)의 전란을 피하려할 뿐이다.

寶書(보서)玉劍(옥검)도 높은 누각에 걸어 둔 체

금 안장과 駿馬(준마)는 친지에게 맡기고 집을 나왔다.

어제는 바야흐로 宣城(선성)에 신세지는 나그네 되어

그 지방 장관 관사를 찾아가 교제하게 되었다.

때마침 六博(육박)의 승부로 기세를 올리고

판을 세 번 돌리고 좋은 패 나오라고 말 필을 던졌다.

 

초 나라 사람은 매번 張旭(장욱)은 이상한 사람이라 말하지만

마음에 감춘 풍운의 기상을 세상사람들은 알지못한다.

三吳(삼오) 지방 장관들은 모두 그를 주시하고

四海(사해)의 영웅 협객은 모두 그를 따르고 있다.

옛날 簫何(소하)曹參(조참)沛縣(패현)()였는데

장욱도 반드시 帝王(제왕) 측근에 소환될 때 있을 것이리

漂陽(표양)의 술집 때는 3월의 좋은 봄날

버들 꽃 사방으로 날려 사람을 시름에 잠기게 한다.

눈동자 푸른 오랑캐 아이가 옥 피리 불고

오 나라의 白紵曲(백저곡) 고운 소리로 부른다

사나이가 서로 만났으니 자아 즐겁게 놀자

소를 잡고 북을 치며 성대한 연회를 열자

나는 지금부터 동해로 가서 고기를 낚아

잡히면 웃으며 그대에게 보내어 친한 정 나타내리

 

猛虎行(맹호행)... 古樂府(고악부). 安祿山(안록산)의 반란이 맹위를 떨칠 때, 李白(이백)이 남 방으로 난을 피해 가는 도중 漂陽(표양)에서 草書(초서)의 명인 張旭(장욱) 을 만나서 즐거움을 다하고 떠날 때 지은 노래.

隴頭水(농두수)... 隴水(농수)隴頭(농두)에서 흐르는 산이 험해 흐르는 물도 급해서 슬픈 소 리를 냄. 산 위에서 아득히 秦川(진천)을 바라보면 간장이 끊어질 것 같다 라는 말이 있다.

雍門琴(옹문금)... 전국시대 雍門周(옹문주)()을 들고 孟嘗君(맹상군) 앞에 나타나자 맹 상군이 말하기를 선생을 금을 타서 나를 슬프게 할 수가 있는가. () 우선 맹상군이 죽어서 오래되면 그 묘가 황폐하는 장면을 눈에 본 듯 이야기 하니 맹상군의 마음이 슬퍼져 곧 눈물이 쏟아져 나올 것만 같았다. 그때 금 을 들고 슬픈 곡을 타니 맹상군은 더 이상 견딜 수가 없어 눈물을 흘리고 말 았다.

繽紛(빈분)...... 어지러운 모양

兩河道(양하도)... 玄宗(현종) 때 천하를 15()로 나누었다. 양하도란 河北道(하북도) 南道(하남도)를 말하며 지금의 河南(하남) 河北(하북)에 해당한다. 안록산은 군사를 일으켜 우선 河南(하남)을 석권하고 洛陽(낙양)을 점령했다.

秦人(진인)....... 수도 長安(장안)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에 사는 사람. 거기서 반란군을 토벌 하로 징발된 官軍(관군)

()............ 기금의 北京(북경) 자방. 반란군의 근거지.

一輸一失(일수일실)... 戰勢(전세)가 만만치 않아 일진일퇴하는 모양.

朝降夕叛(조항석반)... 아침에 싸움에 졌다가 저녁에 다시 공격해서 적을 무찌르고 이기는 혼전을 말함.

幽薊城(유계성)... 幽州(유주) 지방과 薊州(계주) 지방.

巨鼇(거오)......... 큰 자라. 安祿山(안록산)을 가리킴

魚龍(어용)....... 백성과 天子(천자)를 말함.

翻覆(번복)...... 관군과 반란군이 혼전을 이룸.

博浪沙(박랑사).... 張良(장량)力士(역사)를 공용해서 큰 쇠망치로 秦始皇(진시황)의 차를 박 랑사에서 기습했으나 副車(부차)에 맞추어 실패하고 말았다. 그래서 下邳( )로 숨어살다가 黃石公(황석공)을 만나 兵書(병서)를 얻게 되었다.

淮陰市(회음시)... 韓信(한신)淮陰(회음) 사람이다. 젊을 때 가난해서 漂母(표모)로부터 수 십 일간 음식을 얻어먹고 기갈을 면했다.

栖栖(서서)....... 급박해서 서성이는 것.

靑雲士(청운사)... 청운과 같이 높은 자리에 오를 유능한 인물.

犯龍鱗(범용린)... 용의 목 밑에는 거꾸로 붙은 비늘이 있는데 이것에 닿으면 사람이 죽는다. 人君(인군)에게 逆鱗(역린)이 있어 신하가 諫言(간언)할 때 여기에 닿지 않 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韓非子(한비자)에 있는 말.

().......... 도망가서 숨는 것.

掣鈐(체검)...... 唐代(당대)에는 관청 문에 방울이 달려 있어 문을 열면 방울 소리가 난다.

二千石(이천석)... 군의 장관. 태수의 祿俸(녹봉).

六博(육박)....... 6개의 ()黑六(흑육) 白六(백육) 합계 12개의 ()를 이용해서 하 는 놀이로, 六箸(육저)를 던져 거기 나오는 점수로 罫線(괘선)을 그은 반 위 ()를 움직여 승부를 다투는 노름.

()......... 六博(육박)의 말필이 움직이는 말판.

呼一擲(호일척)... 좋은 괴가 나오도록 소리를 지르면 말을 던지는 것. 모가 나오라고 소리를 지르면 윷을 던지는 것과 같음.

張旭(장욱)...... 고금에 유명한 草書(초서)의 명인. 蘇州(소주) 사람.

三吳(삼오)...... 吳興(오흥), 吳郡(오군), 會稽(회계). 지금의 江蘇省(강소성) 남부 및 浙江省 (절강성) 북부 지방.

邦伯(방백)...... 군의 太守(태수). ()刺史(자사).

顧眄(고면)....... 한번 뒤돌아본다.

簫曹(소조)....... 簫何(소하)曹參(조참). 모두 漢高祖(한고조)의 명신. 그러나 둘다 () 나라 때, 沛縣(패현)獄吏(옥리)主吏(주리) 였다.

攀龍附鳳(반용부봉)... 출세 해서 천자의 側近(측근)이 되는 것을 말함.

漂陽(표양)....... 지금의 江蘇省(강소성) 金陵(금능).

白紵(백저)........ ()舞曲(무곡)의 이름.

飛梁塵(비양진)... 노랫소리가 매우 청아함을 말함. ()廬公(여공)은 노래를 잘 불러 그 음성은 들보 위에 먼지까지도 진동시켰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

槌牛(퇴우)....... 소를 잡는 다는 말.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전설과 옛날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4330
404 이팝나무.2024.5.8 (3).JPG 宿巫山下(숙무산하)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5-09 8
403 이팝나무.2024.5.8 (2).JPG 自巴東舟行經瞿唐峽登巫山最高峰晩還題壁 ​(자파동주행경구당협등무산최고봉만환제벽)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5-09 5
402 이팝나무.2024.5.8 (1).JPG 上三峽(상삼협) 李白(이백) 새글 청남 24-05-09 6
401 팔손이.24.3..JPG 南流夜郞寄內(남류야랑기내) 李白(이백) 청남 24-05-06 16
400 코짜개덩굴.24. (2).JPG 留別賈舍人至二首(유별가사인지이수) 其二(기이) 李白(이백) 청남 24-05-06 10
399 코짜개덩굴.24. (1).JPG 放後遇恩不霑(방후우은불점) 李白(이백) 청남 24-05-06 10
398 짚신.24.3.JPG 汎沔州城南郎官湖幷序(범면주성남낭관호병서)- 2. 李白(이백) 청남 24-05-04 18
397 전나무.2024.5.2 (2).JPG 汎沔州城南郎官湖幷序(범면주성남낭관호병서)- 1. 李白(이백) 청남 24-05-04 9
396 전나무.2024.5.2 (1).JPG 流夜郞永華寺奇尋陽群官(유야랑영화사기심양군관) 李白(이백) 청남 24-05-04 10
395 참꽃.24.3.31 (5).JPG 竄夜郞於烏江留別宋十六璟(찬야랑어오강유별송십육경) 李白(이백) 청남 24-05-02 15
394 참꽃.24.3.31 (4).JPG 陪宋中丞武昌夜飮懷古(배송중승무창야음회고) 李白(이백) 청남 24-05-02 6
393 참꽃.24.3.31 (3).JPG 萬憤詞投魏郞中(만분사투위랑중) 李白(이백) 청남 24-05-02 5
392 레드라즈베리.JPG 奔亡道中五首(분망도중오수) 其五(기오) 李白(이백) 청남 24-04-30 14
391 돌나물.2024.4.29 (2).JPG 奔亡道中五首(분망도중오수) 其四(기사) 李白(이백) 청남 24-04-30 12
390 대극.2024.4.29 (7).JPG 永王東巡歌十一首(영왕동순가십일수 其七(기칠) 其十一(기십일) 청남 24-04-30 9
389 옥매화2024.4.29 (7).JPG 永王東巡歌十一首(영왕동순가십일수 其七(기칠) 李白(이백) 청남 24-04-28 15
388 옥매화2024.4.29 (5).JPG 永王東巡歌十一首(영왕동순가십일수) 其六(기육) 李白(이백) 청남 24-04-28 12
387 옥매화2024.4.29 (3).JPG 永王東巡歌十一首(영왕동순가십일수) 其五(기오) 李白(이백) 청남 24-04-28 8
386 산수유.댐 (6).JPG 永王東巡歌十一首(영왕동순가십일수) 其四(기사) 李白(이백) 청남 24-04-26 16
385 산수유.댐 (4).JPG 永王東巡歌十一首(영왕동순가십일수) -其三(기삼) 李白(이백) 청남 24-04-26 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