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관광명소 안동의 시와 가사 안동의 민속 안동인의 논단 우리의 설화 전설과 해학
>> 안동소개 > 전설과 해학


[일반 ] 行路難(행로난) 三首(삼수) 其三(기삼) 李白(이백)

청남

 

 

行路難(행로난) 三首(삼수) 其三(기삼) 李白(이백)

 

有耳莫洗潁川水(유이막세영천수) 有口莫食首陽蕨(유구막식수양궐)

含光混世貴無名(함광혼세귀무명) 何用孤高比雲月(하용고고비운월)

吾觀自古賢達人(오관자고현달인) 功成不退皆殞身(공성부퇴개운신)

子胥旣棄吳江上(자서기기오강상) 屈原終投湘水濱(굴원종투상수빈)

陸機雄才豈自保(육기웅재개자보) 李斯稅駕苦不早(이사세가고부조)

華亭鶴唳詎可聞(화정학려거가문) 上蔡蒼鷹何足道(상채창응하족도)

君不見吳中張翰稱達生(군부견오중장한칭달생)

秋風忽憶江東行(추풍홀억강동항) 且樂生前一杯酒(차낙생전일배주)

何須身後千載名(하수신후천재명)

 

귀가 있어도 許由(허유)와 같이 潁川(영천) 물에 씻지 말고

입이 있어도 백이숙재와 같이 수양산의 고사리는 먹지 말라

자기의 재능을 안으로 품고 세상에 나가 이름 없는 것도 귀하니

홀로 높이 구름사이에 뜬 달에 비할 필요는 없다네.

 

내가 보건대 고래의 이름 있고 지위 높던 사람

성공하고 물러서지 않으면 모두 신명을 잃었더라

吳子胥(오자서)는 자살 명 받고 시신 吳江(오강)에 버려지고

屈原(굴원)은 결국 스스로 湘江(상강)에 투신자살하고 말았네

 

陸機(육기) 같은 영웅도 어찌 자기의 안전 보전할 수 있으리

李斯(이사)는 빨리 관직에서 물러나지 않았던 것이 불행의 근원

그래서 陸機(육기)華亭(화정)의 학우는 소리 어찌 들을 수 있으며

李斯(이사)上蔡(상채)에서 매 사냥 어찌 할 수 있었겠는가.

 

 

그대 보지 않는가 ()張翰(장한)은 무사히 살아 남았다는 것

가을 바람 불자 江東(강동)을 생각하고 즉시 돌아갔네

자아 生前(생전)에 한 잔 술이라도 즐겨 마시세

그까짓 죽은 뒤 천년에 이름 남길 필요 없네

 

潁川水(영천수)... 許由(허유)穎川(영천) 남쪽에서 밭을 갈고 있었는데 ()九州(구주) ()으로 초빙했다. 허유는 이 말을 듣기 싫어해서 영천물에 귀를 씻었 다는 고사가 있는 강.

首陽蕨(수양궐)... 수양산의 고사리. 伯夷(백이)叔齋(숙재)의 고사.

(자서)....... 춘춘시대 ()의 충신. 吳王夫差(오왕부차)太宰(태재) 伯嚭(백비)의 참 언을 믿고, 伍子胥(오자서)의 충간을 잘 음미하지 않고 그에게 자살을 강요했 . 吳王(오왕) 夫差(부차)越王(월왕) 句踐(구천)이 싸움에 져서 항복했 을 때, 越王(월왕)을 죽이라는 伍子胥(오자서)의 의견을 듣지 않고, () 의 뇌물을 받은 太宰百嚭(태재백비)越王(월왕)을 살리라는 의견을 받아 드려, 도리어 오자서를 자살시켰다. 오자서의 의견은 적중해서, ()는 드 디어 ()에게 멸망당하고 말았다.

屈原(굴원)....... ()懷王(회왕)左徒(좌도)가 되었으나, 참언으로 추방당했다. (초사) 離騷(이소)()를 지었다. 懷王(회왕)의 아들인 頃襄王 (겨양왕)도 또한 참언을 믿고 호남으로 보냈다. 굴원은 九章(구장)의 시 름의 마음을 담아 九歌(구가), 天問(천문), 漁父(어부) 등 여러 작품을 남기고, 湘水(상수)에 몸을 던져 자살하고 말았다.

 

陸機(육기)...... 晉代(진대)의 시인이었으나 成都王(성도왕) ()長沙王(장사왕)을 쳤을 , 陸機(육기)河北(하북) 大都督(대도독)으로 모든 군사를 통솔하게 했 는데 싸움에 크게 졌다. 성도왕은 참언을 믿고 육기를 잡아 사형에 처했다. 죽음에 임해서 탄식하며 華亭(화정)에서 학이 우는소리 다시는 들을 수 없 구나라 했다. 華亭(화정)은 지금의 江蘇省(강소성)松江縣(송강현)에 있으며 陸機(육기)의 고향이다.

李斯(이사)........ 秦始皇(진시황)丞相(승상)이었으나 2세 때, 趙高(조고)의 참언으로 그 (중자)와 함께 사형을 당했다. 처형장에서 아들을 돌아보며 너와 함게 (황견)을 몰고 매를 팔 위에 얹고, 함께 上蔡(상채) 東門(동문)을 나가 간 사한 토끼를 잡으려 해도 이재는 할 수가 없구나라고 했다. 上蔡(상채) 지금의 河南省(하남성) 上蔡縣(상채현)이며 李斯(이사)의 고향이다.

稅駕(세가)..... 마차의 말을 풀고 쉬는 것.

 

張翰(장한)...... () 나라 사람이며 재주가 있었다. 그래서 그 당시 사람이 江東(강동) 阮籍(원적)이라 칭했다. 齋王(재왕) ()이 불러서 大司馬東曹掾(대사마동 조연)으로 삼았다. 張翰(장한)은 가을 바람이 부는 것을 보고, 吳中(오중) 菰菜(고채)()鱸魚膾(노어회)를 생각하며 말하기를, 인생이란 뜻대 로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어찌 수 천리밖에 사관해서 관직을 자랑할 필 요가 있나. 하고는 가마를 명해서 고향으로 돌아가려 했다. 그리고 같은 군의 고향 사람인 顧榮(고영)에게 떠날 뜻을 밝혔다. 顧榮(고영)도 그의 손을 잡 고 말하기를 나도 그대와 함께 남산의 고사리를 뜯고 三江(삼강)의 물을 마 실 것이다하면서 함께 떠나가 버렸다. 그러자 갑자기 齋王(재왕) () 망해버렸다. 사람들이 모두 이를 보고 기회를 잘 살폈다고 말을 했다.

 

江東(강동)....... 양자강의 동쪽. 즉 하류지방인 ()를 뜻함.

達生(달생)....... 사는 이치에 밝은 것. 莊子(장자)達生理(달생리)가 있다.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분류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공지 안동의 전설과 옛날이야기들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관리자 05-01-03 14350
330 단풍 (14).JPG 重憶(중억) 李白(이백) 청남 24-03-14 243
329 단풍 (13).JPG 對酒憶賀監(대주억하감) 其二(기이) 李白(이백) 청남 24-03-14 63
328 다래6.JPG 對酒憶賀監(대주억하감) 其一(기일) 李白(이백) 청남 24-03-12 29
327 다래5.JPG 越中覽古(월중람고) 李白(이백) 청남 24-03-12 24
326 다래5 (2).JPG 蘇臺覽古(소대람고) 李白(이백) 청남 24-03-12 23
325 노루귀 (20).JPG 焦山査望松寥山(초산사망송요산) 李白(이백) 청남 24-03-10 571
324 노루귀 (19).JPG 秋日登揚州西靈塔(추일등양주서영탑) 李白(이백) 청남 24-03-10 26
323 노루귀 (18).JPG 之廣陵宿常二南郭幽居(지광능숙상이남곽유거) 李白(이백) 청남 24-03-10 22
322 냉이3.JPG 贈徐安宜(증서안의) 李白(이백) 청남 24-03-07 50
321 냉이 (1).JPG 淮陰書懷奇王宗成(회음서회기왕종성) 李白(이백) 청남 24-03-07 34
320 남천10.JPG 經下邳圯橋懷張子房(경하비이교회장자방) 李白(이백) 청남 24-03-07 30
319 나리10.JPG 夢遊天姥吟留別(몽유천모음유별) 李白(이백) 청남 24-03-03 73
318 나리9.JPG 憶舊遊寄譙郡元參軍(억구유기초군원참군) 李白(이백) 청남 24-03-03 26
317 나리9 (2).JPG 秋獵孟諸夜歸置酒單父東樓觀妓 (추렵맹제야귀치주단부동루관기) 李白(이백) 청남 24-03-03 26
316 끈끈이대나물4.JPG 單父東樓秋夜送族弟況之秦 (단부동루추야송족제황지진) 李白(이백) 청남 24-02-29 26
315 끈끈이대나물3 (2).JPG 酬中都小吏攜斗酒雙魚于逆旅見贈 (수중도소리휴두주쌍어우역여견증) 李白(이백) 청남 24-02-29 26
314 끈끈이대나물2 (2).JPG 別中都明府兄(별중도명부형) 李白(이백) 청남 24-02-29 35
313 꽃잔디 (17).JPG 魯中都東樓醉起作(노중도동루취기작) 李白(이백) 청남 24-02-25 41
312 꽃잔디 (15).JPG 魯郡堯祠送竇明府薄華還西京 (노군요사송두명부박화환서경) 李白(이백) 청남 24-02-25 27
311 꽃잔디 (14).JPG 魯郡堯祠送吳五之琅琊(노군요사송오오지랑야) 李白(이백) 청남 24-02-25 24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