蜀道難(촉도난) 李白(이백)
噫吁巇危乎高哉(희우희위호고재)
蜀道之難難於上靑天(촉도지난난어상청천)
蠶叢及魚鳧(잠총급어부) 開國何茫然(개국하망연)
爾來四萬八千歲(이래사만팔천세) 不與秦塞通人煙(불여진새통인연)
西當太白有鳥道(서당태백유조도) 何以橫絶峨眉巓(하이횡절아미전)
地崩山摧壯士死(지붕산최장사사)
然後天梯石棧方鉤連(연후천제석잔방구연)
上有六龍回日之高標(상유육용회일지고표)
下有衝波逆折之回川(하유충파역절지회천)
黃鶴之飛尙不得(황학지비상불득) 猿猱欲度愁攀綠(원노욕도수반록)
靑泥何盤盤(청니하반반) 百步九折縈巖巒(백보구절영암만)
捫參歷井仰脅息(문참력정앙협식) 以手撫膺坐長嘆(이수무응좌장탄)
問君西遊何時還(문군서유하시환) 畏途巉巖不敢攀(외도참암불감반)
但見悲鳥號古木(단견비조호고목) 雄飛雌從繞林間(웅비자종요림간)
又聞子規啼夜月愁空山(우문자규제야월수공산)
蜀道之難難於上靑天(촉도지난난어상청천)
使人聽此凋朱顔(사인청차조주안) 連峰去天不盈尺(연봉거천불영척)
枯松倒掛倚絶璧(고송도괘의절벽) 飛湍瀑流爭喧豗(비단폭류쟁훤회)
砯崖轉石萬壑雷(빙애전석만학뢰) 其嶮也若此(기험야약차)
嗟爾遠道之人(차이원도지인) 胡爲乎來哉(호위호래재)
劍閣崢嶸而崔嵬(검각쟁영이최외)
一夫當關萬人莫開(일부당관만인막개)
所守或匪親(소수혹비친) 化爲狼與豺(화위랑여시)
朝避猛虎(조피맹호) 夕避長蛇(석피장사)
磨牙吮血(마아연혈) 殺人如麻(살인여마)
錦城雖云樂(금성수운락) 不如早還家(불여조환가)
蜀道之難難於上靑天(촉도지난난어상청천)
側身西望長咨嗟(측신서망장자차)
|
【解】
아아! 위험하구나 높구나!
蜀(촉)으로 들어가는 길 험하기 하늘에 오르기보다 더 어렵도다
蜀王(촉왕)의 선조 蠶叢(잠총)과 魚鳧(어부)
開國(개국)의 역사 너무나 막연하구나
그로부터 약 사만 팔 천 세 사이
秦(진)나라의 요새 사이와는 사람의 왕래가 없었네
오직 서쪽 끝 태백산에 새가 지나 다니는 길이 있을 정도
어찌 蛾眉山(아미산) 넘어 蜀(촉)에 들어갈 수 있으리
(어느 때 촉의 장사가 秦(진)에 들어와 오명의 미녀를 대려 갈 때)
땅이 꺼지고 산이 무너지는 이변이 생겨 장사는 죽고
연후에 길이 열려 사다리를 놓고 棧道(잔도)를 만들어 겨우 통하게 되었네
위에는 六龍(육룡)이 끄는 日車(일차)도 여기서 뒤 돌아갔다는 높은 산이 있고
아래에는 파도가 용솟음 치는 굽어 도는 험한 강이 있네
黃鶴(황학)이 날아도 지나가기 어렵고
원숭이가 건너려 해도 기어오를 수 없어 걱정하네
靑泥山脈(청니산맥) 끝없이 빙글빙글 이어져
백 보 사이 아홉 번이나 바위산을 꺾어 도네
산정서는 參星(참성)을 어루만지고 井星(정성) 우러러 숨을 쉬니
손으로 가슴 쓰다듬으면서 저도 모르게 긴 한숨쉬네
그대에게 묻건대 서쪽 蜀(촉)에 놀다 언지 돌아가려는가
험한 길은 바위가 높이 솟아 쉽게 오를 수 없네
오직 보이는 것은 슬픈 새가 고목에서 울고
수컷은 날고 암컷은 따라 숲 사이를 나르고 있는 것 뿐
또 들리는 것은 달밤에 뻐꾹새 시름에 차서 空山(공산)에 우는 것
촉 나라에 들어오는 길 험하기 하늘에 오르기 보다 더 어려우니
사람들 이 말만 들어도 혈기 있는 얼굴에 주름살이 끼리라
연 이은 봉우리는 하늘에서 한 자도 떨어지지 않았고
枯松(고송)은 절벽에 거꾸로 매달려 있네
급류와 폭포 다투어 시끄럽게 소리 지르고
벼랑을 치고 돌을 굴려 계곡 사이에 진동을 하네
그 험하기가 이와 같은데
아아! 그대 멀리서 온 사람
왜 이런 곳에 왔는가
劍閣峯(검객봉)은 높이 솟아 험준하니
한 사람이 關所(관소)를 지키면 만 사람이 열 수 없네
수비하는 사람이 친척이 아닌 이상
이리나 승냥이로 변해서 물어뜯으리
아침에는 맹호를 피하고
저녁에는 큰 뱀을 피해야하네
맹호는 이발을 갈고 뱀의 피를 빠니
살인하는 것 부지기수네
촉의 수도 錦城(금성)은 비록 즐겁다 해도
일찍 집에 돌아가는 것만 못하네
蜀(촉)으로 들어가는 길 하늘에 오르기 보다 더 어려우니
몸 기울려 서쪽에 촉 바라보고 긴 한숨 쉬네
【註】
蜀道難(촉도난)... 相和歌(상화가) 琴調(금조) 38곡 가운데 있는 제목이며 李白(이백)의 작품은 蜀(촉)에 들어가는 길이 험하다는 것을 노래하고 있다.
噫吁巇(희우희)... 촉 나라 사람들은 사물을 보고 놀라면 噫吁巇(희우희)라고 한다. 李白(이백) 은 이 말을 「촉도난」을 지을 때 인용했다.
蠶叢魚鳧(잠총어부)... 蜀王(촉왕)의 선조를 蠶叢(잠총), 柏灌(백관), 魚鳧(어부), 蒲澤(포택), 開 明(개명)이라 이름한다. 開明(개명)에서 위로 蠶叢(잠총)까지 3만 4천 세를 이었다고 한다.
秦塞(진새)....... 지금의 陜西省(협서성). 塞(새)는 변경의 요새.
太白(태백)....... 太白山(태백산). 陜西省(협서성) 關中道(관중도) 동남에 있다.
鳥道(조도)........ 사람은 못 지나고 오직 새만 지날 수 있는 험한 길.
峨眉(아미)......... 峨眉山(아미산). 四川省(사천성) 成都(성도) 서남 嘉定(가정)에 있고 높이 3035 미터이며 고래로 靈山(영산)으로 숭배되던 곳이다. 일명 峨山(아산)이 라고도 한다. 두 봉우리가 마주보고 솟아 마치 아름다운 여인의 초생달 같은 양쪽 눈썹 같으므로 蛾眉山(아미산)이라 했다.
壯士死(장사사)... 蜀王(촉왕)本紀(본기)에 이르기를, 「하늘이 蜀王(촉왕)을 위해 5명의 장사를 낳았다. 능히 산을 움직일 수 있는 힘을 가졌다. 秦王(진왕)이 미녀를 蜀王 (촉왕)에게 바친다해서 장사 5명을 보내 미녀를 맞았다. 귀로에 큰 뱀이 산 구멍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5명의 장사가 함께 뱀을 잡아당기니 산이 무너 져 5명은 壓死(압사) 당했고 秦女(진녀)는 모두 산 위로 올라가 돌로 변했다 」라고 했다.
石棧(석잔)...... 棧道(잔도). 험한 벼랑 같은 곳에 선반을 매듯이 만든 길
六龍回日(육용회일)... 해가 타는 수레를 끄는 여섯 마리의 용. 태양의 수레를 六龍(육룡)이 끈다 고 하며 羲和(희화)가 그 마부인데, 높은 산은 그 차도 거기까지 갔다가 뒤 돌아간다고 함.
高標(고표)...... 가장 높은 산이 다른 곳에서 지형을 찾는 표적이 되는 것.
猱(노).......... 원숭이의 안 것.
靑泥(청니)...... 산봉우리 이름. 지금의 甘肅省(감숙성) 渭川道(위천도) 徽縣(휘현) 남쪽에 있고 秦(진)에서 蜀(촉)으로 들어가는 要路(요로)임. 산상에는 구름이 많고 여행자는 자주 진흙길을 만나다. 그래서 청니라한다.
盤盤(반반)...... 굴곡한 모양.
捫參歷井(문참력정)... 산이 너무 많아 하늘에 닿을 것 같다는 형용. 參(참)과 井(정)은 성좌의 이름이며 捫(문)은 쓰다듬는다라는 뜻. 歷(역)은 지나간다라는 뜻.
脅息(협식)...... 숨을 죽이다.
膺(응)........... 가슴.
坐(좌)........... 설설.
畏途(외도)....... 험준해서 무서운 길.
巉巖(참암)........ 바위가 높이 솟아 험한 모양.
子規(자규)....... 새 이름. 華陽國志(화양국지)에 「蜀(촉)나라 왕 杜宇(두우)는 왕위를 開明 (개명)에게 이양하고 서산에 숨었다. 때는 마침 2월이라 두견새가 울었는데 촉나라 사람들은 그 소리를 듣고 매우 슬퍼했다고 한다. 그해서 蜀魂(촉혼) 이라고도 한다.
喧豗(훤회)....... 물이 세차게 흘러 그 소리가 시끄러움.
砯(빙).......... 물이 바위 부딪치는 소리
劍閣(검각)...... 지금의 四川省(사천성) 嘉陵道(가능도) 閣縣(각현) 북쪽에 大劍山(대검산)이 있고 또한 小劍山(소검산)이 있어 두 산은 이어져 있다. 두 산은 모두 험해 서 閣道(각도)로서 서로 통한다. 이를 儉閣(검각)이라 한다.
崢嶸(쟁영)...... 높고 험준한 모양.
崔嵬(최외)...... 土山(토산)위에 깔린 돌.
如麻(여마)...... 살인사건이 많이 나는 것. 세상이 삽가래를 흩트린 것과 같이 어지럽다는 말.
錦城(금성)....... 錦官城(금관성). 지금의 四川省(사천성) 成都縣(성도현). 사천성 제일의 도 시.
咨嗟(자차)........ 탄식하는 것.
.JPG)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