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ail : juntonggahun@naver.com
>> 한국의 성씨


성산이씨(李)

청남

나의 뿌리와 조상을 잘 알려면 남의 조상과 뿌리도 잘 알아야 하기에 여기에는

다른 가문의 뿌리와 조상을 알아 보는 곳으로 한다.

 

여기 실린 이 자료는 한국의 성씨> <민족문화대백과사전>등에서 인용한 것임.

 

(성산이씨)

 

 

본관(本貫): 성산(星山)

시조(始祖): 이능일(李能一)

유래(由來):

 

성산 이씨(星山李氏)의 시조(始祖)는 이능일(李能一)로 선조(先祖)는 누대에 걸쳐 경산(京山: 성주의 고호) 지방(地方)에 토착 세거(土著世居)해 온 사족(士族)이었고, 능일(能一)은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후삼국(後三國)을 통일할 때 공을 세워 태조로부터 삼한통일(三韓統一)에 크게 기여했다는 뜻으로 처음의 이름 능()자에 일()자를 더해 능일(能一)로 사명(賜名)받았으며, 개국벽상좌명공신(開國壁上佐命功臣)에 녹훈되어 대광사공(大匡司空)에 봉해졌다.

 

가문의 중요 인물

 

이견수(李堅守)

대경(大卿)을 역임하였다.

 

이우당(李宇唐)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하였다.

 

이영(李英)

판서(判書)를 역임했다.

 

이여량(李汝良)

강원도안렴사(江原道按廉使)를 역임했다.

 

이우(李友)

조선조에서 우()가 세종(世宗) 때 진주 목사(晋州牧使)를 지냈다.

 

이세인(李世仁)

세인(世仁)은 중종(中宗) 때 대사간(大司諫)을 거쳐 이조 참의(吏曹參議)에 올랐다.

 

이항(李沆)

여량(汝良)의 증손 항()은 연산군 때 등과하여 중종(中宗) 때 호당(湖堂)에 뽑혔고, 이조(吏曹예조(禮曹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후 좌찬성(左贊成)에 이르렀다.

 

이복(李馥)

항의 현손(玄孫) ()은 효종(孝宗) 때 이조 참의(吏曹參議)를 거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올랐다.

 

이석구(李碩九)

석구(碩九)는 군자감정(軍資監正)과 집의(執義)를 지냈다.

 

이석문(李碩文)

석문(碩文)은 장헌세자(莊獻世子)가 변을 당할 때 선전관(宣傳官)으로서 세자를 업고 극간(極諫)한 충신(忠臣)으로 훌륭한 성산 이씨(星山李氏) 가문을 더욱 빛냈다.

 

 

198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 결과 성산 이씨(星山李氏)는 남한에 총 16,094가구, 64,735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李根壽(이근수)의 효행.

 

도폿자락에 숨긴 음식

 

 

지금으로부터 약 100여 년 전 영남의 명산이며 우리나라 삼 대 사찰의 하나인 해인사가 있는 가야산의 정기가 서린 경북 고령군 덕곡면 예동에서, 도사(都事: 관리들의 잘못을 탓하고 고치도록 하는 벼슬) 이근수 할아버지가 늙으신 부모님을 모시고 살고 있었다.

 

할아버지는 1832(순조 32) 511일에 태어나 1886(고종 23) 610일 세상을 떠나시기까지 쉰 다섯 해 동안 부모님에게 이루 말로 할 수 없 을 정도의, 실로 피눈물 나는 효행을 하였던 것이다.

 

아침저녁 문안 인사는 물론 외출할 때나 돌아왔을 때 꼭 인사를 드리고 바깥에서 있었던 일을 자세히 말씀드리고 부모님이 좋아하시면 함께 좋아하 고 항상 마음을 편안하게 해 드렸다. 한번은 이런 일이 있었다.

할아버지의 처갓집에 큰 잔치가 있어 초대를 받고 갔다. 잔칫집에 도착하니 마을 사람들이 많이 모여 맛있는 음식을 먹고 흥겹게 놀고 있었다.

 

마침 장모가 사위를 알아보고 버선발로 뛰어나와 반갑게 맞이해 주면서, “아이구, 이게 누군가? 우리 사위가 아닌가. 어서 올라오게.”

하시며 방으로 안내했다.

이윽고 맛있는 음식이 가득 차려진 음식상이 나오고, 장모님은 다른 손님을 맞이하기 위해 밖으로 나갔다.

10여 분이 흐른 뒤 다시 사위가 있는 방으로 돌아와 보니, 아니 이게

웬일인가.

 

음식상 위에 있는 음식을 하나도 남김없이 말끔히 먹은 것이 아닌가.

그 날 이후 처갓집에 제사가 드는 날이나, 잔칫날 초대를 받고 오면 음식을 깨끗이 하나도 남김없이 먹어 치우는 것이었다.

이를 이상히 여긴 장모는 어느 날 사람을 시켜 사위가 음식을 먹는 모습을 몰래 지켜보도록 했다. 아니나 다를까, 사위가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니라 넓은 도포 소매 속에 음식을 감추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상하다 사위의 살림살이 과히 부족하지 않은데, 어다 한번 이유를 물어보자

 

방에 들어가 사위에게 이유를 물어본즉

맛있는 음식을 대하고 보니, 집에 계시는 부모님 생각에 도저히 목에 넘어가지 않아, 이렇게 가져가 부모님께 먼저 드리고 먹는 것이 자식 된 도리가 아니겠읍니까?”

하니 사위의 효성에 감복한 장모는 그 날 이후 따로 음식을 마련하여 사위 집에 보내 주었다고 한다.

 

1866(고종 3), 온 산을 울긋불긋 아름답게 수놓던 단풍잎이 떨어지고, 한두 잎 남은 나뭇잎을 시새움하듯 차가운 북쪽 바람이 세차게 부는 겨울, 효성이 남달리 지극한 할아버지의 아버님이 이름모를 병에 걸려 덜컥 병석에 눕게 되었다.

 

할아버지의 간호에도 아랑곳없이 아버님의 병세는 더욱 악화되어 급기야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지경에 빠지게 되었다. 할아버지는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아버님을 안고 자신의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아버님의 입속으로 흘려보냈다.

할아버지의 지극한 효성이 하늘에 까지 전해졌는지 정신을 잃은 아버님이 차츰차츰 정신을 차리시는 것이다. 할아버지의 효성이 죽음 직진의 아버님을 구하 게 된 것이다.

 

이때부터 할아버지의 피눈물 나는 간호는 시작된다. 몸이 자유롭지 못한 아버님의 간호를 위해, 가정의 모든 일을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고 오로지 아버님을 위해 잠시라도 곁을 떠나지 않고, 음식 시중을 드는 것은 물론 대소변을 손수 받아내며 의복과 이부자리를 항상 깨끗하게 해 드렸다.

보다 못한 주위 사람들이 제발 좀 쉬도록 권했으나,

 

나의 효성이 모자라 이렇게 아버님이 병석에 계신데 어떻게 내 몸 쉬기 위해 아버님 곁을 떠날 수 있겠는가?”

하시며 끝내 거절하였다.

그러던 중 할아버지의 어린 아들이 병에 걸려 죽음 직진에 이르렀다는 말 이 들려 왔다.

급히 달려온 할아버지는

나의 효성이 모자라 이렇게 아버님이 병석에 계시고 자식이 병까지 얻었구나하시며

자식은 다시 얻을 수 있지만 아버님은 이 세상에서 오직 한 분 뿐이다. 한 번 가시면 오지못할 아버님 곁을 오래 떠나 있을 수가 없구나.”

하시며 아들의 병 간호를 주위 사람에게 부탁하고 아버님 곁으로 갔다.

 

며 칠 후 아들이 그만 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소식을 들은 할아버지는 자식의 죽음을 속으론 가슴이 찢어지는 듯한 아픔을 느꼈지만 행여 아버님이 이 사실을 아시면 병세가 나빠질까 두려워 집 안 사람에게 당부하기를

 

자식을 후히 장사지내고 우는 소리가 아버님 귀에 들리지 않게 하고 주위 를 깨끗이 하여 아무 일이 없었던 것 같이 하라.”

하셨다.

할아버지의 효성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뒤뜰에 단을 만든 후 1 365 일 하루도 빠지지 않고 새벽에 아버님의 병환이 하루빨리 완쾌되기를 빌었다. 그러나, 이게 웬일인가? 이번에는 그동안 아버님의 병간호와 집안일의 과로로 어머님마저 병석에 눕게 되었다.

할아버지는 매일새벽뿐 아니라, 저녁에도 빌어보자, 오직 그 길뿐이다. ’ 라고 굳게 다짐하고 빌기를 꼭 6 , 꽃들이 만발하는 봄 아버님과 어머님 이 옛날의 건강을 되찾았다. 할아버지의 기쁨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을 만큼 컸다. 이런 소문이 임금님에게까지 알려져 모든 사람의 본보기가 되는 효자에게만 주는 효자각을 하사하시어 고령군 덕곡면 예동 230번지에 지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출전 〈 고령군 내곡초등학교  이 교감

참고 문헌 鎭南文苑 13, 高靈大觀, 孝烈行誌

 

 

 

 

출전 <한민족대성보>

 

 

이 곳의 자료는 청남선생님의 열정으로 만들어진 소중한 자료입니다.
자료를 사용하실 때에는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게시물 목록
번호 제 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485 서산 이.jpg 서산이씨(李) 청남 14-08-29 2776
484 서림 이.jpg 서림이씨(李) 청남 14-08-29 2886
483 상산 이.jpg 상산이씨(李) 청남 14-08-29 2574
482 부평 이.jpg 부평이씨(李) 청남 14-08-29 3359
481 부여 이.jpg 부여이씨(李) 청남 14-08-29 2316
480 부안 이.jpg 부안이씨(李) 청남 14-08-29 2557
479 봉산 이.jpg 봉산이씨(李) 청남 14-08-29 4026
478 벽진 이.jpg 벽진이씨(李) 청남 14-08-29 6090
477 덕은 이.jpg 덕은이씨(李) 청남 14-08-29 2954
476 덕수 이.jpg 덕수이씨(李) 청남 14-08-29 4785
475 덕산 이.jpg 덕산이씨(李) 청남 14-08-29 3441
474 대흥 이.jpg 대흥이씨(李) 청남 14-08-29 3698
473 담양 이.jpg 담양이씨(李) 청남 14-08-29 3148
472 단양 이.jpg 단양이씨(李) 청남 14-08-29 4467
471 단성 이.jpg 단성이씨(李) 청남 14-08-29 3661
470 남평 이.jpg 남평이씨(李) 청남 14-08-29 2482
469 나주 이.jpg 나주이씨(李) 청남 14-08-29 3663
468 김포 이.jpg 김포이씨(李) 청남 14-08-29 2800
467 금구 이.jpg 금구이씨(李) 청남 14-08-29 2678
466 광주 이.jpg 광주이씨(李) 청남 14-08-29 4525
게시물 검색